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김인회, 조선시대 사대부의 한글 사용과 의미 - I. 머리말 본문

한문놀이터/논문

김인회, 조선시대 사대부의 한글 사용과 의미 - I. 머리말

건방진방랑자 2019. 11. 30. 07:31
728x90
반응형

 조선시대 사대부의 한글사용과 그 의미

 

 

김인회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국문학 전공

kkimins@hanmail.net

 

 

1. 머리말

 

 

한글은 모든 사람을 위해 창제되었다. 세종대왕훈민정음서문에서 사람들이 쉽게 익히고, 나날이 편하게 쓰도록 하기 위함나랏말ᄊᆞ미 듀ᇰ귁에 달아 ᄍᆞᆼ와로 서르 ᄉᆞᄆᆞᆺ디 아니ᄒᆞᆯᄊᆡ 이런 젼ᄎᆞ로 어린 ᄇᆡᆨ셔ᇰ이 니르고져 호 ᇙ배 이셔도 ᄆᆞᄎᆞᆷ내 제 ᄠᅳ들 시러 펴디 몯ᄒᆞᇙ 노미 하니라 내 이ᄅᆞᆯ 윙ᄒᆞ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여듧 ᄍᆞᆼᄅᆞᆯ ᄆᆡᇰᄀᆞ노니 사ᄅᆞᆷ마다 ᄒᆡᅇᅧ 수ᄫᅵ 니겨 날로 ᄡᅮ메 便ᅙᅡᆫ킈 ᄒᆞ고져 ᄒᆞᇙᄯᆞᄅᆞ미니라이라고 밝혀 한글이 모든 사람을 위한 문자임을 분명히 했다. 그리고 한글의 실제 쓰임새도 서문에서 밝힌 의도와 부합했다. 한글은 세종대왕의 자손인 왕족은 물론이거니와 사족, 평민, 노비에 이르기까지 모든 계급과 계층이 사용하는 문자였다. 이러한 광범위한 사용은 한글이 한자에 비해 익히기 쉬운 편이성을 갖춘 문자이기 때문에 가능했다.

 

그러나 한글 사용에 관한 기존 연구는 한글 사용의 주체로 중인과 아녀자를 상정하고 특히 여성의 한글 사용 실태를 밝히는 것에 관심을 두어왔다강윤호, 이조 여성과 한글 보존, 김활란박사 교직근속 사십주년 기념논문집(이화여자대학교, 1958); 백두현,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 연구 󰠏조선왕조실록 및 한글필사본을 중심으로󰠏」, 진단학보97(2004); 백두현,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 연구 󰠏한글 편지와 한글 고문서를 중심으로󰠏」, 어문논총42(2005); 백두현,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 연구 󰠏한글 음식조리서와 여성 교육서를 중심으로󰠏」, 어문논총45(2006); 이종묵, 조선시대 여성과 아동의 한시 향유와 이중언어체계, 진단학보104(2007); 황문환,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현황과 특성, 국어사연구10(2010).. 이러한 연구사의 맥락은 일견 타당한 점이 있다. 현재 남아있는 한글 자료의 상당수가 여성이 창작했거나 여성을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여성지향이 아닌 한글 자료들은 상층계급의 필요에 의해 번역한 것(윤음, 포고문)류승록, 윤음언해의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1984); 윤혜영, 조선시대 윤음언해본에 나타난 인용구조 연구, 한말연구29(2011); 김봉좌, 조선시대 관청문서의 대민 유포와 한글 사용, 조선 후기 사회의 소통과 한글(규장각한국학연구원 인문한국사업단 제17HK워크숍, 2012. 11. 14).)이나 상층계급이 한문을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특별히 번역한 것(교화서·농서·의서)(유명우, 한국 번역사에서 본 조선조 언해 번역, 번역학연구5권 제2(2004); 이강옥, 이중언어 현상과 고전문학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에 대한 연구, 어문학106(2009); 김풍기, 조선 전기 언해 사업의 문화적 의미, 한국어문학연구58(2012)., 역시 한문을 모르는 하층계급과의 계약을 위해 사용한 것(한글 고문서)(윤음, 포고문, 한글고문서 등의 자료와 연구사는 이상규, 한글고문서연구(경진,2011)에 제시·요약되어 있다. 등이 지적되고 연구되어왔다.

 

소수의 연구를 제외하고는김슬옹, 「『조선왕조실록의 한글 관련 기사를 통해 본 문자생활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05) 정도가 있다. 김슬옹은 한글을 제도적으로 보급된 공식문자로 보고 그 사용 양상을 분석했다. 사대부는 여성이나 하층민 등과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수동적이고도 임시적으로 한글을 사용했던 것으로 파악했다. 이러한 시각이 쌓여 현재는 한글은 여성, 아동, 한문을 모르는 남성 등의 성인 사대부에 비해 지위가 낮은 이들을 위한 문자였다는 인식이 연구사 전반을 관통하는 일종의 전제로 작용하고 있는 듯하다.

