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子 지도안
四端의 철학자(仁ㆍ義ㆍ禮ㆍ智) / 공맹사상-儒學
1. 품사 구별
실사↔허사(개사, 어조사, 접속사, 감탄사)
1) 有不忍人之心 = 斷機之戒
有 | 不 | 忍 | 人 | 之 | 心 |
6 | 2 | 1 | 3 | 4 | 5 |
있다 | 못하는 | 차마 하지 | 사람 | 의 | 마음이 |
之: 어조사-~하는, ~의 / 동사-간다
2) 非所以要譽於鄕黨朋友也 = 靑出於藍
非 | 所以 | 要 | 譽 | 於 | 鄕黨朋友 | 也 |
6 | 5 | 4 | 3 | 2 | 1 | 7 |
아니 | 까닭이 | 요구하려는 | 칭찬을 | 에게 | 마을 친구 | 다 |
於: 개사-~에게, ~에서
2. 내용 주제 – 활동지1(모둠)
내가 만든 가상 활동지
1. 우물에서 어떤 일이 있었나요? 2. 그때 목격자는 어땠나요? 3. ‘~ 때문에 그런 마음이 생긴 건 아니다’라고 할 때 ‘~ 때문에’에 해당하는 세 가지 내용 적기 ① ② ③ |
1. 아기가 우물에 빠지려 함.
2. 두렵고 측은한 마음이 생김
3.
① 부모와 친하기 때문X
② 마을 친구에게 칭찬 받으려 해서X
③ 아기의 소리가 듣기 싫어서X
그렇다면 왜 이런 마음이 생긴 걸까요?
“仁”이 있어서 그렇다
3. 인성 함양
측은한 마음이 생긴 사례 적어보자.
성현: 유관순 누나, 고문 당함
영지: 폐지를 잔뜩 채우고 리어카 끄는 할아버지
수미: 밤늦도록 일하다가 들어온 부모님
참고 수업 내용 학습방향 1. 之와 於의 쓰임 1) ‘不忍人之心’ - 수식어(꾸며주는 말) ‘不忍人’와 피수식어(꾸밈 받는 말) ‘心’을 이어주는 어조사로 ‘~의’, ‘~한’, ‘~하는’과 같이 해석됨. ‘차마하지 못하는 사람의 마음’ 2) ‘孺子將入於井’ - 명사 앞에 쓰인 於는 동사와 명사를 이어주는 ‘개사’로 ‘어린아이가 장차 우물로 빠지려 하는 것’이란 뜻으로 처소를 나타내줌. 2. 산문의 내용과 주제를 안다. 1) 내용: 우물에 빠질 것 같은 아이를 보면서 구하려는 마음이 드는 것은 당연한 인간의 본연지심이다. 2) 주제: 타고난 측은지심을 잘 간직하여 그걸 확충해나가자. 3.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한다. 1) 모둠별로 측은지심이 드러난 신문기사를 찾아 가상인터뷰로 만들어 발표해보자. |
孟子 피드백
00:26 ‘모둠장’이란 말이 생각이 났는데 ‘조장’이란 말로 바꾸느라 멈칫 했다. 그게 매우 부자연스러워 보인다. 그냥 생각난 그대로 말하는 게 낫다.
06.11 해석 순서를 쓸 때 틀렸음. 그에 따라 之가 ‘~의’가 아닌 ‘~하는’으로 해석되었음.
有 | 不 | 忍 | 人 | 之 | 心 |
6 | 3 | 2 | 1 | 4 | 5 |
있다 | 못하는 | 차마 하지 | 사람의 | ~하는 | 마음이 |
有 | 不 | 忍 | 人 | 之 | 心 |
6 | 2 | 1 | 3 | 4 | 5 |
있다 | 못하는 | 차마 하지 | 사람 | 의 | 마음이 |
12:45 내용과 주제에서 질문에 대한 답을 들을 때 공통된 부분. 질문을 던져놓고 써놓은 것을 보느라 답변 모둠을 바라보지 않고 밑에 적은 글을 보고 있음.
전체적인 소감은 잘 흘러간다는 것이지만 좀 숨 가빠질 때가 있다. 시간 안배를 잘 해야 하고 아이들과 더욱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전체적인 것에 대해 어느 정도 암기한 상태로 진행하는 것도 필요해보인다. 자꾸 대본을 보려다 보니 흐름이 끊어지고 머뭇거리게 되니 말이다.
인용
'학교 > 수업&지도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1.07 - 삼인성호 지도안과 피드백 (0) | 2021.01.07 |
---|---|
21.01.06 - 차계기환 지도안과 피드백 (0) | 2021.01.06 |
20.01.18 - 발해고서 지도안과 피드백 (0) | 2020.01.18 |
2차 수업실연 - 산문 발해고서 문제 (0) | 2020.01.18 |
20.01.17 - 산문 우공이산 지도안과 피드백 (0) | 2020.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