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항번호 |
14 |
| ||||||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
한시선독 |
평가 영역 |
이해 및 감상 | |||||
평가 내용 요소 |
한시의 내용과 미적 특질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 |||||||
평가 목표 |
각 시대에 대표성을 지닐만한 작가의 한시를 통해, 한국 한시의 흐름과 한국 한시의 내용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 |||||||
행동 요소 |
지식. 이해 |
문항유형 |
정답형 |
정답률 |
상, 중, 하 | |||
문 항 |
㉠ ~ ㉤에서 詩語의 의미를 바르게 풀이한 것은?
① (1)에서 ㉠天翁은 ‘天’을 의인화한 것이다. ② (1)에서 ㉡故는 ‘故人’와 같은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③ (2)에서 ㉢吏隱은 ‘野隱’과 같은 뜻으로 저자에 숨는다는 뜻이다. ④ (2)에서 ㉣敎는 ‘敎示’에서의 ‘敎’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⑤ (3)에서 ㉤矣은 ‘也’와 같은 의미로 의성어를 나타낸다. | |||||||
정 답 |
ⓛ | |||||||
정답과 오답에 대한 설명 |
(1)에서 ㉠天翁은 ‘천(天)’을 의인화한 표현이고, ㉡故는 ‘짐짓’ 혹은 ‘일부러’의 뜻으로 쓰인다. ㉢吏隱은 ‘야은(野隱)’과는 반대의 뜻으로 낮은 벼슬에 숨는다는 의미이고, ㉣敎는 ‘사(使)’와 같은 뜻으로 ‘하여금’으로 해석된다. ㉤矣은 어조사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5개의 답지에서 시어가 바르게 풀이되어 있는 것은 ⓛ번이다. | |||||||
출제 근거 |
예시문은 김극기(金克己)의 「어옹(漁翁)」, 신흠(申欽)의 「병음(病吟)」, 홍양호(洪良浩)의 「아기생(兒旣生)」으로, 시대별로 발달해온 한국 한시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 |||||||
교사 자격 기준 중 관련 항목 |
11. 한문과 교사는 한시에 대한 지식과 활용능력을 갖춘다. |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