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한국한시사, 목릉성세(穆陵盛世)의 풍요(豊饒)와 화미(華美) - 당파(唐派)의 광망(光芒): 삼당시인(三唐詩人) 본문

카테고리 없음

한국한시사, 목릉성세(穆陵盛世)의 풍요(豊饒)와 화미(華美) - 당파(唐派)의 광망(光芒): 삼당시인(三唐詩人)

건방진방랑자 2021. 12. 21. 06:03
728x90
반응형

박순(朴淳)의 뒤를 이어 우리 시단에 당시(唐詩)의 풍기(風氣)를 널리 보급하는데 큰 공을 보인 작가는 최경창(崔慶昌)백광훈(白光勳)이달(李達) 세 사람이다.

 

이들을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 통칭한 첫 기록은 임상원(林相元)손곡집서(蓀谷集序)이다. “선조 연간에 이르러 상당집(三唐集)이라 불리는 것이 있었는데, 고죽(孤竹) 최경창(崔慶昌)ㆍ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ㆍ손곡(蓀谷) 이달(李達)을 이른다. 이 세 사람은 힘써 당을 모의하여 간혹 아주 비슷한 것이 있다[當穆陵朝, 有稱三唐集者, 崔孤竹慶昌白玉峯光勳李蓀谷達也. 是三子者, 刻意摹唐, 間有他相肖者]”라 한 것이다.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 합칭(合稱)하여 부르지는 않았지만 이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파악하는 흐름은 허균(許筠)학산초담(鶴山樵談)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융경(隆慶, 1567~1572), 만력(萬曆, 1573~1620) 연간에 고죽(孤竹) 최경창(崔慶昌)ㆍ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 손곡(蓀谷) 이달(李達) 등이 비로소 개원(開元) 연간(713~741, 盛唐 시기)의 시를 배우고 정화를 이루기에 힘써 옛사람의 경지에 이르고자 하였으나 뼈대가 완전하지 않고 수식이 너무 지나쳐 허혼(許渾)과 이교(李嶠)의 사이에 두더라도 곧 촌뜨기의 꼴임을 깨닫게 되니 어찌 이백(李白)과 왕유(王維)의 위치를 앗을 수 있었겠는가? 비록 그렇지만 이로부터 학자들이 당풍(唐風)이 있음을 알게 되었으니 세 사람의 공을 또한 덮어 둘 수는 없다[隆慶萬曆間, 崔嘉運白彰卿李益之輩, 始政開元之學, 黽勉精華, 欲逮古人. 然骨格不完, 綺靡太甚, 置諸許李間, 便覺傖夫面目, 乃欲使之奪李白摩話位耶? 雖然, 由是學者知有唐風, 則三人之功, 亦不可掩矣].”고 한 것이 허균(許筠)의 말이다.

 

이들 중에서도 가장 연장(年長)이면서 주도적 역할을 담당했던 이는 최경창(崔慶昌)이다.

 

 

 

 

 

 

인용

목차

서사한시

한시미학

16~17세기 한시사

존당파ㆍ존송파의 평론연구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