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김인회, 조선시대 사대부의 한글 사용과 의미 - Ⅲ. 사대부들의 우리말 음가의 표현, 2) 시가의 가창과 한글 본문

한문놀이터/논문

김인회, 조선시대 사대부의 한글 사용과 의미 - Ⅲ. 사대부들의 우리말 음가의 표현, 2) 시가의 가창과 한글

건방진방랑자 2019. 11. 30. 10:50
728x90
반응형

 2. 시가의 가창(歌唱)과 한글

 

조선의 사대부들은 자기의 생각과 정서를 드러낼 때 기존의 여러 관습과 장르를 두루 실험하고 상황에 알맞은 형식을 찾아내고자 고민했다. 이때 한문과 한시는 사대부들의 정서를 표현할 수 있는 자연스럽고도 중요한 수단이었지만 한글을 이용한 시조와 가사 또한 그만의 정서와 의미를 담아낼 수 있는 그릇이었다. 한문을 사용한 문학과 한글(혹은 우리말)을 사용한 문학의 차이는 어디서 비롯되는가? 혹은 어떻게 인식되었는가?

 

 

[3-3]

오늘의 시는 옛날의 시와 달라서 읊을 수는 있어도 노래할 수는 없다. 만약 노래를 부르려고 한다면 반드시 한글로 엮어 지을 수밖에 없다. [] 아이들로 하여금 조석으로 이를 연습하여 노래 부르게 하고 나는 궤에 기대어 듣기도 한다. 또한 아이들로 하여금 스스로 노래를 부르고 스스로 춤추게 한다면 거의 세속의 더러움을 털어버리고, 감동하여 마음이 트일 것이니, 노래하는 자와 노래 듣는 자가 서로 유익함이 없지 않을 것이다.

然今之詩異於古之詩, 可詠而不可歌也. 如欲歌之, 必綴以俚俗之語. [] 使兒輩朝夕習而歌之, 憑几而聽之. 亦令兒輩自歌而自舞蹈之, 庶幾可以蕩滌鄙吝, 感發融通, 而歌者與聽者, 不能無交有益焉. -李滉, 退溪集, 43 陶山十二曲跋.

 

 

이황(1501-1570)도산십이곡발을 통해 우리 말 노래의 가치를 뚜렷하게 피력했다. 한문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사대부라 하더라도 자기의 감정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우리말을 사용해 시를 창작할 수밖에 없다. 우리말로 된 시가는 노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시가 하지 못하는 울림을 담을 수 있고, 또 그 울림을 만들어낼 수 있기에 한시와는 전혀 다른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가치에 대한 인식은 정철의 사미인곡·속미인곡관동별곡이소에 비견한 김만중(1637-1692)의 평가를 통해서 다시 확인할 수 있다松江關東別曲, 前後思美人歌, 乃我東之離騷, 而以其不可以文字寫之, 故惟樂人輩, 口相授受, 或傳以國書而已. 人有以七言詩翻關東曲而不能佳, 或謂澤堂少時作非也. 鳩摩羅什有言曰, 天竺俗最尙文, 其讚佛之詞, 極其華美. 今以譯泰語, 只得其意, 不得其辭. 理固然矣. 人心之發於口者, 爲言. 言之有節奏者, 爲歌詩文賦. 四方之言雖不同, 苟有能言者, 各因其言而節奏之, 則皆足以動天地通鬼神, 不獨中華也. 今我國詩文, 捨其言而學他國之言, 設令十分相似, 只是鸚鵡之人言, 而閭巷間樵童汲婦咿啞而相和者, 雖曰鄙俚, 若論眞贋, 則固不可與學士大夫所謂詩賦者, 同日而論. 況此三別曲者, 有天機之自發, 而無夷俗之鄙俚, 自古左海眞文章, 只此三篇. 然又就三篇而論之, 則後美人尤 高. 關東前美人, 猶借文字語, 以節其色耳. -金萬重, 西浦漫筆159.. 주의해야 할 점은 우리말로 된 시가가 주는 가치가 단순히 감정을 실어 노래 부르는데서 오는 쾌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황은 한시와 시조의 차이를 ()’()’로 파악하고 가창(歌唱)이 낳은 흥()에다가 시조의 존재이유를 설정하였다. 이것은 문학으로서의 하나의 자각이다. 한시에서는 충족할 수 없는 흥을 시조에서 찾고, 그 흥을 매개하여 자기를 창조하는 그런 자각이다. 시조에 대한 이황의 흥취는 조선조 사대부의 그것이기도 하다. -최진원, 한국고전시가의 형상성(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6), 53.

 

 

최진원은 예문 3-3 도산십이곡발을 분석하여 우리 시가의 가치를 흥()에서 찾았다. 이때 흥은 하나의 심미체험으로 더러운 것을 털어버리고[蕩滌鄙吝], 감동하여 마음이 트이는[感發融通]’ 것을 말한다. 조선 시가의 특질은 이 심미체험을 자연을 통해서 이룩하는 데 있었고 또 시가의 가창 자체가 학문의 구실이 되기도 했다김태환, 율곡 고산구곡가의 자연과 풍류, 율곡시대의 미학(신아출판사, 2003), 152-155.. 이러한 문학사의 현상이 주지하는 것은 강호가도(江湖歌道). 사대부들에게 우리말을 이용한 가창은 매우 중요한 것이었다. 그것은 우리말로 된 노래의 가창이 단순히 오락거리이기도 했지만 이황의 경우처럼 인격함양의 교육적인 것이기도 했고 그 자체가 학문을 이루는 요소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우리말과 그것을 담을 수 있는 그릇인 한글은 사대부들에게 학문을 하는 중요한 매체이기도 했다.

 

전통 시기 우리나라는 문··철의 제 영역에서 중국에 영향 받은 바가 컸다. 강호가도의 형성 역시 주자학에 영향 받은 바가 컸다. 그러나 조선의 사대부는 중국의 문화에 매몰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중국과 우리의 차이를 발견했고 나아가 우리 것을 발전시키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발전의 수단이 되고 촉진시킨 것은 바로 한글이었다. 조선의 사대부는 한글의 중요한 사용자였다.

 

 

 

 

인용

목차 / 지도

I. 머리말

II. 사대부를 위한 번역

1. 번역의 전통과 사대부

2. 표준번역으로서의 언해

III. 사대부들의 우리말 음가의 표현

1. 한자음의 혼란과 운서의 편찬

2. 시가의 가창과 한글

IV. 맺음말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