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좋은 골동품도 몰라보는 세대
옛날에 고기古器를 팔려 했으나 3년이 지나도록 팔지 못한 사람이 있었다. 그 바탕은 딱딱한 것이 돌이었는데, 술잔으로나마 쓰려 해도 밖은 낮고 안이 말려있는데다, 기름 때가 그 빛을 가리고 있었다. 나라 안을 두루 다녀 보아도 거들떠 보는 자가 있지 않자, 다시금 부귀한 집을 돌았지만 값은 갈수록 더 떨어져 수백전에 이르게 되었다. 하루는 그것을 가지고 서여오徐汝五에게 보여준 사람이 있었다. 여오가, “이것은 붓씻개이다. 돌은 복주福州 수산壽山의 오화석갱五花石坑에서 나온 것으로 옥 다음으로 쳐주니 민옥珉玉과 같은 것이다” 하고는 값의 고하를 묻지 않고 그 자리에서 8천을 주었다. 그 때를 벗겨내자 앞서 딱딱하던 것은 바로 돌의 무늬결이었고, 쑥색을 띤 초록빛이었다. 형상이 낮고 또 말려있던 것은 마치 가을 연잎이 시들어 그 잎새가 말려진 것과 같았다. 마침내 나라 안의 명기名器가 되었다. 有鬻古器而三年不售者. 質頑然石也, 以爲飮器也, 則外窳而內卷, 垢膩之掩其光也. 遍國中, 未有顧之者, 更歷富貴家, 價愈益下, 至數百. 一日有持而示徐君汝五者. 汝五曰: “此筆洗也. 石産於福州壽山五花石坑, 次玉而如珉者也.” 不問値高下, 立與八千. 刮其垢, 而昔之頑然者, 乃石之暈, 而艾葉綠也. 形之窳且卷者, 如秋荷之枯, 而卷其葉也. 遂爲國中之名器. |
진귀한 골동품도 그 위에 세월의 때가 켜켜이 앉고 보니 쓸데없는 물건이 되고 말았다. 술잔으로 쓰자니 너무 평평하여 도무지 쓸모가 없어 보여 겉보기로는 여늬 막돌과 다름이 없었다. 그러다가 그것이 제 임자를 만나 묵은 때를 벗겨내자, 저 유명한 복주 수산석, 그 중에서도 가장 상품으로 치는 오화석갱에서 파낸 돌로 만든 붓씻개였다. 마른 연잎 모양으로 끝을 살짝 안으로 오무려 그 가운데로 물을 흘리게 만든, 엷은 쑥색을 띤 진귀한 물건이었다. 먹은 아교로 뭉친 것이니 글씨를 쓰고 나서 그때마다 씻어두지 않으면 굳어져 붓을 버리고 만다. 이 붓씻개로 붓을 씻어 간수해 두면 붓끝이 금세 모지라질 염려가 없으니 文房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물건이었다.
돌은 돌이되 돌이 아니니, 옥 다음 가는 민옥珉玉과 같다고 했다. 그 날로 그 돌은 모든 사람이 탐내는 골동품이 되었다. 3년간 그렇게 사라고 할 때는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던 돌이었다. 팔려는 사람도 그것이 무엇에 쓰는 물건인지 알지 못했고, 사려는 사람도 그것을 알아볼 안목이 없었으니, 삼년이 지나는 동안에 값이 5백전까지 내려간 것도 괴상한 일이 아니다.
