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항번호 |
10 |
|
| |||||||||||||||||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
한문학사 |
평가 영역 |
조선후기 | |||||||||||||||||
평가 내용 요소 |
조선후기 한문학의 전개 과정과 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
평가 목표 |
홍만종의 『소화시평(小華詩評)』에 수록된 예시문의 내용을 이해하고, 조선중기 산문의 전개 과정과 주요 작가의 문체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 |||||||||||||||||||
행동 요소 |
이해. 적용 |
문항유형 |
합답형 |
정답률 |
상, 중, 하 | |||||||||||||||
문 항 |
밑줄 친 인물 ㈎에 해당하는 내용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 |||||||||||||||||||
정 답 |
⑤ | |||||||||||||||||||
정답과 오답에 대한 설명 |
예시문은 “余嘗妄論二氏之文, 以謂谿谷近於天成, 澤堂深於人工, 比之於古, 蓋髣髴韓柳焉.”에서 장유의 산문은 천성(天成)에 가깝고 이식의 산문은 인공(人工)에 가깝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고, “文太密塞, 文字外不見有餘地.”, “然如疏箚論事之文, 精覈切深, 不似(谿谷/澤堂)平泛激發處.”, “渾厚流鬯, 如太湖漫漫, 微風不動.”, “精妙透徹, 如秦臺明鏡 物莫逃形.”를 통하여, 인공(人工)과 관련된 평어로 ‘文太密塞’, ‘精覈切深’, ‘精妙透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5개의 답지에서 ㈎에 해당하는 것은 ⑤번이다. | |||||||||||||||||||
출제 근거 |
예시문은 김창협(金昌協)의 『농암집(農巖集)』과 홍만종(洪萬宗)의 『소화시평(小華詩評)』에서, 조선중기 한문사대가(漢文四大家)로 일컬어지는 장유(張維)와 이식(李植) 산문의 특징을 밝힌 글을 모아놓은 것이다. | |||||||||||||||||||
교사 자격 기준 중 관련 항목 |
9. 한문과 교사는 한국 한문학사에 대한 지식과 활용능력을 갖춘다. |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