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논어 자한 - 4. 공자에게 없었던 네 가지 본문

고전/논어

논어 자한 - 4. 공자에게 없었던 네 가지

건방진방랑자 2021. 10. 8. 16:32
728x90
반응형

4. 공자에게 없었던 네 가지

 

 

子絶四: 毋意, 毋必, 毋固, 毋我.

, 無之盡者. , 史記是也. , 私意也. , 期必也. , 執滯也. , 私己也. 四者相爲終始, 起於意, 遂於必, 留於固, 而成於我也. 蓋意必常在事前, 固我常在事後, 至於我又生意, 則物欲牽引, 循環不窮矣.

程子: “此毋字, 非禁止之辭. 聖人絶此四者, 何用禁止.”

張子: “四者有一焉, 則與天地不相似.”

楊氏: “非知足以知聖人, 詳視而黙識之, 不足以記此.”

 

 

 

 

 

 

해석

子絶四: 毋意, 毋必, 毋固, 毋我.

공자께서는 네 가지가 없으셨으니 사사로운 뜻이 없었고 기필함이 없었으며 고집이 없었고 자기중심주의가 없었다.

, 無之盡者. , 史記是也.

()은 다 없는 것이다. ()사기에선 ()’라 했으니 옳다.

 

, 私意也. , 期必也.

()는 사사로운 뜻이다. ()은 기필하는 것이다.

 

, 執滯也. , 私己也.

()는 고집으로 막힌 것이다. ()는 사사로운 자기다.

 

四者相爲終始, 起於意,

네 가지는 서로 끝과 시작이 되어 사사로운 뜻에서 일어나

 

遂於必, 留於固,

기필함에서 완수되고 고집에서 머물러

 

而成於我也.

자기중심성에서 완성된다.

 

蓋意必常在事前,

대체로 사사로운 뜻과 기필함은 항상 사전에 있고

 

固我常在事後,

고집과 자기중심주의는 항상 사후에 있으니

 

至於我又生意, 則物欲牽引, 循環不窮矣.

내가 또 사사로운 뜻을 내면 물욕(物慾)에 끌려 끊임없이 순환한다.

 

程子: “此毋字, 非禁止之辭.

정이천이 말했다. “()자는 금지사가 아니다.

 

聖人絶此四者, 何用禁止.”

성인은 이 네 가지가 없었는데 어찌 금지를 쓰리오.”

 

張子: “四者有一焉,

장자가 말했다. “네 가지 중에 하나라도 있으면

 

則與天地不相似.”

천지와 함께 서로 닮지 못한다.”

 

楊氏: “非知足以知聖人,

양시(楊時)가 말했다. “지혜가 족히 성인을 알지 못하고

 

詳視而黙識之, 不足以記此.”

상세히 보아 묵묵히 기억하지 못하면 이것을 기록할 수 없다.”

 

논어에는 사()와 관련된 성어가 많다. 사교(四敎)는 공자가 제자를 가르쳤던 문() () () ()의 네 덕목이다. 사과(四科)는 공자의 문하에서 과목으로 삼은 덕행(德行) 언어(言語) 정사(政事) 문학(文學)의 네 가지다. 사물(四勿)은 예()를 통해 외부를 절제하여 속을 편하게 하는 네 가지 방법으로, 비례물시(非禮勿視) 비례물청(非禮勿聽) 비례물언(非禮勿言) 비례물동(非禮勿動)이다. 사무(四毋)는 공자가 속을 곧게 하고 외부를 방정하게 했던 네 가지 태도로 논어’ ‘자한(子罕)’의 바로 이 장()에 나온다. 사절(四絶)이라는 숙어로도 알려져 있다.

()끊는다가 아니라 전혀 없다로 풀이한다. ()는 무()와 같다. 금지어가 아니다. ()는 사의(私意), ()은 기필(期必), ()는 집체(執滯), ()는 사기(私己)를 말한다. 곧 의()는 주관적으로 억측(臆測)하는 일, ()은 반드시 관철하겠다고 무리하게 구는 일, ()는 완고하게 자기 자신을 지키려고 하는 굳은 태도, ()는 자기 것만 생각하는 아집(我執)을 말한다.

(), (), (), ()는 각각 하나의 병통이지만 그것들은 서로 순환한다. 혹자는 의()와 필()과 고()가 모두 아()로부터 나오므로 아()만 없으면 나머지 병통이 사라질 수 있다고 여겼다. 하지만 배우는 자가 갑자기 아()를 없애려 한다면 도()에 위배되고 만다. 최한기는 무아(毋我)를 최종 덕목으로 보되, ()란 하루아침에 끊어버릴 수 없으므로 극기(克己)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약용은 무아(毋我)를 사기종인(舍己從人)에서 찾았다. 사실, 나의 부족한 것을 버리고 남의 좋은 점을 따르는 일이야말로 나를 성숙시키는 근본 태도가 아니겠는가!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인용

목차 / 전문 / 한글역주

생애 / 공자 / 유랑도 / 제자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