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트위스트 교육학 - 32. ④강: ‘학교는 학교다워야 한다’와 공자의 정명론 본문

연재/배움과 삶

트위스트 교육학 - 32. ④강: ‘학교는 학교다워야 한다’와 공자의 정명론

건방진방랑자 2019. 10. 22. 18:15
728x90
반응형

32. : ‘학교는 학교다워야 한다와 공자의 정명론

 

 

트위스트 교육학 4강의 제목은 학교를 학교적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이다. 이 제목은 얼핏 들으면, ‘학교라는 단어가 두 번이나 들어가서 묘한 느낌을 준다.

공교육이 붕괴되고 사교육 시장이 팽창하면서, 누구 할 것 없이 공교육 정상화를 외치게 됐다. ‘공교육 정상화라는 주장은 이미 너무 닳고도 닳은 말이지만, 그렇다고 그 주장 자체를 비판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누구나 지금의 학교 교육은 무언가 잘못됐다라고 느끼고 있으며, 그에 따라 비정상적인 부분을 고쳐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저번 주엔 비가 왔지만, 오늘은 맑고 활기차다. 기분 좋다.

 

 

 

학교를 학교답게 해야 한다와 정명론

 

이런 주장의 밑바닥에 학교를 학교답게 해야 한다는 말이 깔려 있다. 이렇게 말하고 보니, 은근히 공자의 정명론正命論(이름을 바로 잡는다)’과 겹쳐 보인다. 논어라는 책엔 여러 키워드들이 나오는데, 그 중 저번 후기에서 살펴본 도 중요하지만, 핵심 키워드는 뭐니 뭐니 해도 정명론이라 할 수 있다.

공자가 살던 시대는 춘추시대(BC 770~403)로 전통적인 가치들이 무너지고 이익을 위해서면 자식이 아버지를 죽이고, 신하가 임금을 죽이며, 제후들끼리 전쟁을 벌이는 시대였다. 비록 전통적인 가치를 지닌 주나라가 여전히 남아있기에 제후국들이 방자하게 날뛸 수는 없지만, 주나라가 점차 기울어지고 있다는 게 문제였다. 그러니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그런 혼란 상태는 더욱 심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이상적인 가치들은 완전히 사라질 것이다.

이런 혼란의 시기였기에 공자는 임금은 임금다워야 하고, 신하는 신하다워야 하며, 아버지는 아버지다워야 하고, 자식은 자식다워야 한다(君君, 臣臣, 父父, 子子. 顔淵11)’는 정명론을 내세웠다. 각자에겐 태어나면서부터 사회적으로 주어진 역할과 그에 따른 책임이 있다. 그러니 그런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다면, 가정은 무너지지 않을 것이고, 나라는 혼란스러워지지 않을 것이며, 천하는 태평해질 것이라는 게 정명론의 핵심이다. 정명론을 드라마식의 대사로 표현하자면, “너는 학생이고, 나는 선생이야라고 할 수 있다.

 

 

정명론의 드라마 버전.

 

 

 

정명론의 문제점

 

위의 원문은 ‘AA’식의 같은 글자 두자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단순히 같은 글자를 나열한 것은 아니다. 앞 글자 ‘A’는 현실의 역할을 나타내며, 뒷 글자 ‘A’는 이상적인 모습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러니 현실의 역할이 이상적인 모습에 가까워지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 한다는 말이 된다.

그렇다면 이상적인 모습을 사람들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공자는 사람이라면 이미 그걸 알 수 있는 능력을 타고났다고 봤다. 그러니 자신을 부단히 닦으면(克己), 천성적으로 타고난 이상적인 모습에 가까워진다고 본 것이다.

하지만 정명론에 대한 비판도 만만치 않다. 그중 가장 많은 비판을 받는 것이, 바로 계급주의 모순을 타파하기보다 아예 순응하도록 만들었다는 것이다. 계급은 태어나기 전부터 이미 정해져 있으니, 그 계급에 맞는 역할만 하면 된다는 것이다. 천자는 천자로, 제후는 제후로, 노비는 노비로 태어난 것이니, 그걸 억울하다고 할 게 아니라, 정해진 계급에 따라 그 역할만 충실히 하면 된다. 물론 그 당시엔 계급을 비판적으로 사유할 수는 없었겠지만, 그렇다 해도 묵인하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인정하고 받아들이라고 하니 문제라는 것이다.

