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도마복음한글역주, 제72장 - 내가 분할자란 말이냐? 본문

고전/성경

도마복음한글역주, 제72장 - 내가 분할자란 말이냐?

건방진방랑자 2023. 3. 25. 10:14
728x90
반응형

 72

 

 

내가 분할자란 말이냐?

 

 

72

1한 사람이 그에게 가로되, “나의 형제들에게 나의 아버지의 재산을 나에게 분할하도록 말해주소서.” 2그께서 그 사람에게 가라사대, “이 사람아! 누가 나를 분할자로 만들었단 말인가?” 3그는 그의 따르는 자들에게 몸을 돌려 그들에게 물었다: “나는 분할자가 아니로다. 그렇지 아니한가?”

1A person said to him, “Tell my brothers to divide my father's possessions with me.” 2He said to the person, “Mister, who made me a divider?” 3He turned to his followers and said to them, “I am not a divider, am I?”

 

 

이것은 불트만이 아포프테그마긴 장면설정이 없이 어떤 주제를 간결하게 전달하는 대화나 논쟁, 그리고 전기적 사화, 영어로 아포프템(apophthegm)’ 혹은 줄여서 아포(apothegm)’이라고 한다라는 양식으로 분류한 대화인데 누가에만 나오고 있지만 큐자료에 속한다. 누가와 마태를 잘 비교하여 보면, 마태의 문맥 속에도 이 아포프테그마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원래 큐에 있었던 것을 마태가 생략한 것으로 본다.

 

 

(12:13~15) 13무리 중에 한 사람이 이르되, “선생님! 내 형을 명하여 유업을 나와 나누게 하소서하니, 14이르시되, “이 사람아! 누가 나를 너희의 재판장이나 물건 나누는 자(분할자)로 세웠느냐?” 하시고, 15저희에게 이르시되, “삼가 모든 탐심을 물리치라. 사람의 생명이 그 소유의 넉넉한 데 있지 아니 하니라하시더라.

 

 

누가는 도마의 자료에다가 재판장의 역할이라는 개념을 더했다. 그리고 거절의 이유를 예수가 친절하게 해설하고 있다. 도마에는 형제들이 복수로 되어있는데 누가에는 (brother)’ 즉 단수로 되어있다. 누가 12:14절의 재판장 운운하는 표현은 구약 2:14의 표현과 비슷하다: “누가 당신을 우리의 우두머리로 삼고 우리의 재판장으로 세웠단 말이오?

 

팔레스타인 사람들에게는 부모의 유업이 형제들에게 온전하게 공동승계되는 습관이 있었다. 그런데 여기 한 사람이 그 공동승계된 전체 유산 중에서 자신의 의 분할을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누가에서 이 사람(청년)은 예수를 이러한 재판의 권한이 있는 랍비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실상 예수는 그러한 랍비의, 법적으로 유효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예수는 근원적으로 그러한 법적문제 이전의, 그 청년이 요구하고 있는 바, 그 심적상태, 그 동기를 문제삼고 있는 것이다. ‘사람의 생명이 그 소유의 넉넉한 데 있지 아니 하다고 말함으로써 인간의 근본적인 탐심을 경계하고 있는 것이다.

 

도마의 대화는 누가보다 훨씬 더 간결하고 담박하다. 어떤 법적인 차원의 맥락이 개재되어 있질 않다. ‘무소유라는 근원적인 주제가 배어있기는 하지만, 도마의 대화의 핵심은 예수 자신의 아이덴티티에 관한 것이다.

 

16에 예수는 평화를 던지러 온 것이 아니라 충돌을 던지러 왔으며, 불과 칼과 싸움을 선사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16장의 메시지는 결코 본 장과 모순되지 아니 한다. 16장의 갈등은 버림을 위한 갈등이다. ‘소유를 위한 갈등이 아니다. 여기 이 청년의 가장 큰 문제는 자신의 탐욕의 충족, 개체적 소유를 위한 분할을 요구하고 있다는 데 있다. 예수는 그러한 분할을 위한 촉매적 역할을 담당할 생각이 없다. 본 장의 주제는 내가 노자()’(통나무)을 들어 설명한 도마복음 61의 주제와 일치한다: “나는 분열되지 않은 전체로부터 온 사람이다.” 분할과 소유는 죽음과 파멸을 몰고온다. 미분할과 무소유는 생명과 끊임없는 빛의 생산을 가져온다. 그것은 화이트헤드의 제자, 노드로프(F. S. C. Northrop, 1893~1992)의 말대로 미분할된 심미적 시공간(undifferentiated aesthetic continuum)’이며, 동방적 (, Tao)’의 세계이다.

 

 

 카파도키아 위르귐(Ürgüp)지역의 대표적 심볼, 요정의 굴뚝 바위(fairy chimmers), 오른쪽부터 엄마, 아기, 아빠바위. 바위속에 사람이 살고 있다. 청동기 시대부터 내려오는 주거양식이다.

 

 

인용

목차

본문

성경

주제상관도표

기독교성서의 이해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