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어무적 - 신력탄(新曆歎) 본문

한시놀이터/조선

어무적 - 신력탄(新曆歎)

건방진방랑자 2022. 10. 30. 01:10
728x90
반응형

새해의 탄식

신력탄(新曆歎)

 

어무적(魚無跡)

 

 

我願三萬六千日 判作人間兩朝夕

春花一吐一年紅 秋月一照一年白

堯舜至今顔尙韶 周孔至今頭尙黑

朝聞吁咈土階上 暮見絃誦杏壇側

一年黃河水再淸 三歲蟠桃子屢熟

太山肴核銅柱筯 滄海杯樽斗杓刁

聊與萬民同醉眠 嗚嗚共唱康衢曲

却勸紫皇詔太史 萬萬年來一改曆 續東文選卷之五

 

 

 

 

 

 

해석

我願三萬六千日

아원삼만육천일

나의 소원은 36.000일을

判作人間兩朝夕

판작인간량조석

사람의 아침ㆍ저녁으로 양분하여 만드는 것이다.

春花一吐一年紅

춘화일토일년홍

봄꽃이 한 번 피면 1년 내내 붉고,

秋月一照一年白

추월일조일년백

가을달이 한 번 비추면 1년 내내 밝았으면.

堯舜至今顔尙韶

요순지금안상소

그랬다면 요순이 지금에 이르러서도 얼굴은 오히려 애띨 것이고,

周孔至今頭尙黑

주공지금두상흑

주공과 공자는 지금에 이르러서도 흑발이었겠지.

朝聞吁咈土階

조문우불토계상

그러면 흙 계단 위에선 태평성대를 이루기 위한 회의 소리우불(吁咈): 임금과 신하가 태평성대를 이루기 위하여 조정에서 회의할 때, 좋은 말은 찬성하고 부당한 말은 반대하는 것. 듣고,

暮見絃誦杏壇側

모견현송행단측

저녁이면 공자가 제자현송(絃誦): 지방 수령(守令)의 어진 교화를 뜻한다. 현송은 현가(絃歌)와 같으니, 금슬(琴瑟)을 연주하며 노래하는 것으로, 예악(禮樂)의 교화를 뜻함.를 기르던 단행단(杏壇): 공자가 제자들을 가르치던 남겨진 터로, 곡부현(曲阜縣)의 성묘(聖廟) 앞에 있음. 옆에서 글 읽는 모습을 보였을 텐데.

一年黃河水再淸

일년황하수재청

1년엔 황하의 물이 두 번이나 맑을 것이고,

三歲蟠桃子屢熟

삼세반도자루숙

3년마다 반도의 씨앗반도(蟠桃): 한무제(漢武帝), 서왕모(西王母)가 준 복숭아를 먹고는 그 씨를 심으려고 하자, 서왕모가 웃으면서 그 복숭아는 삼천 년에 한 번 열매를 맺는다.[此桃三千年一生實]”고 말했다는 전설이 있다. 박물지(博物志)8은 자주 익으리라.

太山肴核銅柱筯

태산효핵동주저

태산의 술안주와 과일로, 동으로 만든 젓가락과

滄海杯樽斗杓刁

창해배준두표조

창해의 술잔과 북두칠성의 자루로

聊與萬民同醉眠

료여만민동취면

즐기며 만 백성과 함께 취하여 잠들고

嗚嗚共唱康衢曲

오오공창강구곡

얄리얄리얄라셩이라 강구곡을 부르리.

却勸紫皇詔太史

각권자황조태사

도리어 임금자황(紫皇): 도교에서 말하는 전설상의 신선으로 태청궁(太淸宮)에 있다고 한다. 임금을 비유하는 말로 쓰였다.에게 권하여 태사에게 조칙을 내려

萬萬年來一改曆

만만년래일개력

만만 년이 오면 한 번씩 책력을 고치리. 續東文選卷之五

 

 

인용

한시사

문학통사

청장관전서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