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微子 (10)
건빵이랑 놀자
미자(微子) 제십팔(第十八) 此篇多記聖賢之出處, 凡十一章. 1. 은나라 세 명의 인자(仁者) 微子去之, 箕子爲之奴, 比干諫而死. 微ㆍ箕, 二國名. 子, 爵也. 微子, 紂庶兄. 箕子ㆍ比干, 紂諸父. 微子見紂無道, 去之以存宗祀. 箕子ㆍ比干皆諫, 紂殺比干, 囚箕子以爲奴, 箕子因佯狂而受辱. 孔子曰: “殷有三仁焉.” 三人之行不同, 而同出於至誠惻怛之意, 故不咈乎愛之理, 而有以全其心之德也. 楊氏曰: “此三人者, 各得其本心, 故同謂之仁.” ⇒해석보기 2. 유하혜, 세 번 사사가 되었다가 세 번 쫓겨나다 柳下惠爲士師, 三黜. 三, 去聲. ○ 士師, 獄官. 黜, 退也. 柳下惠三黜不去, 而其辭氣雍容如此, 可謂和矣. 人曰: “子未可以去乎?” 曰: “直道而事人, 焉往而不三黜? 枉道而事人, 何必去父母之邦.” 焉, 於虔反..

11. 주나라의 8명의 선비 周有八士: 伯達ㆍ伯适ㆍ仲突ㆍ仲忽ㆍ叔夜ㆍ叔夏ㆍ季隨ㆍ季騧. 騧, 烏瓜反. ○或曰“成王時人”, 或曰“宣王時人”. 蓋一母四乳而生八子也, 然不可考矣. ○ 張子曰: “記善人之多也.” ○ 愚按: 此篇孔子於三仁, 逸民, 師摯, 八士, 旣皆稱贊而品列之; 於接輿, 沮ㆍ溺, 丈人, 又每有惓惓接引之意. 皆衰世之志也, 其所感者深矣. 在陳之歎, 蓋亦如此. 三仁則無間然矣, 其餘數君子者, 亦皆一世之高士. 若使得聞聖人之道, 以裁其所過而勉其所不及, 則其所立, 豈止於此而已哉? 해석 周有八士: 伯達ㆍ伯适ㆍ仲突ㆍ仲忽ㆍ叔夜ㆍ叔夏ㆍ季隨ㆍ季騧. 주나라에 여덟 선비가 있으니, 백달ㆍ백괄ㆍ중돌ㆍ중홀ㆍ숙야ㆍ숙하ㆍ계수ㆍ계와다. 騧, 烏瓜反. ○或曰“成王時人”, 或曰“宣王時人”. 혹자는 “성왕 때 사람이다.”고 하고 혹자는 “..

9. 음악 명인들이 노나라를 떠났다 大師摯適齊, 大, 音泰. ○ 大師, 魯樂官之長. 摯, 其名也. 亞飯干適楚, 三飯繚適蔡, 四飯缺適秦. 飯, 扶晩反. 繚, 音了. ○ 亞飯以下, 以樂侑食之官. 干ㆍ繚ㆍ缺, 皆名也. 鼓方叔入於河, 鼓, 擊鼓者. 方叔, 名. 河, 河內. 播鼗武入於漢, 鼗, 徒刀反. ○ 播, 搖也. 鼗, 小鼓. 兩旁有耳, 持其柄而搖之, 則旁耳還自擊. 武, 名也. 漢, 漢中. 少師陽ㆍ擊磬襄入於海. 少, 去聲. ○ 少師, 樂官之佐. 陽ㆍ襄, 二人名. 襄卽孔子所從學琴者. 海, 海島也. ○ 此記賢人之隱遯以附前章, 然未必夫子之言也. 末章放此. 張子曰: “周衰樂廢, 夫子自衛反魯, 一嘗治之. 其後伶人賤工識樂之正. 及魯益衰, 三桓僭妄, 自大師以下, 皆知散之四方, 逾河蹈海以去亂. 聖人俄頃之助, 功化如此. 如有..

