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논어 위령공 - 19. 죽을 때에 이르러선 일컬어짐이 있어야 한다 본문

고전/논어

논어 위령공 - 19. 죽을 때에 이르러선 일컬어짐이 있어야 한다

건방진방랑자 2021. 10. 13. 20:02
728x90
반응형

19. 죽을 때에 이르러선 일컬어짐이 있어야 한다

 

 

子曰: “君子疾沒世而名不稱焉.”

氏曰: “君子學以爲己, 不求人知. 然沒世而名不稱焉, 則無爲善之實可知矣.”

 

 

 

 

해석

子曰: “君子疾沒世而名不稱焉.”

공자께서 군자는 죽음에 이르기까지 이름이 일컬어지지 않음을 근심거리로 여긴다.”라고 말씀하셨다.

氏曰: “君子學以爲己, 不求人知.

범조우(范祖禹)가 말했다. “군자는 배워서 자기를 위하고 남이 알아줄 것을 구하지 않는다.

 

然沒世而名不稱焉,

그러나 죽을 때까지 이름이 일컬어지지 않으면

 

則無爲善之實可知矣.”

선을 행한 실체가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논어’ ‘衛靈公(위령공)’앞 장()에서 공자는 군자(君子)는 병무능언(病無能焉)이요 불병인지불기지야(不病人之不己知也)니라라고 하여, 군자는 자신의 무능함을 병으로 여기지, 남이 자신을 알아주지 않음을 병으로 여기지 않는다고 했다. 그런데 그 다음의 이 장()에서 공자는 위와 같이 말했으니, 둘 사이에 모순이 있지 않나 의심할 수 있다. 물론 공자는 제자들에게 남이 알아주지 않더라도 투덜거리지 말고 내면을 닦아 자신을 충실하게 하는 전내실기(專內實己)의 공부에 힘쓰라고 거듭 촉구했다. 그런데 전내실기(專內實己)의 실상은 나의 선덕(善德)과 선행(善行)을 남이 인정해 주느냐 그러지 않느냐에 따라 제대로 드러난다. 그렇기에 군자는 세상 마치도록 이름이 일컬어지지 않음을 싫어한다고 한 것이다.

여기서의 질()은 병()이나 환()과 마찬가지로, 마음에 걸쳐 두고 염려함이다. 몰세(沒世)는 몸이 몰()한 이후를 가리키는 말로, 종신(終身)과 같다. 명불칭(名不稱)은 선덕(善德)을 쌓고 선행(善行)을 하였다는 명성이 세간에서 칭송되지 않음이다. 왕양명(王陽明)은 이름이 실상과 합칭(合稱)하지 않음이라고 보았으나, 취하지 않는다.

범조우(范祖禹)는 이렇게 말했다. 군자는 학문을 하여 자신을 위하지, 남이 알아주기를 구하지 않지만 종신토록 이름이 일컬어지지 않는다면 을 행한 실제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정약용은 이렇게 말했다. 군자의 입지(立志)는 개나 말처럼 이름 없이 사라져가는 것을 부끄러워하는 법이니, 만일 몸이 죽음에 따라 이름마저 사라져버린다면 어찌 이를 슬퍼하지 않겠는가. 사람으로서 몸이 다하도록 하나의 명성도 이루지 못하게 되면 죽어서도 또한 명성이 있을 수 없기에 군자는 오로지 자신을 슬퍼하는 것이다.

남이 나를 알아주거나 알아주지 않거나 하는 것은 나와 상관이 없다. 하지만 뜻을 세운 이래 몸이 다하도록 하나의 명성도 이루지 못한다면 나 자신이 서글플 수밖에 없으리라.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인용

목차 / 전문 / 편해 / 역주

생애 / 공자 / 유랑도 / 제자들

09116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