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눌의 정혜쌍수
보조(普照) 지눌(知訥, 1158~1210)도 무신정권이 발흥하여 대고려제국의 정치체제와 결탁된, 축적된 교학불교가 쇠퇴하고, 선불교의 혁신적이고 파격적인 격외성(格外性, 교외별전敎外別傳)이 고려불교 그 자체를 뒤흔들고 있던 시대에, 선(禪)과 교(敎)는 본질적으로 대립되어야 할 양대세력이나 이론체계가 아니라 근원적으로 융합되어야만 하는 하나의 통불교라는 깨달음을 가지고 독자적인 운동을 전개해나갔던 탁월한 사상가였습니다. 그에게는 도통을 전수받을 만한 스승도 없었습니다.
당시는 선이라는 것이 깊게 이해된 상태도 아니었으니까요. 그래서 독자적인 문학(問學)의 수련을 통해 새로운 결사운동을 전개했습니다. 그 결사운동의 핵이 ‘정혜결사(定慧結社)’라고 하는 것인데 바로 계ㆍ정ㆍ혜 삼학의 본래정신으로 되돌아가야 한다는 것을 외쳤습니다. 그가 말하는 ‘정혜쌍수(定慧雙修)’라고 하는 것은 ‘계정혜전수(戒定慧全修, 계ㆍ정ㆍ혜 삼학을 다 온전하게 닦음)’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계(戒)는 너무도 기초적인 것이기 때문에 생략을 하였지만 정과 혜의 밑바닥에 깔려있는 것입니다. 정은 바로 선정(禪定)을 의미하며, 혜는 바로 지혜 즉 교학불교를 가리키는 것이죠. 정과 혜를 동시에 온전하게 닦아야 한다는 것은 불교경전이 던져주는 깊은 지혜의 공부가 없이는 선정이라는 정신통일이 달성된다 한들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것이죠. 지눌은 교학불교의 대가였습니다. 천태, 법상, 화엄 등의 경전이론에 통달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러면서도 임제 간화선의 핵심을 파악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정혜쌍수(定慧雙修)는 곧 ‘선교일치(禪敎一致)’를 의미하게 되는 것이죠.
정(定) ― 선종 | ↘ | → 하나다! |
혜(慧) ― 교종 | ↗ |
인용
'고전 > 불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무살 반야심경에 미치다, 3장 싯달타에서 대승불교까지 - 삼학과 삼장, 성묵과 법담 (0) | 2021.07.13 |
---|---|
스무살 반야심경에 미치다, 3장 싯달타에서 대승불교까지 - 득도와 화두 (0) | 2021.07.13 |
스무살 반야심경에 미치다, 3장 싯달타에서 대승불교까지 - 팔정도와 삼학 (0) | 2021.07.13 |
스무살 반야심경에 미치다, 3장 싯달타에서 대승불교까지 - 삼학, 유전연기와 환멸연기 (0) | 2021.07.13 |
스무살 반야심경에 미치다, 3장 싯달타에서 대승불교까지 - 심리학과 무신론, 그리고 무아의 종교 (0) | 2021.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