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 머리말
하나
나는 천재를 좋아하지 않는다. 무슨 일이든 90퍼센트의 실패를 겪은 뒤에야 10퍼센트의 성취를 이루는 둔재의 ‘콤플렉스’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대부분의 천재들이 지닌 원초적 ‘싸늘함’이 체질에 안 맞기 때문이다(참고로, 나는 어떤 사람을 평가할 때 이념보단 체질을 더 중시한다. 체질이 훨씬 더 정직하기 때문이다).
연암 박지원은 천재다. 내 지적 범위 내에서는 그 견줄 바가 없을 정도로 뛰어난 두뇌의 소유자다. 그런데도 그는 나를 매혹시켰다. 다름아닌 그의 유머 때문이다. ‘유머’는 기본적으로 따뜻한 가슴에서 나온다. 말하자면, 그는 천재인데도 가슴이 따뜻한, 천지간에 보기 드문 사람인 것이다. 나는 단언할 수 있다. 동서고금의 천재 가운데 그처럼 유머를 잘 구사한 인물은 없으리라고(있어도 할 수 없고^^). 천재의 유머! 아니, 더 정확히는 유머의 천재! 그러니 어떻게 그를 사랑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이국땅의 한 점포에서 벽에 쓰여진 「호질(虎叱)」을 촛불 아래 ‘열나게’ 베껴쓰자, 주인이 묻는다. 그걸 대체 뭐에 쓰려느냐구. 조선에 돌아가 친구들에게 보여줘 한바탕 배꼽잡고 웃게 만들려고 한다는 게 연암의 답변이었다. 「호질(虎叱)」보다 연암의 행동이 더 배꼽잡을 일 아닌가?
하지만 누군가 내게 대체 왜 이 책을 썼느냐고 묻는다면, 나도 이렇게 답할 작정이다. 연암이 얼마나 ‘유머의 천재’인지 널리 알리고 싶었다고, 『열하일기』의 웃음을 사방에 전염시키고 싶었다고, 그 웃음의 물결이 삶과 사유에 무르녹아 얼마나 열정적인 무늬들을 만들어내는지를 보여주고 싶었노라고.
둘
이 책을 쓰는 동안 많이 아팠다. 몸을 추스르느라 산에 오르기 시작했다. 북한산과 도봉산, 수락산이 가까이 있다는 것이 그렇게 고마울 수가 없었다. 산에 다녀올 때마다 그만큼 힘이 생겼고, 그 힘으로 글을 쓸 수 있었다. 산들의 기운이 연암의 웃음과 함께 독자들의 가슴속에 전해졌으면, 정말 기쁘겠다.
가장 멋진 산행은 설악산이었다. 봉정암 진신사리탑 위에서 본 용아장성과 공룡능선의 장엄한 모습이 지금도 눈에 선하다. 설악의 숨겨진 진경(珍景)들을 안내해준 임영철씨와 함께했던 친구들, 그리고 주말마다 함께 산을 오르는 연구실 ‘등산반’ 친구들에게 고마움을 전한다. 무엇보다 늘 그 자리에 그렇게 있어준 산들에게 이 책이 작은 보답이 되었으면 좋겠다.
혹시라도 산을 지키는 나무들의 애꿎은 생명만 희생시킨 건 아닌지, 다만 두려울 따름이다.
2003년 2월
대학로 ‘카페 트랜스’에서, 고미숙
개정신판을 내며
초판을 낸 지 꼭 10년이 흘렀다. 초판이 나오던 날, 미국의 이라크 침공이 시작되는 바람에 몹시 우울했던 기억이 난다. 그리고 한 달쯤 지난 4월 하순, 연구실 후배 몇 명과 연암이 갔던 길을 따라 요동벌판에서 북경을 거쳐 열하로 이어지는 코스를 다녀왔다. 요동에선 천지를 뒤흔드는 모래바람을 만났고, 북경에선 아시아의 지축을 뒤흔든 ‘사스와의 전쟁’을 목격했다. 그 체험을 『문화일보』에 연재했는데, 그 여행기가 부록으로 첨가되었다.
그로부터 한참이 지난 2012년 여름, 이번엔 OBS팀과 함께 ‘신열하일기’ 다큐 촬영을 위해 다시 한번 연암의 여정을 고스란히 되밟게 되었다. 사스도, 황사도 없었다. 게다가 이번에는 배를 타고 단동에서 출발했다. 덕분에 전혀 다른 중국, 아주 낯선 열하를 체험하게 되었다. 결국 그것은 이전과는 전혀 다른 길이었다. 누구도 같은 길을 두 번 지나갈 수 없음을 비로소 알게 되었다. 그 여행기와 사진들이 역시 부록으로 덧붙여졌다.
연암은 서재에 앉아 머리로 사유하지 않았다. 그에게는 길이 곧 글이고, 삶이 곧 여행이었다. 연암이 지나갈 때마다 중원천지에서 침묵하고 있던 단어들이, 문장들이, 그리고 이야기들이 잠에서 깨어나 웅성거리기 시작했다. 연암은 그것들을 무심하게, 그리고 열정적으로 절단, 채취했다. 걸으면서 쓰고, 쓰기 위해서 다시 걸었던 연암, 그리고 그의 분신이기도 한 『열하일기』, 나는 두 번의 여행을 통해 책을 쓸 때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열하일기』를 만난 셈이다. 그런 까닭에 내게 있어 『열하일기』는 여전히 가슴 벅찬 설레임의 대상이다.
책을 내고 참으로 많은 선물을 받았다. 가장 큰 선물은 아마도 독자들의 분에 넘치는 사랑, 그리고 함께 길을 갈 수 있는 친구들과의 만남일 것이다. ‘인복’이 없이는 단 하루도 살아가기 힘든 나 같은 존재에게 이보다 더 큰 행운은 없으리라.
이 개정신판을 읽는 독자들에게 지난 10년간 내가 『열하일기』로 인해 마주친 기쁨과 행운이 생생하게 전해졌으면, 참 좋겠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세월이다. 나 역시 그 사이에 무수한 생의 변곡점들을 맞이했다. 그 하이라이트는 아마도 이 책의 출판사인 북드라망과 내 공부와 일상의 거처인 ‘인문의역학연구소(감이당)’의 탄생이 될 것이다.
아울러 가장 기쁜 일은 초판의 부록에서 했던, 연암과 다산(茶山)의 차이를 탐색하겠다는 약속이 드디어 『두개의 별 두개의 지도』(다산과 연암 라이벌 평전 1탄)로 나오게 된 것이다. 지난 10년간 이 책을 아껴준 독자들에게 좋은 선물이 되기를 바란다.
2013년 7월
남산 아래 <감이당> Tg스쿨 2층에서
고미숙
인용
'문집 > 열하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하일기, 유쾌한 시공간 - 1부, 1장 젊은 날의 초상 (0) | 2021.07.07 |
---|---|
열하일기, 유쾌한 시공간 - 프롤로그 (0) | 2021.07.07 |
열하일기 - 목차 (0) | 2021.07.05 |
열하일기 - 앙엽기 전문 (0) | 2021.07.05 |
열하일기 - 알성퇴술 전문 (0) | 2021.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