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군자가 일반인과 다른 점
子曰: “君子矜而不爭, 群而不黨.”
莊以持己曰矜. 然無乖戾之心, 故不爭. 和以處衆曰群. 然無阿比之意, 故不黨.
해석
子曰: “君子矜而不爭, 群而不黨.”
공자께서 “군자는 자기를 존중하되 다투지 않고 무리를 만들되 사당(私黨) 짓지 않는다.”라고 말씀하셨다.
莊以持己曰矜.
장엄하게 자기를 지키는 것을 긍(矜)이라 한다.
然無乖戾之心, 故不爭.
그러나 망치려는 마음이 없기 때문에 다투지 않는다.
和以處衆曰群.
화합함으로 백성들에 처하는 것을 군(群)이라 한다.
然無阿比之意, 故不黨.
그러나 아첨하려는 뜻이 없기 때문에 사당 짓지 않는다.
○ 군자는 자긍심을 지녀 근엄(謹嚴)하고 장중(莊重)하되 남과 조화(調和)한다. 자존심을 내세워 남과 싸우지 않으며 남에게 아첨해 편당(偏黨)을 짓지 않는다. ‘논어’ ‘위령공(衛靈公)’의 이 장(章)에서 공자는 군자의 인간관계에 대해 언급했다. 긍(矜)은 몸가짐을 장중(莊重)하게 지니는 일, 쟁(爭)은 남과 싸워 자기를 높이려는 일, 군(群)은 남과 마음으로 모이는 일, 당(黨)은 권력자와 가까이 지내 무리 짓는 일을 뜻한다. 이(而)는 역접의 접속사다.
이 장(章)에 따르면 군자는 장중(莊重)하되 화평(和平)의 기운을 잃지 않으므로 남과 괜스레 다투지 않는다. 또 군자는 남과 어울려 무리를 짓되 권력에 빌붙으려는 사사로운 정을 지니지 않으므로 같은 무리끼리 당파(黨派)를 이루지 않는다. 군자가 긍지를 갖되 다투지 않는다고 한 것은 ‘자로(子路)’에서 ‘군자(君子)는 태이불교(泰而不驕)하고 소인(小人)은 교이불태(驕而不泰)니라’고 말한 것과 뜻이 통한다. 곧, 공자는 ‘군자는 여유 있되 교만하지 않고, 소인은 교만하되 여유가 없다’고 했다. 또 군자가 편당하지 않는다고 한 것은 같은 ‘자로(子路)’에서 ‘군자(君子)는 화이부동(和而不同)하고 소인(小人)은 동이불화(同而不和)이니라’라고 말한 것과 뜻이 통한다. 즉, 공자는 ‘군자는 화합하면서도 부화뇌동하지 않지만 소인은 부화뇌동만 할 뿐 화합하지는 못한다’고 했다.
태(泰)와 교(驕), 화(和)와 동(同), 긍(矜)과 쟁(爭), 군(群)과 당(黨)은 군자와 소인이 분립(分立)하는 경계다. 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그 둘이 늘 혼재되어 있다. 옛사람은 오곡 싹 사이에 가라지가 섞여 있듯이 하여 둘 사이의 같은 점과 다른 점, 옳은 점과 잘못된 점을 금방 알기 어렵다고 했다. 그렇지만 둘을 정밀하게 살펴보면 검은색과 흰색의 차이처럼 뚜렷하므로 얼른 구별해내지 못할 것도 없다. 하지만 우리는 과연 군자와 소인을 구별할 안목을 지니고 있는가?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인용
'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위령공 - 23. 내가 하고 싶지 않은 것을 남에게 강요하지 않는다 (0) | 2021.10.13 |
---|---|
논어 위령공 - 22. 선입견으로 그 사람을 판단하지 않는다 (0) | 2021.10.13 |
논어 위령공 - 20. 남에게서 구하는 사람과 자신에게서 구하는 사람 (0) | 2021.10.13 |
논어 위령공 - 19. 죽을 때에 이르러선 일컬어짐이 있어야 한다 (0) | 2021.10.13 |
논어 위령공 - 18. 군자가 근심거리로 여기는 것 (0) | 2021.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