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정민 - 비슷한 것은 가짜다 목차 본문

책/한문(漢文)

정민 - 비슷한 것은 가짜다 목차

건방진방랑자 2020. 4. 11. 10:31
728x90
반응형

 비슷한 것은 가짜다 목차

 

정민

 

 

서문: 독연암필서(讀燕放筆序)

 

 

1. 이미지는 살아 있다, 코끼리의 기호학

 

1 에코와 연암 象記
2 코끼리를 두 번 봤던 추억  
3 코끼리의 코를 찾는 사람들  
4 하늘이 만든 건 없다 周易』 「屯卦
5 코끼리에게 장난질을 한 하늘  
6 절대적 법칙은 없다  

 

 

2. 까마귀의 날갯빛

 

1 달사와 속인 菱洋詩集序
2 하나의 꼴 속에 깃든 것  
3 겉모습에만 현혹되는 사람들 張潮 - 幽夢影
4 달사는 적고 속인만 많다 亡羊錄

 

 

3. 중간은 어디인가?

 

1 바른 견식은 어디서 나오나? 蜋丸集序
2 이가 사는 곳  
3 짝짝이 신발  
4 여의주와 말똥  
5 중간에 처하겠다 莊子』 「山木1
6 총평  
7 글의 생명은 진정성에 孔雀館文稿 自序
8 코골이를 듣거든 알려주시라  
9 총평  

 

 

4. 눈 뜬 장님

 

1 같은 소리도 달리 들린다 一夜九渡河記
2 눈에 현혹되지 말라  
3 보이지 않는 물소리가 두렵네  
4 눈과 귀에 휘둘리지 말라  
5 연못가에 서서도 태연한 장님  
6 장님의 눈이야말로 평등안 渡江錄
7 도로 눈을 감아라 幻戲記後識

 

 

5. 물을 잊은 물고기

 

1 나비 놓친 사마천의 심정 答京之之三
2 의미 없는 독서에 대해 素玩亭記
論語』 「八佾8
3 넓게 읽되 깨우침으로  
4 천지만물이 모두 하나의 서재  
5 총평  
6 자기중심으로 판단하는 사람들 答某
7 가련한 공기족들의 미련함  

 

 

6. 문심(文心)과 문정(文情)

 

1 세상이란 글자 鍾北小選自序
2 글로 드러나는 소리와 빛깔 論語』 「學而3
3 글로 드러나는  
4 통해야만 생명력을 유지한다 周易』 「繫辭
5 세상을 관찰함으로 읽는 책  
6 아깝구나, 연암이 없앤 책들 過庭錄1-34

 

 

7. 눈 속의 잣나무, 사생(寫生)과 사의(寫意)

 

1 대나무 없는 집과 죽원옹 不移堂記
2 그림 없이 글만 쓴 이유 論語』 「子罕27
김정희 - 歲寒圖跋文
3 이양천의 절개  
4 눈 속 잣나무를 보는 법 綠天館集序
5 모양이 아닌 정신을 그리다 두보 - 縛鷄行
6 좋은 시란?  

 

 

8. 심사(心似)와 형사(形似)

 

1 진짜 같아지려 하면 할수록 綠天館集序
2 옛 것을 배우는 두 가지 방법 홍길주 與人論文書
3 제 목소리를 담은 낙서야 왕희지 - 蘭亭記
4 하늘이 저렇게 파란 데도 答蒼厓之三
5 유한준의 문집에 날린 혹평 答蒼厓之一
孟子』 「盡心36
6 금문을 칭송한 유한준의 아들 答蒼厓之四
유만주 - 欽英

 

 

9. 그때의 지금인 옛날

 

1 무관의 시는 지금의 시 嬰處稿序
蜋丸集序
2 동심으로 돌아가자 論語』 「述而20
3 지금ㆍ여기를 담아낸 무관  
4 동심과 처녀로 돌아가자 이덕무 - 嬰處稿自序
5 동심의 중요성을 외친 이지 이지 - 童心說

 

 

10. 시인의 입냄새

 

1 흉내냄의 부끄러움 過庭錄476
贈左蘇山人
2 칭찬이 기쁘지 않은 이유  
3 전적이 있다면 뭐든 좋나 莊子』 「外物4
4 지금ㆍ여기를 말하라  
5 큰 학자가 되려면  
6 고약한 시인의 입냄새  

 

 

11. 잃어버린 예법은 시골에 있다

 

1 시골에 남은 사라진 예법 自笑集序
2 촌스럽고 경박하다며 멸시하다  
3 고문으로 문집을 만든 이홍재  
4 역관과 기생에게 남아 있다  
5 잃어버린 시는 어디에 있나 孔雀館文稿 自序
6 말없이 시를 빚어내는 마음 박제가 - 月瀨襍絶

 

 

12. 새롭고도 예롭게

 

1 본받는다는 것의 의미 고문이란?
문체반정
楚亭集序
2 새 것을 만든다는 것의 의미  
3 따르되 따르지 않는 것 周易』 「繫辭
4 法古而知變의 예 小學』 「稽古17
5 創新而能典의 예  
6 두 가지의 또 다른 예  
7 법고와 창신의 조화로움에 莊子』 「天道13
孟子』 「離婁29
8 연암은 고문가일까? 한유 - 進學解
9 총평  

 

 

13. 속 빈 강정

 