8. 공자의 은둔했던 현자들에 대한 평가 逸民: 伯夷ㆍ叔齊ㆍ虞仲ㆍ夷逸ㆍ朱張ㆍ柳下惠ㆍ少連. 少, 去聲, 下同. ○ 逸, 遺逸. 民者, 無位之稱. 虞仲, 卽仲雍, 與大伯同竄荊蠻者. 夷逸ㆍ朱張, 不見經傳. 少連, 東夷人. 子曰: “不降其志, 不辱其身, 伯夷ㆍ叔齊與!” 與, 平聲. 謂: “柳下惠ㆍ少連, 降志辱身矣. 言中倫, 行中慮, 其斯而已矣.” 中, 去聲, 下同. ○ 柳下惠事見上. 倫, 義理之次第也. 慮, 思慮也. 中慮, 言有意義合人心. 少連事不可考. 然記稱其“善居喪, 三日不怠, 三月不解. 朞悲哀, 三年憂” 則行之中慮, 亦可見矣. 謂: “虞仲ㆍ夷逸, 隱居放言. 身中淸, 廢中權. 仲雍居吳, 斷髮文身, 裸以爲飾. 隱居獨善, 合乎道之淸. 放言自廢, 合乎道之權. 我則異於是, 無可無不可.” 孟子曰: “孔子可以仕則仕, ..
7. 자로가 장인(丈人)의 집에서 하루 밤 묵다 子路從而後, 遇丈人, 以杖荷蓧. 蓧, 徒弔反. ○ 丈人, 亦隱者. 蓧, 竹器 子路問曰: “子見夫子乎?” 丈人曰: “四體不勤, 五穀不分. 孰爲夫子?” 植其杖而芸. 植, 音値. ○ 分, 辨也. 五穀不分, 猶言不辨菽麥爾, 責其不事農業而從師遠遊也. 植, 立之也. 芸, 去草也. 子路拱而立. 知其隱者, 敬之也. 止子路宿, 殺雞爲黍而食之, 見其二子焉. 食, 音嗣. 見, 賢遍反. 明日, 子路行以告. 子曰: “隱者也.” 使子路反見之. 至則行矣. 孔子使子路反見之, 蓋欲告之以君臣之義. 而丈人意子路必將復來, 故先去之以滅其跡, 亦接輿之意也. 子路曰: “不仕無義. 長幼之節, 不可廢也; 君臣之義, 如之何其廢之? 欲潔其身, 而亂大倫. 君子之仕也, 行其義也. 道之不行, 已知之矣.” 長,..

5. 초나라 미치광이 접여가 노래하며 공자의 수레를 지나다 楚狂接輿歌而過孔子曰: “鳳兮! 鳳兮! 何德之衰? 往者不可諫, 來者猶可追. 已而, 已而! 今之從政者殆而!” 接輿, 楚人, 佯狂辟世. 夫子時將適楚, 故接輿歌而過其車前也. 鳳有道則見, 無道則隱, 接輿以比孔子, 而譏其不能隱爲德衰也. 來者可追, 言及今尙可隱去. 已, 止也. 而, 語助辭. 殆, 危也. 接輿蓋知尊孔子而趨不同者也. 孔子下, 欲與之言. 趨而辟之, 不得與之言. 辟, 去聲. ○ 孔子下車, 蓋欲告之以出處之意. 接輿自以爲是, 故不欲聞而避之也. 해석 楚狂接輿歌而過孔子曰: “鳳兮! 鳳兮! 何德之衰? 往者不可諫, 來者猶可追. 已而, 已而! 今之從政者殆而!” 초나라 광인인 접여가 노래하며 공자의 수레 앞을 지날 적에 “봉황새여! 봉황새여! 어찌 덕이 쇠하였는가..
4. 계환자가 여악(女樂)에 빠져들다 齊人歸女樂, 季桓子受之. 三日不朝, 孔子行. 歸, 如字, 或作饋. 朝, 音潮. ○ 季桓子, 魯大夫, 名斯. 按『史記』,“定公十四年, 孔子爲魯司寇, 攝行相事. 齊人懼, 餽女樂以沮之”. 尹氏曰: “受女樂而怠於政事如此, 其簡賢棄禮, 不足與有爲可知矣. 夫子所以行也, 所謂見幾而作, 不俟終日者與?” ○ 范氏曰: “此篇記仁賢之出處, 而折中以聖人之行, 所以明中庸之道也.” 해석 齊人歸女樂, 季桓子受之. 三日不朝, 孔子行. 제나라 사람이 미녀들과 악사들을 보내니 계환자가 그걸 받고서 3일 동안 조회하지 않아 공자께서 떠나셨다. 歸, 如字, 或作饋. 朝, 音潮. ○ 季桓子, 魯大夫, 名斯. 계환자는 노나라 대부로 이름은 사다. 按『史記』,“定公十四年, 『사기』를 살펴보면 ”정공 14년에..

