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논어한글역주, 선진 제십일 - 15. 과유불급(過猶不及) 본문

고전/논어

논어한글역주, 선진 제십일 - 15. 과유불급(過猶不及)

건방진방랑자 2022. 12. 5. 15:56
728x90
반응형

 15. 과유불급(過猶不及)

 

 

11-15. 자공이 공자께 여쭈었다: “(: 자장)와 상(: 자하)을 비교한다면 누가 더 훌륭합니까?”
11-15. 子貢: “師與商也孰賢?”
 
공자께서 이에 말씀하시었다: “()는 과()하고, ()은 불급(不及)하다.”
子曰: “師也過, 商也不及.”
 
그러자 자공이 말했다. ‘그렇다면 사(자장)가 더 낫겠군요?“
: “然則師愈與?”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과한 것이 불급한 것보다 더 나을 것은 없다.”
子曰: “過猶不及.”

 

자공은 사람을 비교해보는 습벽이 있다(14-31). 자공은 대선배(선진先進). 후배, 즉 후진(後進)들에 대한 공자의 비교적 평어가 듣고 싶은 것이다. (사장)48세 연하로 최연소의 사람인데 성격이 좀 급한 면이 있었다. 그러나 매우 활발하다. 공자에게 빈번히 질문한다. 자하는 44세 연하, 사과십철(四科十哲)에 문학으로 꼽힌 인물이다. 모든 상황으로 볼 때 자하가 자장보다는 아무래도 수준높은 인물일 것이다(그러나 이것은 내 편견일 수도 있다).

 

과ㆍ불급으로 평한 것에 대해 자공은 대뜸 ()’ 쪽으로 기울었다. 공자왈: “‘()’불급(不及)’보다 나을 것은 없다.” 불완전하기는 마찬가지라는 표현이지만 완전히 동일하다고 말하지 않는다: “과도 불급과 같겠지[過猶不及].”

 

예기』 「단궁상에 자하와 자장이 각각 부모상을 치른 후에 공자를 찾아왔을 때 금()을 타게 하여 그 소리를 대비시켜 놓은 고사가 있다. 논어의 이 장과 직접 관련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비슷한 시대의 비슷한 양식적 설화문학이라고 느껴진다.

 

 

자장(子張)’은 재주가 높고 관심이 넓어, 구차스럽도록 어려운 일을 하기를 좋아하여, 항상 중()에서 지나치는 면이 있었다. ‘자하(子夏)’는 돈독히 신험하고 근 엄히 지키며 관심의 규모가 협애하였다. 그러므로 항상 중()에 못 미치는 면이 있었다.

子張才高意廣, 而好爲苟難, 故常過中. 子夏篤信謹守, 而規模狹隘, 故常不及.

 

(然則師愈與?). ‘()’는 평성이다. ()’라는 것은 더 낫다는 뜻이다. (過猶不及). ()라는 것은 중용을 지극한 기준으로 삼는다. 현명하고 지혜로운 것의 지나침이 어리석고 불초함의 못 미침보다 더 나을 것 같지만, 실상 그 중()을 잃음은 매양 한가지인 것이다.

, 平聲. , 猶勝也. 道以中庸爲至. 賢知之過, 雖若勝於愚不肖之不及, 然其失中則一也.

 

 

윤언명이 말하였다: “중용의 덕됨이 지극하도다! 대저 과와 불급은 똑같은 잘못이니, 호리(亳釐: 털끝만큼)라도 잘못되면 결코 그 잘못이 나중에는 천리길로 벌어지고 만다. 그러므로 성인의 가르침은 지나침은 억제하고, 못 미침은 이끌어서, 모두 그 중도(中道)로 돌아가게 할 뿐이다.”

尹氏曰: “中庸之爲德也, 其至矣乎! 夫過與不及, 均也. 差之毫釐, 繆以千里. 故聖人之敎, 抑其過, 引其不及, 歸於中道而已.”

 

 

 

 

인용

목차 / 전문

공자 철학 / 제자들

맹자한글역주

효경한글역주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