1 밤과 쌀 같은 문집 旬稗序
2 일상을 담아낸 이 글 莊子』 「齊物論26
中石沒鏃
3 본질과 수사에 신경 쓴 작품집 이덕무 - 荳殼船
4 으레 쓰던 표현을 쓰지 말라 映帶亭賸墨自序
십팔사략 - 和氏璧
5 진부한 말이 없는 편지 모음집  
6 개성 가득한 편지들 與中一之三
答蒼厓之九
答仲玉之一

 

 

14. 글쓰기와 병법

 

1 모범답안을 모아 만든 합격집 騷壇赤幟引
2 글쓰기와 병법의 공통점  
3 글쓰기와 병법의 공통점  
4 글쓰기와 병법의 공통점  
5 좋지 않은 글과 글자의 잘못 膠柱鼓瑟
6 글쓰기에 정해진 법칙은 없다  
7 주제를 세우고 글을 쓰라  
8 모범답안을 맹종치 말라  

 

 

15. 생각의 집, 나를 어디서 찾을까?

 

1 송욱이 송욱을 찾아다니다 念齋記
2 직접 채점하다  
3 송욱처럼 완전히 미치길  
4 전후의 안쓰러운 내면풍경 김윤성 추억에서
5 아홉은 죽어나가는 과거시험 賀北鄰科
6 과거시험을 절망스레 보다 過庭錄115
過庭錄122

 

 

16. 스님! 무엇을 봅니까?

 

1 사라지는 연기 박상천 - 방생5
觀齋記
2 향이라는 허상에 사로잡히다  
3 분명히 있지만 없는 것  
4 태를 바꿔가며 변해가네 한용운 알 수 없어요
5 무엇을 보려는가  
6 총평  
7 그리움이 담긴 편지들 答京之
答蒼厓之五

 

 

17. 지황탕(地黃湯) 위의 거품

 

1 음산한 빛에 부탁한 명문 麈公塔銘
이덕무 - 耳目口心書2
2 이상한 불빛과 지황탕의 거품 觀齋記
3 현학적인 수사의 한계  
4 스님의 죽음은 씨 속 論語』 「雍也28
5 수많던 거품 속의 사라지는 나  
6 아무도 손 댈 순 없는 오렌지 신동집 - 오렌지

 

 

18. 돌에 새긴 이름

 

1 장서에 도장을 찍어 물려주다 柳氏圖書譜序
2 만리장성도 지키지 못한 천자 십팔사략 - 和氏之璧
3 장서를 감싸두려 하지 말게  
4 빌려주어 남기는 지혜 與人
過庭錄46
5 돌에 새겨봐야 부질없는 것을 泠齋集序
한비자』 「難一4
6 잊혀지는 걸 두려워 말라  

 

 

19. 요동벌의 한 울음

 

1 하찮은 인간 好哭場論
2 슬퍼야만 눈물 나나?  
3 한바탕 울만한 곳  
4 울고 싶어라 遼野曉行
5 너른 바다와 하찮은 나 與仲存
6 사해동포와 구분 이덕무 - 西海旅言
7 터져 나오는 눈물이어라 이덕무 - 耳目口心書 37
김정희 - 遼野

 

 

20. 2의 나를 찾아서

 

1 상우천고를 외치다 繪聲園集跋
孟子』 「萬章8
2 후대를 기다리다  
3 만나고 싶다  
4 벗 찾기의 어려움 馬駔傳
5 다들 잘 지내니 與人
6 나는 빈궁한 백성이네 列子集釋
孟子』 「梁惠王5
7 백아의 심정처럼  
8 총평  
9 한 명의 지기를 만난다면 이덕무 - 蟬橘堂濃笑

 

 

21. 갈림길의 뒷 표정

 

1 장하다 그대여 贈白永叔入麒麟峽序
2 뜻을 펴지 못한 채  
3 총평  
4 참된 야뇌인 이덕무 - 野餒堂記
5 다 털어놓게 만드는 친구 박제가 - 送白永叔基麟峽序
6 친구의 궁핍함을 알면서도 過庭錄468

 

 

22. 한 여름 밤 이야기

 

1 무더운 여름밤의 친구들 夏夜讌記
2 거미줄과 거문고  
3 총평  
4 연암을 기다리던 친구들 醉踏雲從橋記
5 밤거리의 호백이  
6 호백이 같은 친구들아  
7 우리들의 이야기  
8 총평  

 

 

23. 뒷골목의 등불

 

1 사흘을 굶던 연암 이서구 - 夏夜訪燕巖丈人記
2 촛불 속 희망과 절망  
3 연암이 서울로 온 이유 酬素玩亭夏夜訪友記
4 연암의 호기로움  
5 뜻마저 재처럼 식다  
6 총평  
7 한 끼 때우려던 바람 연암에 대한 비난
8 사람의 극단적 평가 극단적으로 양분된 평가

 

 

24. 혼자하는 쌍륙 놀이

 

1 좋은 골동품에 무지하다 筆洗說
2 감식안과 재사(才思)  
3 감식안과 완물상지  
4 가짜가 득세하는 세상 論語』 「爲政2
5 혼자하는 쌍륙놀이 過庭錄487

 

 

25. 강물빛은 거울 같았네

 

1 43살에 죽은 누이 伯姉贈貞夫人朴氏墓誌銘
2 누이 시집가던 날의 추억  
3 묘지명의 관습을 깨어  
4 총평  
5 미묘한 감정의 마술사 燕岩憶先兄
6 시간의 변화 같은 연암의 글들 홍길주 - 讀燕巖集

 

 

 

 

인용

지도 / 목차

한시미학 / 연암을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