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논어 위령공 - 33. 군자와 소인, 각각의 장점 본문

고전/논어

논어 위령공 - 33. 군자와 소인, 각각의 장점

건방진방랑자 2021. 10. 13. 21:55
728x90
반응형

33. 군자와 소인, 각각의 장점

 

 

子曰: “君子不可小知, 而可大受也; 小人不可大受, 而可小知也.”

此言觀人之法. , 我知之也. , 彼所受也. 蓋君子於細事未必可觀, 而材德足以任重; 小人雖器量淺狹, 而未必無一長可取.

 

 

 

 

해석

子曰: “君子不可小知, 而可大受也; 小人不可大受, 而可小知也.”

공자께서 군자는 작은 것으로 알 수는 없지만 큰 임무를 받을 만하고, 소인은 큰 임무를 받진 못하나 자잘한 것으로 알 만하다.”라고 말씀하셨다.

此言觀人之法.

여기서는 사람 보는 법을 말했다.

 

, 我知之也.

()는 내가 그것을 아는 것이다.

 

, 彼所受也.

()는 저 사람이 받은 것이다.

 

蓋君子於細事未必可觀,

대체로 군자는 작은 일에 대하여 반드시 알 수는 없으나

 

而材德足以任重;

재질의 덕이 충분히 중임을 맡을 만하고

 

小人雖器量淺狹,

소인은 비록 기량은 얕고 협소하지만

 

而未必無一長可取.

반드시 한 가지 장점도 취할 만한 게 없지 않다.

 

논어’ ‘위령공(衛靈公)’의 이 장()에서 공자는 군자와 소인의 임무가 다를 수 있다고 논하였다. 해석에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주자는 지()와 수()를 서로 다른 것으로 보아 지()는 내가 사람을 관찰하는 것, ()는 저 사람이 나에게서 받는 것을 가리킨다고 보았다. 이에 비해 정약용은 지()와 수()를 모두 맡아 본다로 해석했다. , ()를 일에 참여하여 주관한다는 뜻의 여지(與知)’로 본 것이다.

주자의 설에 따른다면 이 장은 군자는 작은 임무를 가지고는 능력을 알 수 없으나 큰 임무를 받을 수 있고, 소인은 큰 임무를 받을 수는 없으나 작은 임무를 가지고 능력을 알 수 있다로 풀이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는 정약용의 설을 따랐다. ()하게 할 수 있다’, 불가(不可)하게 할 수 없다이다. 소지(小知)는 작은 임무를 맡아봄, 대수(大受)는 큰 임무를 받아 행함이다.

위정(爲政)’편에서 공자는 군자불기(君子不器)’라 하였다. 군자는 그릇처럼 국한되지 않기에 한 가지 재주나 기예(技藝)에 능한 것이 아니다. 군자는 회계 장부를 적어 기일 안에 조정에 보고하는 일이나 백성의 생활필수품인 미염(米鹽)을 관리하는 일에서는 재능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 오히려 군자는 어린 군주를 보호하고 나라의 국정과 운명을 책임지며, 군주를 요임금, 순임금과 같은 성군으로 만들어, 백성들에게 큰 은택을 끼칠 수 있다.

회남자에서는, 살쾡이로 소를 잡게 할 수 없고 범으로 쥐를 잡게 할 수 없다든가[狸之不可使搏牛], 도끼로 터럭을 자르려 하고 칼로 아름드리 나무둥치를 자를 수 없다든가 하는 비유를 들었다. 오늘날의 관점에서는 군자와 소인을 역할의 차이로 이해하면 좋을 듯하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인용

목차 / 전문 / 편해 / 역주

생애 / 공자 / 유랑도 / 제자들

12111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