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한시사, 라말려초시의 성격과 만당의 영향 - 1. 라말려초시의 일반적 성격, 2) 여조시의 창시자들(장연우) 본문

책/한시(漢詩)

한시사, 라말려초시의 성격과 만당의 영향 - 1. 라말려초시의 일반적 성격, 2) 여조시의 창시자들(장연우)

건방진방랑자 2021. 12. 20. 08:44
728x90
반응형

 장연우(張延祐, ? ~1015 현종5)는 현종(顯宗) 때의 대신(大臣)이다. 거란의 침입 때 남으로 피난한 왕을 호종(扈從)한 공으로 중추원사(中樞院使)가 되었으며 뒤에 벼슬이 호부상서(戶部尙書)에까지 올랐으나 그의 시작(詩作)한송정곡(寒松亭曲)한 편이 동문선(東文選)』 『기아(箕雅)등에 전하고 있을 뿐이다.

 

月白寒松夜 波安鏡浦秋 달 밝은 한송정(寒松亭) 밤에 경포(鏡浦)의 물결은 잔잔한데
哀鳴來又去 有信一沙鷗 슬피 울며 오락가락 유신(有信)한 백구로다.

 

조용한 영탄(詠嘆)이 이 시의 전부다. 동사를 사용하는데 인색하여 전체적인 분위기는 더욱 정적(靜的)이다. 전구(轉句)에 동사가 겹치고 있지만 선행어(先行語) ‘애명(哀鳴)’ 때문에 래우거(來又去)’의 동적(動的)인 기능이 거세되고 있다. 강릉기(江陵妓) 홍장(紅粧)의 시조 한송정 달 밝은 밤에때문에 거꾸로 빛을 보게 된 것이 이 작품이다. 그러나 이 작품의 작자는 그의 아버지 유()라는 이설(異說)도 있다.

 

이덕무(李德懋)청비록(淸脾錄)에는 장유(張儒)가 사신으로 중국의 강남에 갔을 때 표착(漂着)한 비파[]의 밑바닥에 새겨진 글자가 자기나라 악부인 한송정(寒松亭)이라 이것을 한역(漢譯)해 준 것이 이 시()라고 한다[高麗張延祐 興德縣人 顯宗朝踐歷華要 官至戶部尙書 又名晉山 其時樂府 有寒松亭曲 甞有人書此曲於瑟底 瑟漂流至江南 江南人未解其詞 光宗時晉山奉使江南 案似是吳越錢氏時 江南人問其曲意 晉山作詩釋之曰 月白寒松夜 波安鏡浦秋 哀鳴來又去 有信一沙𩿨 案此說則高麗時 別有國書以譯方言 如新羅吏讀 本朝訓音 而未可考也].

 

이에 따르면 한송정곡(寒松亭曲)은 전래의 민간 노래가 한시체(漢詩體)로 옮겨진 것이라 생각될 수도 있다. 장연우(張延祐)의 작품이 유독 이 한 수만 전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러한 짐작도 사실에 가까운 것이 됨직하다.

 

 

 

 

인용

목차 / 略史

우리 한시 / 서사한시

한시미학 / 고려ㆍ조선

眞詩 / 16~17세기 / 존당파ㆍ존송파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