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항번호 |
13 |
| ||||||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
한시선독 |
평가 영역 |
형식 및 구성 | |||||
평가 내용 요소 |
다양한 한시의 형식과 구성을 안다. | |||||||
평가 목표 |
한시에서 사용하는 시어와 전고, 용사 등을 통하여, 한국 한시를 바르게 이해하고 미적인 특질을 체득할 수 있다. | |||||||
행동 요소 |
지식. 이해 |
문항유형 |
정답형 |
정답률 |
상, 중, 하 | |||
문 항 |
(1) ~ (3)의 한시와 관련하여 바르게 서술한 것은?
① (1)은 絶句이며 (2)와 (3)은 樂府詩이다. ② (1)은 換韻하였고 (2)는 一韻到底하였다. ③ (1)은 鑑戒, (2)는 悔恨의 정조를 띄고 있다. ④ (2)와 (3)은 모두 典故와 用事를 사용하였다. ⑤ (2)의 공간적 배경은 開城이며, (3)의 공간적 배경은 北關이다. | |||||||
정 답 |
③ | |||||||
정답과 오답에 대한 설명 |
① (1)은 절구(絶句)이고, (2)는 율시(律詩)이며, (3)은 악부시(樂府詩)이다. (1)은 절구로 환운(換韻)할 수 없으며, (2)는 율시로 일운도저(一韻到底)하였다. 또한, (1)은 전구와 결구에서 감계(鑑戒)의 정조를 볼 수 있고, (2)는 모든 곳에서 전반적으로 회한(悔恨)의 정조를 보여준다. (2)는 중국의 용사(用事)를 사용하였으나, (3)은 용사나 전고를 사용하지 않았다. 그리고 (2)의 공간적 배경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고, (3)의 공간적 배경은 북관(北關)이다. 따라서 5개의 답지에서 바르게 서술되어 있는 것은 ③번이다. | |||||||
출제 근거 |
예시문은 김극기(金克己)의 「어옹(漁翁)」, 신흠(申欽)의 「병음(病吟)」, 홍양호(洪良浩)의 「아기생(兒旣生)」으로, 한국 한시의 미적인 특질을 잘 보여주고 있다. | |||||||
교사 자격 기준 중 관련 항목 |
11. 한문과 교사는 한시에 대한 지식과 활용능력을 갖춘다. |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