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유하혜, 세 번 사사가 되었다가 세 번 쫓겨나다
柳下惠爲士師, 三黜.
三, 去聲.
○ 士師, 獄官. 黜, 退也. 柳下惠三黜不去, 而其辭氣雍容如此, 可謂和矣.
人曰: “子未可以去乎?” 曰: “直道而事人, 焉往而不三黜? 枉道而事人, 何必去父母之邦.”
焉, 於虔反.
○ 然其不能枉道之意, 則有確乎其不可拔者. 是則所謂必以其道, 而不自失焉者也.
○ 胡氏曰: “此必有孔子斷之之言而亡之矣.”
해석
柳下惠爲士師, 三黜.
유하혜는 사사가 되었다가 세 번 쫓겨났다.
三, 去聲.
○ 士師, 獄官. 黜, 退也.
사사(士師)은 옥을 담당하는 관리다. 출(黜)은 쫓겨난 것이다.
柳下惠三黜不去,
유하혜는 세 번 쫓겨났지만 떠나지 않았으니,
而其辭氣雍容如此, 可謂和矣.
그 말의 기운이 온화하고 용납함이 이와 같았기에 ‘성의 화함에 이른 자’라 할 만하다.
人曰: “子未可以去乎?”
그래서 사람들이 “자네 떠날 만하지 않는가?”라고 말하니,
曰: “直道而事人, 焉往而不三黜? 枉道而事人, 何必去父母之邦.”
“도를 곧게 펴서 사람을 섬기면 어디를 간들 세 번 쫓겨나지 않겠는가? 도를 굽혀 사람을 섬기면 어찌 반드시 부모의 나라를 떠나랴.”라고 대답했다.
焉, 於虔反.
○ 然其不能枉道之意, 則有確乎其不可拔者.
그러나 도를 굽힐 수 없다는 뜻이 있었으니, 확고하여 제거할 수 없는 것이다.
是則所謂必以其道, 而不自失焉者也.
이것이 ‘반드시 그 도를 실천하여 스스로를 잃지 않은 사람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 胡氏曰: “此必有孔子斷之之言而亡之矣.”
호인(胡寅)이 말했다. “이것은 반드시 공자가 단정하신 말이 있을 것이지만, 지금은 없어졌다.”
○ ‘논어’ ‘미자(微子)’편의 제2장은 노(魯)나라 사사(士師)로서 정직함을 신조로 삼았던 유하혜(柳下惠)의 일화를 기록했다. 사사(士師)는 옥사(獄事)를 담당하는 옥관(獄官)의 장(長)이다. 유하혜는 세 번 사사(士師)가 되었으나 세 번 모두 직책에서 쫓겨났는데 어떤 사람이 ‘당신은 세 번이나 쫓겨나는 험한 일을 당했거늘 어째서 아예 나라를 떠나지 못하는 것입니까?’라고 물었다. 그러자 유하혜는 정도(正道)를 걸으면 어느 나라에 가든 서너 번 쫓겨나는 것은 면하기 어려우며, 만일 벼슬 살면서 부정한 짓을 한다면 굳이 조국을 떠날 필요도 없다고 대답했다. 강조점은 위에 있다. 왈(曰)의 주어는 유하혜다.
직도(直道)는 자기의 길을 굽히지 않는다는 뜻으로, 반대어가 왕도(枉道)이다. ‘언(焉)∼불(不)∼’은 ‘어찌 ∼하지 않으랴’, ‘하필(何必)∼’은 ‘어찌 ∼할 필요가 있는가’로, 둘 다 반어(反語)이다. 출(黜)은 퇴(退)와 같으며, 면직(免職)을 말한다.
앞서 ‘위령공(衛靈公)’편에서 공자는 노나라 대부 장문중(臧文仲)이 유하혜의 현명함을 알고도 그를 등용하지 않았다고 해서 장문중을 절위자(竊位者)라고 비판했다. 절위자란 지위를 훔친 자란 뜻이다. ‘맹자’에서는 유하혜를 화(和)를 이룬 성인이라고 했다.
곧, 유하혜는 더러운 임금을 섬기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으며 작은 벼슬을 낮게 여기지 않았으며, 벼슬에 나가서는 자신의 현명함을 숨기지 않고 반드시 도리를 다하였고 벼슬길에서 버림받아도 원망하지 않고 곤경을 당해도 근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군주가 어떤 인물인지 관계없이 공공의 옳은 길을 걸어 나간 그의 모습은 공무원이나 공공기구의 직원이 본받아야 할 면이 있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인용
'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미자 - 4. 계환자가 여악(女樂)에 빠져들다 (0) | 2021.10.14 |
---|---|
논어 미자 - 3. 계씨와 맹씨의 중간 정도로는 공자를 대우하겠다 (0) | 2021.10.14 |
논어 미자 - 1. 은나라 세 명의 인자(仁者) (0) | 2021.10.14 |
논어 - 17. 양화 전문 (0) | 2021.10.14 |
논어 양화 - 26. 마흔 살이면 성취해야 할 것 (0) | 2021.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