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장 15. 문명화된 인간이 문명국가를 유지한다
(子曰) “好學近乎知, 力行近乎仁, 知恥近乎勇. 공자께서 말씀하셨다.“배움을 좋아하는 것은 지(知)에 가깝고, 힘써 행하는 것은 인(仁)에 가깝고, 치(恥)를 아는 것은 용(勇)에 가깝다” ‘子曰’二字, 衍文. ‘자왈(子曰)’ 이 두 글자는 연문이다. ○ 此言未及乎達德而求以入德之事. 通上文三知爲知, 三行爲仁, 則此三近者, 勇之次也. 이 말은 달덕(達德)엔 미치지 못하나 덕에 들어가는 일은 구할 수 있다. 윗 문장은 생지(生知)와 학지(學知)와 곤지(困知)의 세 가지 지(知)를지(知)로 여기고, 안행(安行)과 리행(利行)과 면행(勉行)의 세 가지 인(仁)을 인(仁)으로 여기는 것을 통한다면 여기에 세 가지 가까운 것은 용(勇)의 다음 단계인 것이다. 呂氏曰: ”愚者自是而不求, 自私者徇人欲而忘返, 懦者甘爲人下而不辭. 故好學非知, 然足以破愚; 力行非仁, 然足以忘私; 知恥非勇, 然足以起懦.“ 여씨가 말했다. “어리석은 사람은 스스로 옳다고 여겨 구하지 않고, 절로 이기적인 사람은 인욕(人欲)을 따라 돌아올 줄 모르며, 나약한 사람은 사람 아래 있는 것을 달게 여겨 사양하질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배움을 좋아하는 게 지(知)는 아니나 어리석음을 깨우칠 순 있고, 힘써 행함이 인(仁)은 아니나 이기심을 잊을 수 있으며, 부끄럼을 아는 게 용(勇)은 아니나 나약함을 일으킬 수 있다. ○ 『近思錄』曰: “以其好學之心, 假之以年, 則不日而化矣. 後人不達, 以謂聖本生知, 非學可至, 而為學之道遂失.” 『근사록』에서 말했다. “호학하는 마음으로 수명을 빌려주어 늘려준다면 머지않아 성인의 경지에 이르러 변화할 수 있다. 후대 사람들은 도달하려 노력도 안 하며 ‘성인은 본래 생지(生知)의 자질로 배워도 이를 수 없다.’라 말해버리니, 배우려 하는 도(道)가 마침내 상실되었다.” 知斯三者, 則知所以修身; 知所以修身, 則知所以治人; 知所以治人, 則知所以治天下國家矣. 이 지인용(知仁勇) 셋을 알면, 몸을 닦는 바를 알 것이요, 몸을 닦는 바를 알면, 사람을 다스리는 바를 알 것이요, 사람을 다스리는 바를 알면, 천하(天下).국(國).가(家)를 다스리는 바를 알 것이다. 斯三者, 指三近而言. 人者, 對己之稱. 天下國家, 則盡乎人矣. 言此以結上文修身之意, 其下文九經之端也. 사삼(斯三)이란 삼근(三近)을 가리켜 말한다. 인(人)이란 자기에 대응하여 말한 것이다. 천하국가(天下國家)는 타인이 모인 곳이다. 말한 수신의 뜻을 결론지어 아래 문장의 구경(九經)의 단서를 일으킨 것이다. |
여기서 사람을 다스린다는 말은 군림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는 게 아닙니다. 인간 세상에 있어서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것을 전제로 할 적에,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이 주어진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차적인 것입니다. 즉, 사회에서 자신이 생존할 수 있는 모든 툴, 꽁푸를 습득하게 하는 거예요. ‘치인(治人)’에서의 그 인간은 보통 인간이 아니라 문명화된 인간이며, 그런 인간은 반드시 교육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다스려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야 환경에 적응할 수 있지 않겠어요? 문명화된 사람들이 모여서 그 문명과 국가를 만들고 유지시키는 것이니까.
여기서 ‘천하국가(天下國家)’도 현대 언어에서 잘못 생각하기 쉬운 말인데, 천하(天下)-국(國)-가(家)의 하이어라키(Hierachical, 계층별)한 개념으로서, ‘천[天下]’는 ‘국[國]’보다 더 큰 개념이고 ‘국(國)’은 ‘가(家)’보다 더 큰 개념입니다. 즉, ‘천하(天下)’라고 하는 것은 현재의 지구촌, 인류, 세계 등에 해당하는 말이고, ‘국(國)‘은 지금의 국가형태와 유사한 것을 말하며(근대민족국가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것), 가(家)는 훼밀리를 말하는 것이죠. 이것은, 유교문화권에서는 ‘천하국가(天下國家)’를 하나의 시공태로서, 즉 세계질서로부터 가정의 질서에 이르기까지를 하나의 연속체(continuum)로 본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습니다.
인용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고전 > 대학&학기&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올선생 중용강의, 20장 - 18. 구경(九經) 해설 (0) | 2021.09.19 |
---|---|
도올선생 중용강의, 20장 - 17. 구경론(九經論)② (0) | 2021.09.19 |
도올선생 중용강의, 20장 - 14. 앎과 행동의 세 가지 스타일 (0) | 2021.09.19 |
도올선생 중용강의, 20장 - 13. 지인용(知仁勇) (0) | 2021.09.19 |
도올선생 중용강의, 20장 - 12. 이미 주어진 도(道)와 이루어나가야 할 덕(德) (0) | 2021.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