 

 

계급은 그 시대의 한계일 수밖에 없다. 그러니 비판적일 순 없을 수도 있지만, 그걸 당연시 하거나, 모두 인정해야만 한다고 해선 안 된다.

 

 

두 번째 비판은 기독교의 소명론처럼, 역할이 이미 선천적으로 주어진 것으로 봤다는 것이다. 태어나기 전부터 이미 자신의 역할이 정해져 있기에, 그에 맞춰 행동하고 생각하면 된다. 그러다 보면 어느 순간 존재보다 역할이 앞서게 되고, 그러한 역할이 나를 대변하게 된다. 하지만 역할은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일 뿐이다. 태어나기 전부터 유전자에 새겨지듯 찍혀 나온 것이 아니라, 살다 보니 이러 저러한 영향을 받으며 그런 역할을 도맡게 된 것이다. 아래의 시는 역할이란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세탁소에 갓 들어온 새 옷걸이한테 한 옷걸이가 한마디 했다.

너는 옷걸이라는 사실을 한시도 잊지 말거라.”

왜 옷걸이라는 것을 그렇게 강조하시는 거죠?”

잠깐씩 입혀지는 옷이 자기의 신분인 양 교만해지는 옷걸이들을 그동안 많이 봐왔기 때문이지.”

 

 

역할이 개체 내에 이미 아로새겨져 그런 식으로 행동해야 한다면, 그것은 자신이 존재라는 것을 잊고(옷걸이라는 것을 잊고), 역할(잠깐씩 입혀지는 옷이 자신이라 착각)에만 집중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실상 그 역할()이 벗겨져 존재(옷걸이)만 남는 순간에 자신은 혼란에 빠질 수밖에 없다. 그러니 그런 혼란스러움에 빠지기 전에, 역할이란 개체 내에 있는 것이 아닌 관계에 따라 수시로 변할 수 있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

영화 Good & Bye의 주인공은 오케스트라 단원이었지만, 오케스트라가 해체되면서 의도치 않게 장의사가 되고 만다. 그는 다른 직업을 찾던 도중 여행 가이드를 모집하는 줄만 알고 찾아간 곳에서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장의사가 된 것이다. 직업을 하나의 역할로 볼 수 있다면, 역할이 정해져 있다기보다 어떤 우연들과 마주치며 어쩌다 보니 그런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장면이다.

 

 

주인공은 얼떨결에 장의사의 일을 하게 된다. 위의 장면은 어쩌다 일을 하게 되는 장면.

 

 

 

세 번째 비판은 공자가 생각한 것만큼 이상적인 모습이란 게 단순하게 하나로 결론지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각자 살아온 방식이 다르고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상이 다르다 보니, 당연히 사람의 수만큼 많은 이상적인 모습이 있게 마련이다. 학교 교사로서 이상적인 모습은 따뜻한 말과 온화한 미소로 학생을 존중하고, 학생의 드러난 가치보다 잠재적인 가치에 집중하여 끌어줄 수 있으며, 친구 같지만 위엄 있는 교사일 것이다. 하지만 단재학교에서 아이들을 만나며 느끼는 것은, 이상적인 교사상을 현장에선 철저히 버릴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었다. 아이들은 하나하나가 소우주라 할 만큼 완벽하게 다르며, 들끓는 열정을 가지고 있어 감정의 기복도 심하다. 그런 아이들을 만나면서 이상적인 교사상으로 대할 경우 꼭 연기하는 사람처럼 느껴질 수밖에 없다. 아이들은 변화무쌍한데 교사는 단단히 굳어진 상으로 대하니, 통하기보다 어긋나고, 이해되기보다 답답해지는 것이다. 그러니 그런 상황에선 완고한 상을 버리고, 상황에 따라 아이들을 대하는 게 훨씬 낫다. 그러다 보면 때론 아이들에게 싫은 소리도 할 수 있어야 하고, 때에 따라선 모르는 사람처럼 냉정하게 대할 수도 있어야 한다. 좋은 것만이 좋은 것은 아니기에, 학생의 성장을 위해서면 이상적인 교사상과는 완벽하게 다른 교사가 될 수도 있어야 한다.

 

 

민석이가 만든 영화 [Game Over]의 한 장면, 교사는 이상적인 모습을 버리고 다가가야 한다.

 

 

 

인용

목차

강의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