여오는, “천하의 물건이 그릇으로 하지 못할 것이 어디 있겠는가? 생각건대 그 마땅함을 얻어야 쓰이는 것일 뿐이다. 대저 붓털이 먹을 머금어 아교가 굳어지면 끝이 쉬 무지러지므로 늘 그 먹을 씻어 내어 부드럽게 해주는데, 이것은 붓을 씻기 위해 만든 그릇이다”라고 한다. 대저 書畵와 골동은 수장하는 자와 감상하는 자 두 종류가 있다. 감상하는 안목은 없으면서 한갓 수장만 하는 자는 돈만 많아 단지 그 듣는 대로 믿는 자이고, 감상하는 안목은 뛰어나지만 능히 수장하지 못하는 자는 가난해도 그 눈을 저버리지는 않는 자이다. 우리나라에 비록 간혹 수장가가 있긴 하지만, 책이란 것은 중국 복건성 건양建陽에서 찍어낸 방각본이요, 서화는 강소성 금창金閶에서 만든 가짜일 뿐이다. 밤 껍질 빛깔의 청동화로에 곰팡이가 피었다고 갈아버리려고 하고, 장경藏經의 종이가 더럽다고 씻어내려 한다. 엉터리 나쁜 물건을 만나서는 그 값을 높게 주고, 보배론 물건은 버려두어 수장할 줄 모르니 그 또한 슬퍼할만할 따름이다. 汝五曰: “天下之物, 其有不器者乎? 顧所以用得其當耳. 夫毫之含墨, 膠固則易禿, 常滌其墨而柔之, 此其器之爲筆洗也.” 夫書畵古董, 有收藏鑑賞二家. 無鑑賞而徒收藏者, 富而只信其耳者也; 善乎鑑賞而不能收藏者, 貧而不負其眼者也. 東方雖或有收藏家, 而載籍則建陽之坊刻; 書畵則金閶之贋本爾. 栗皮之罏, 以爲黴而欲磨, 藏經之紙, 以爲涴而欲洗. 逢濫惡, 則高其値, 遺珍秘, 而不能藏, 其亦可哀也已. |
“천하에 그릇으로 하지 못할 것은 하나도 없다. 다만 사람들이 그것을 어디에 써야할 지 모를 뿐이다.” 이것은 여오汝五 서상수徐常修(1735-1793)의 말이다. 모든 것은 임자를 만나 적재적소에 쓰임을 얻을 때만 그 본래의 빛을 발한다. 안목이 없으면 진귀한 옥돌도 길가에 굴러다니는 막돌 대접을 받는다.
세상에는 골동품을 볼 줄 아는 안목이 있는 사람이 있고, 그것을 살 수 있는 경제력이 있는 사람이 있다. 안목 갖춘 사람에게 재력까지 뒤따라 준다면 좀 좋으랴만 이 두 가지는 항상 서로 따로 노니 그것을 슬퍼한다. 안목은 없이 그저 제 호사 취미를 뽐내려고 골동을 수집하는 사람은 그저 장사꾼이 말하는 대로 믿고, 달라는 대로 돈을 준다. 그 값이 얼마나 비싼가가 그들의 관심사일 뿐, 그것이 가짜인지 진짜인지는 전혀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애초부터 감식할 안목은 없으니 그것을 기대할 터수는 못되고, 그들은 얼마짜리 골동품이 우리 집에 있다는 사실만으로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자들이다. 그들은 청동화로에 세월이 앉아 푸른 꽃이 피어나면 그것이 보기 싫다고 갈아 없애려는 인간들이다. 해묵은 고서에 때가 많이 묻었다고 백반을 풀어 새 책처럼 만들어야 직성이 풀릴 사람들이다. 진짜 같은 가짜를 보면 혹해서 물건 값을 따지지 않고 서로 차지하겠다고 경쟁을 하고, 정작 허름해 보이는 진짜는 거들떠도 보지 않는다. 소 여물통을 응접실에 갖다 놓고 자랑하고, 흰 요강을 들고서 백자라고 우긴다. 옛것이면 무조건 좋은가? 오래된 것이면 무조건 보배로운가? 카펫트 대신 거친 멍석 돗자리를 깔면 그 삶이 그만큼 고풍스러워 지는가? 알지 못할 일이다.
▲ 전문
인용
'책 > 한문(漢文)'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자하는 쌍륙 놀이 - 3. 골동품 감식안은 완물상지가 아니다 (0) | 2020.04.06 |
---|---|
혼자하는 쌍륙 놀이 - 2. 감식안을 가진 자에겐 才思가 필요하다 (0) | 2020.04.06 |
뒷골목의 등불 - 7. 한 인물에 대한 극단적 평가 (0) | 2020.04.06 |
뒷골목의 등불 - 6. 한 끼 때우려던 바람이 벼락에 사라지다 (0) | 2020.04.06 |
뒷골목의 등불 - 5. 기백이 시들어 뜻마저 재처럼 식다 (0) | 2020.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