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강의실에 찾아온 유학자들, 주희 - 불교를 비판하며 신유학의 정초를 세우다 본문

고전/대학&학기&중용

강의실에 찾아온 유학자들, 주희 - 불교를 비판하며 신유학의 정초를 세우다

건방진방랑자 2022. 3. 7. 18:10
728x90
반응형

불교를 비판하며 신유학의 정초를 세우다

 

 

이 세상에는 이()도 있고 기()도 있다. 이라는 것은 감각적으로 확인될 수 없는 도()이자 만물을 낳는 근본이다. 기라는 것은 감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는 형기[]이자 만물을 낳는 도구이다. 그러므로 사람과 사물이 생겨날 때, 이들은 반드시 이를 받은 후에 본성[]을 갖게 된다. 그리고 반드시 기를 부여받은 후에 형체()를 갖게 된다. 주희집』 「답황도부서

天地之間, 有理有氣. 理也者, 形而上之道也, 生物之本也; 氣也者, 形而下之器也, 生物之具也. 是以人物之生, 必稟此理然後有性. 必稟此氣然後有形.

천지지간, 유리유기. 리야자, 형이상지도야, 생물지본야; 기야자, 형이하지기야, 생물지구야. 시이인물지생, 필품차리연후유성. 필품차기연후유형.

 

 

공통적인 이()와 개별자마다 다양한 기()에 대한 주희의 입장은 철학적으로 이일분수(理一分殊)’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이치[]는 근본적으로 하나[]이지만, 그것은 다양한 만물[] 속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실현된다는 것이지요. 주희에 따르면, 모든 존재는 똑같이 이를 부여받아 태어났습니다. 그는 인간을 포함한 만물이 모두 초월적 이의 자식들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각자 부여받아 본성으로 삼게 된 이를 현실화시킬 수 있다면, 우리는 모두 세상의 만물과 더불어 하나의 가족이 될 수 있다고 봅니다. 이 점에서 주희 역시 장재와 정호 이래 신유학자들의 우주가족 이념을 나름대로 계승하고 있다고 할 수 있지요. 신유학자들은 세계 안에서 살고 있는 모든 존재, 인간뿐만 아니라 모든 사물이 하나의 가족이라는 이념을 공유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주희의 이일분수라는 입장은 그가 자주 사용한 월인천강(月印千江)’의 비유로 더 잘 알려져 있지요. 여러분은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이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이 있을 것입니다. 먼저 세상을 떠난 왕비의 명복을 빌기 위해서 세종대왕이 1447년에 지어서 1449년에 간행한 악곡이지요.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시형식으로 읊은 월인천강지곡에서 ()’은 석가모니를 상징하고, ‘천 개의 강[千江]’은 중생을 상징합니다. 여러분은 불교를 비판하면서 신유학의 정초(定礎)를 세우겠다는 포부를 지닌 주희가 불교의 대표적인 비유인 월인천강을 즐겨 사용했다는 점이 꽤 흥미로울 겁니다. 여러분은 이 점을 잊지 않았으면 합니다. 뒷날 주회를 비판했던 많은 유학자들, 가령 이토 진사이, 오규 소라이, 정약용 등 모두가 주희의 신유학에는 불교 사상이 녹아 있다고 비판하게 되니까요.

 

주희가 사용했던 월인천강의 비유를 한번 분석해볼까요? 월인천강이란 글자 그대로 하늘에 떠 있는 달 하나가 천 개의 강에 동시에 비치고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번 머릿속에 떠올려보세요. 밤하늘에 달이 하나 밝게 빛나고 있고, 천 개의 강에 그 달의 그림자가 똑같이 비치고 있는 풍경을 말이지요. 우리가 앞에서 살펴본 인용문에서도 주희는 달이 비치기 위해서는 달빛을 받을 강물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말했지요. 주희가 말한 하나의 달과 여러 강물의 비유는 곧바로 하나인 이()와 다양한 기()의 관계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주희는 이와 기의 관계를 제자들에게 설명할 때 이 비유를 자주 애용했습니다. 그러면 주희가 좋아했던 달의 비유에서 달은 어떤 성격을 가지고 있었을까요? 다시 말해, 세상을 만들고 변화시키는 원리인 이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었을까요?

 

초중기의 주희
() ()
모든 존재를 만들어낸 최고 원리 리가 깃든 형체로 개별성의 원리
인간이 본성으로 삼음 고유한 형체를 갖춤
/ 天地之心

 

 

 

인용

목차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