3. 계씨와 맹씨의 중간 정도로는 공자를 대우하겠다 齊景公待孔子, 曰: “若季氏則吾不能, 以季ㆍ孟之閒待之.” 魯三卿, 季氏最貴, 孟氏爲下卿. 曰: “吾老矣, 不能用也.” 孔子行. 孔子去之, 事見「世家」. 然此言必非面語孔子, 蓋自以告其臣, 而孔子聞之爾. ○ 程子曰: “季氏强臣, 君待之之禮極隆, 然非所以待孔子也. 以季ㆍ孟之閒待之, 則禮亦至矣. 然復曰 ‘吾老矣不能用也’, 故孔子去之. 蓋不繫待之輕重, 特以不用而去爾.” 해석 齊景公待孔子, 曰: “若季氏則吾不能, 以季ㆍ孟之閒待之.” 제경공이 공자를 대접하며 “계씨와 같은 정도로는 못한다 해도. 계씨와 맹씨의 중간 정도로는 대우하겠다.”라고 말했다. 魯三卿, 季氏最貴, 노나라의 삼경 중에 계씨가 가장 높은 벼슬이었고, 孟氏爲下卿. 맹씨가 하경이었다. 曰: “吾老矣,..
2. 유하혜, 세 번 사사가 되었다가 세 번 쫓겨나다 柳下惠爲士師, 三黜. 三, 去聲. ○ 士師, 獄官. 黜, 退也. 柳下惠三黜不去, 而其辭氣雍容如此, 可謂和矣. 人曰: “子未可以去乎?” 曰: “直道而事人, 焉往而不三黜? 枉道而事人, 何必去父母之邦.” 焉, 於虔反. ○ 然其不能枉道之意, 則有確乎其不可拔者. 是則所謂必以其道, 而不自失焉者也. ○ 胡氏曰: “此必有孔子斷之之言而亡之矣.” 해석 柳下惠爲士師, 三黜. 유하혜는 사사가 되었다가 세 번 쫓겨났다. 三, 去聲. ○ 士師, 獄官. 黜, 退也. 사사(士師)은 옥을 담당하는 관리다. 출(黜)은 쫓겨난 것이다. 柳下惠三黜不去, 유하혜는 세 번 쫓겨났지만 떠나지 않았으니, 而其辭氣雍容如此, 可謂和矣. 그 말의 기운이 온화하고 용납함이 이와 같았기에 ‘성의 화함에..

1. 은나라 세 명의 인자(仁者) 此篇多記聖賢之出處, 凡十一章. 微子去之, 箕子爲之奴, 比干諫而死. 微ㆍ箕, 二國名. 子, 爵也. 微子, 紂庶兄. 箕子ㆍ比干, 紂諸父. 微子見紂無道, 去之以存宗祀. 箕子ㆍ比干皆諫, 紂殺比干, 囚箕子以爲奴, 箕子因佯狂而受辱. 孔子曰: “殷有三仁焉.” 三人之行不同, 而同出於至誠惻怛之意, 故不咈乎愛之理, 而有以全其心之德也. 楊氏曰: “此三人者, 各得其本心, 故同謂之仁.” 해석 此篇多記聖賢之出處, 이 편에선 성인과 현인의 출처를 많이 기록했으니, 凡十一章. 모두 11장이다. 微子去之, 箕子爲之奴, 比干諫而死. 미자는 떠났고, 기자는 노예가 되었으며, 비간은 간하다가 죽었다. 微ㆍ箕, 二國名. 子, 爵也. 미와 기는 두 나라의 이름이다. 자(子)는 벼슬의 이름이다. 微子, 紂庶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