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세추이(與世推移)
세상의 흐름에 따라 처신을 달리하다
屈原, 名平, 楚之同姓. 爲懷王左徒, 博聞强志, 明於治亂.
嫺於辭令, 王甚任之. 上官大夫與之同列, 爭寵而心害其能, 因讒之, 王怒而疏平. 後秦昭王欲與懷王會, 平曰: “秦虎狼之國, 不如無行.” 懷王稚子子蘭勸王行, 王死於秦.
長子頃襄王立, 以子蘭爲令尹. 子蘭使上官大夫, 短原於王, 王怒而遷之.
原至江濱, 被髮行吟澤畔, 顔色憔悴, 形容枯槁.
漁父問曰: “子非三閭大夫歟, 何故至此?”
原曰: “擧世混濁, 而我獨淸; 衆人皆醉, 而我獨醒, 是以見放.”
漁父曰: “夫聖人不凝滯於物, 而能與世推移. 擧世混濁, 何不隨其流而揚其波; 衆人皆醉, 何不餔其糟而啜其醨? 何故懷瑾握瑜, 而自令見放爲.”
原曰: “吾聞之, 新沐者必彈冠, 新浴者必振衣. 誰能以身之察察 受物之汶汶者乎? 寧赴湘流, 而葬乎江魚腹中耳, 又安能以皓皓之白, 而蒙世之塵埃乎?” 乃作「懷沙之賦」, 懷石, 自投汨羅以死.
後百餘年, 賈生爲長沙王太傅, 過湘水, 投書以弔之. 『몽구(蒙求)』
屈原旣放, 游於江潭, 行吟澤畔. 顔色憔悴, 形容枯槁.
漁父見而問之曰: “子非三閭大夫與. 何故至於斯?” 屈原曰: “擧世皆濁, 我獨淸. 衆人皆醉, 我獨醒. 是以見放.”
漁父曰: “聖人不凝滯於物, 而能與世推移. 世人皆濁, 何不淈其泥而揚其波. 衆人皆醉, 何不餔其糟而歠其醨. 何故深思高擧, 自令放爲.”
屈原曰: “吾聞之. 新沐者必彈冠, 新浴者必振衣. 安能以身之察察, 受物之汶汶者乎. 寧赴湘流葬於江魚之腹中, 安能以皓皓之白, 而蒙世俗之塵埃乎.”
漁父莞爾而笑, 鼓枻而去. 乃歌曰: “滄浪之水淸兮, 可以濯吾纓. 滄浪之水濁兮, 可以濯吾足.” 遂去不復與言. 『어부사(漁父詞)』
전국시대 초(楚)나라의 정치가이자 시인인 굴원은 제(齊)와 동맹해 강국인 진(秦)에 대항해야 한다는 합종책을 주장했으나 정적들의 모함을 받아 좌천되었다. 굴원의 간언을 받아들이지 않고 제와 단교하고 친진(親秦) 정책을 펼치던 회왕(懷王)은 막내아들 자란(子蘭)의 권유에 따라 진나라를 방문했다가 억류되어 객사하고 말았다. 경양왕(頃襄王)이 즉위한 뒤 굴원은 다시 조정으로 돌아왔으나, 자란이 영윤(令尹, 재상)이 되자 그를 아버지를 객사하게 한 장본인이라고 비판하다가 모함을 받아 다시 유배되어 방랑하다가 멱라(汨羅)에 몸을 던져 죽었다. 이때 읊은 노래가 바로 「어부사」인데, 이 글에서 어부는 굴원에서 ‘여세추이(與世推移)’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
겉뜻: 세상과 함께 옮겨가다
속뜻: 세상의 변화에 따라 함께 변해간다.
유의어: 여세부침(與世浮沈)
반의어: 독야청청(獨也靑靑)
인용
'한문놀이터 >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전작라(門前雀羅) - 권세가 약해져 인적이 끊기다 (0) | 2020.07.24 |
---|---|
방약무인(傍若無人) - 곁에 아무도 없는 듯 멋대로 행동하다 (0) | 2020.07.24 |
한단학보(邯鄲學步) - 함부로 남을 따라하는 것의 위험성 (0) | 2020.07.24 |
지어지앙(池魚之殃) - 상관도 없는 제삼자가 피해를 입다 (0) | 2020.07.24 |
과유불급(過猶不及) - 중용적인 삶을 향해 (0) | 2020.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