 

그런데 사대부들의 한글 사용이 여성지향적·하층지향적이라는 전제는 실상과 너무나 동떨어진 것이어서 문제가 된다. 우선 매우 잘 알려진 바대로 조선의 사대부는 한글을 이용해 적극적으로 문학작품을 창작했다. 시조와 가사가 그것이다.

 

 

[1󰠏1]

신해년 가을에 따로 성대한 잔치를 배설하여 마을의 어른들과 이웃 고을의 수령들이 모두 모였다. 잔치를 크게 베풀고 차례로 일어나 술을 권하여 마침내 취해서 춤을 추기에 이르렀다. 각자 노래를 불렀고 옹(이현보)도 또한 화답하였으니 이것은 그때 지은 것이다.

辛亥之秋, 別設盛筵. 鄕中父老, 四隣邑宰俱會. 大張供具, 秩起酬酢, 終至醉舞. 各自唱歌, 翁亦和答. 此其所作也. 李賢輔, 󰡔聾巖集󰡕, 雜著 卷3, 生日歌幷序.

 

 

퇴계가 존경하던 고향의 노선배인 농암 이현보(1467󰠏1555)의 생일잔치에서 잔치에 초대받은 마을의 어른들과 고을의 수령들이 취흥에 노래를 부르며 놀았다는 내용이다. 이 생일잔치에서 농암이 지은 생일가가 위 서문과 함께 그의 문집에 실려 전한다. 우리말 노래인 시조는 고려말 이래로 사대부들의 생활 속에서 가창적이고 즉흥적이며 오락적인 성격으로 자연스레 창작되고 있었다임형택, 국문학의 전통과 도산십이곡, 󰡔한국문학사의 시각󰡕(창작과비평사, 1984)참조..

 

문학작품의 창작 외에도 상당수의 번역서가 사대부를 위한 것이었다. 예컨대 대명률직해등 법률집 번역서, 사서삼경 등 경서 번역서, 두시언해등 시문집 번역서 등은 국가적 차원에서 당대의 학술역량을 결집하여 이루어낸 것들이다. 이러한 번역서들은 한문을 모르는 평민이나 배움을 시작하는 아이들을 위해 번역한 것이 아니라 사대부 자신이 독서하기 위한 번역한 것들이었다.

 

또 한자의 정확한 음가를 표기하기 위해 한글이 쓰였다. 한자의 올바른 발음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는 조선 초기부터 꾸준히 문제시되어왔다. 한글의 창제 이유 중 하나도 한자의 올바른 음을 표기하기 위해서였다. 한자의 음에 대한 관심은 우리 한자음을 단독으로 표기한 동국정운, 중국 한자음을 표기한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등 초기 운서부터 중국 한자음과 우리 한자음을 아울러 표기한 규장전운등 후기 운서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확인할 수 있다. 주지하다시피 한자의 음과 성조를 아는 것은 한문으로 시를 짓는 기본으로, 이들 운서에 표시된 한자음은 사대부들에게 중요한 정보였을 것이다.

 

위에서 간략하게 예시한 번역서나 운서 등의 서적이 모두 어린아이나 한문을 모르는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님은 분명하다. 사대부들에게 한글은 생활 속에서 풍류를 즐기거나 공부를 하고 사전을 읽는 데 긴요한 것이었다. 사대부를 위한 쓰임새를 갖춘 한글 문헌들이 존재했고 사대부들 역시 적극적으로 이들을 독서하고 활용했다.

 

그렇다면 기존의 한글 사용에 관한 연구가 보여주고 있는 여성지향성과 하층지향성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가. 이는 연구 자료를 한글고문서 위주로 편향되게 사용한 점에서 찾을 수 있다. 그간 한글의 사용에 관한 연구, 곧 한글생활 연구는 주로 한글로 된 공·사 문서와 언간 등을 주된 자료로 사용하여 연구되어왔다. 따라서 사대부들이 생산하고 이용한 한글문헌을 미처 다루지 못했고, 그 결과 한글 사용을 여성지향 혹은 하층지향적으로 파악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여성 하층민 외에 사대부도 적극적인 한글 사용자층이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그를 위해 사대부의 구체적인 한글 사용 양태를 알아 볼 것이다. 2장에서는 사대부를 위한 번역서를 살피고 3장에서는 사대부들의 우리말 표기에 대한 관심을 살필 것이다.

 

이 작업이 조선시대 한글 사용의 전체적인 모습을 재구성하는 밑작업이 되길 기대한다.

 

 

 

 

인용

목차 / 지도

I. 머리말

II. 사대부를 위한 번역

1. 번역의 전통과 사대부

2. 표준번역으로서의 언해

III. 사대부들의 우리말 음가의 표현

1. 한자음의 혼란과 운서의 편찬

2. 시가의 가창과 한글

IV. 맺음말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