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논어 양화 - 12. 내실이 없는 사람에 대해 본문

고전/논어

논어 양화 - 12. 내실이 없는 사람에 대해

건방진방랑자 2021. 10. 14. 11:36
728x90
반응형

12. 내실이 없는 사람에 대해

 

 

子曰: “色厲而內荏, 譬諸小人, 其猶穿窬之盜也與?”

, 而審反. , 平聲.

, 威嚴也. , 柔弱也. 小人, 細民也. 穿, 穿壁. , 踰牆. 言其無實盜名, 而常畏人知也.

 

 

 

 

해석

子曰: “色厲而內荏, 譬諸小人, 其猶穿窬之盜也與?”

공자께서 안색은 위엄 있는 척하지만 내면은 유약한 것을 소인에게 비유하면 벽을 뚫고 담을 넘는 도둑 같을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 而審反. , 平聲.

, 威嚴也. , 柔弱也.

()은 위엄이다. ()은 유약한 것이다.

 

小人, 細民也. 穿, 穿壁.

소인(小人)은 평민이다. (穿)은 벽을 뚫는 것이다.

 

, 踰牆.

()는 담장을 넘는 것이다.

 

言其無實盜名, 而常畏人知也.

실체는 없이 이름만 도적질하여 항상 남이 알까 두려워하는 것을 말했다.

 

인격을 갖춘 군자(君子)와 그렇지 못한 소인(小人)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군자(君子)는 내면의 덕()이 바깥의 위엄(威嚴)으로 드러나 안과 밖이 일치한다. 하지만 소인은 표리부동(表裏不同)하다. 얼굴빛은 위엄스러운 듯하지만 마음은 유약(柔弱)하기만 하다. ‘양화(陽貨)’ 12장에서 공자는 소인을 벽을 뚫거나 담을 넘는 도둑에 비유했다. 실상이 없이 이름만 도둑질해서 항상 남이 알까 두려워한다고 지적한 것이다.

색려(色厲)는 안색(顔色)이나 태도(態度)가 위엄 있는 듯이 보이는 것을 말한다. 주자는 려()를 위엄(威嚴)이라고 풀이했다. 내임(內荏)은 심약(心弱)해서 안정감이 없는 것을 말한다. 주자는 임()을 유약(柔弱)이라고 풀이했다. 소인(小人)에 대해 주자는 세민(細民)이라고 주석을 했다. 여기서는 영세민이나 농민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권력을 훔쳐서 백성에게 중세(重稅)를 부과하고 탄압하는 인물을 말한다. 천유(穿窬)의 천(穿)은 벽에 구멍을 뚫는 것, ()는 담을 넘는 것이다.

도둑을 가리켜 양상군자(梁上君子)라고 한다. ()은 들보 량()이다. 후한(後漢)의 진식(陳寔)은 도둑이 들보 위에 숨어있는 모습을 보고 착하지 못한 사람도 본시 악한 것이 아니라 버릇이 습성화되어 그렇게 된 것이니 저 양상군자도 그러하다며 자손을 훈계했다. 도둑이 듣고서 놀라 떨어졌다고 한다.

옛날의 도둑은 기한(飢寒)에 시달리고 목숨이 절박(切迫)해서 도둑이 된 것이어서 그나마 염치(廉恥)가 있었기에 몰래 훔치면서 남이 알까 두려워했다. 그래서 성인은 실정을 알고 보면 애처롭고 불쌍하니 잡더라도 기뻐하지 말라고까지 했다. 하지만 실상에 맞지 않게 고위직에 있는 자는 염치가 아예 없어서 남을 두려워하지도 않을 것이다. 공자는 그것을 서글퍼했고 나도 그것을 서글퍼한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인용

목차 / 전문 / 편해 / 역주

생애 / 공자 / 유랑도 / 제자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