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도올선생 중용강의, 중용장구서 - 8. 유교 도통론(자사까지) 본문

고전/대학&학기&중용

도올선생 중용강의, 중용장구서 - 8. 유교 도통론(자사까지)

건방진방랑자 2021. 9. 16. 10:55
728x90
반응형

중용장구서 8. 유교 도통론(자사까지)

 

 

若吾夫子, 則雖不得其位, 而所以繼往聖開來學, 其功, 反有賢於堯舜者.
우리 공부자(孔夫子) 선생님 같은 분은 군왕의 위()를 얻지는 못했으나 지나간 성인을 잇고 앞날의 배움을 열었던 바 그 공이 오히려 요()ㆍ순()보다 더 현명한 데가 있었다.

 

오부자(吾夫子)는 공자를 아주 친근하게 부르는 표현입니다. 오사(吾師)라고도 하죠. 이런 말들은 문인(門人)들 사이에만 쓰입니다. ()는 주어로 쓰일 때도 있지만 주로 소유격(my)으로 쓰입니다. 여기서는 나의 선생님(my teacher)’란 말이죠.

 

기위(其位)는 군왕의 지위를 말하죠. ‘계왕성 개래학(繼往聖 開來學)’ 장횡거가 서명(西銘)에서 쓴 말입니다. 여기서 나온 계왕(繼往), 개래(開來)획기적인(epoch-maker)’을 지칭하는 관용구로서 유명한 말입니다.

 

유현어요순(有賢於堯舜)’은 아무에게나 함부로 할 수 없는 말인데 사실 주자는 이 말을 맹자(孟子)』 「공손추(公孫丑)에서 인용했을 뿐입니다. ·순보다 현명하다는 말은 공자를 엄청나게 높인 거죠. 송유(宋儒)들의 도통론(道統論)에서는 공자가 맨꼭대기(peak)로 올라갑니다. 공자 이전에는 모두가 군왕의 지위를 가진 성인인데, 공자부터는 성인의 덕을 가진 사람이 기위(其位)를 얻지 못한 역사가 시작된 거죠. 따지고 보면, 그 이후 유학자들이 공자를 이렇게 치켜세운 데는 비록 왕이 기위(其位)를 가지고 있다고 하나 성인으로서 덕이 부족하기 때문에 유학의 정통[聖人之學]은 성인의 덕을 쌓은 우리에게 있다는 걸 역사적으로 확인하고 자기들의 위치를 보장받으려는 심리가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일본의 소라이(荻生徂徠, 1666~1728)는 공자를 준성인으로서 인정하지만 그렇게 높이지 않습니다. 완벽한 작자(作者)’의 자격이 부족하다는 것이죠. 그런 사정은 일본의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가 쓴 일본 정치사상사 연구에 잘 나와 있어요. 이 책은 통나무에서 곧 번역되어 출판될 예정이니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20세기 일본에서 가장 위대한 책을 하나 꼽으라면 바로 이 책일 겁니다. 또한 이 하나밖에 없는 위대함이 일본의 비극이기도 하지요.

 

최근 일본 동경대에서 아시아를 생각한다라고 7권의 책을 시리즈로 펴냈는데 마지막 권 세계상의 형성에 내가 일본어로 쓴 논문 조선 주자학과 근대가 들어 있어요. 뭐 대단한 글은 아니나 마루야마 마사오 식()이 아닌 새로운 시각으로 동아시아 문명을 봐야 한다는 내용으로 썼습니다. 일본 지식사회에 어떤 파장을 일으킬지는 모르나, 일면 통쾌한 글입니다. 일본의 지식세계의 본령이랄 수 있는 동경대에서 그들의 정통 학문을 정면으로 깨버리려는 글이니까요. 오늘 아침 50권을 주문했는데 좀 비싸지만 서원학생들도 구입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요.

 

 

然當是時, 見而知之者, 氏之傳得其宗. 氏之再傳, 而復得夫子之孫子思, 則去聖, 遠而異端起矣.
그러나 공자의 당대에 공자가 요ㆍ순보다 뛰어남을 직접 보고 깨달은 자 중에서 오직 안회와 증삼의 전()이 그 정통적 종지를 제대로 얻었다. 증자가 이 전을 다시 전하는데 이르러서는 비록 공자의 손자인 자사를 다시 얻었지만 자사시대에 이미 성인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이단의 이론이 일어났다.

 

여기서 보면 중용(中庸)이라는 책이 순수한 유교의 틀이 아니라 당시의 이단에 대한 아폴로지(apology, 변명)적 성격에서 쓰여졌다는 나의 앞의 설명이 근거 있는 얘기란 걸 알 수 있죠. ‘견이지지(見而知之)’라는 표현은 맹자(孟子) 진심(盡心)에 나오는 표현을 따온 겁니다.

 

 

 

인용

목차

전문

본문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