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9. 시의 효용 흥관군원(興觀群怨)
17-9.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얘들아! 너희들은 어찌하여 시(詩)를 배우지 아니 하느냐? 시는 인간의 감정을 흥기시키며[興], 사물과 역사를 통관케 하며[觀], 사람들과 더불어 무리짓게 하며[群], 나의 슬픔을 나타낼 수 있게 한다[怨]. 가까이는 어버이를 섬길 수 있게 하며, 멀리는 임금을 섬길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새와 짐승, 풀과 나무의 이름을 많이 알게 한다.” 17-9. 子曰: “小子! 何莫學夫詩? 詩, 可以興, 可以觀, 可以群, 可以怨. 邇之事父, 遠之事君. 多識於鳥獸草木之名.” |
시(詩)에 관한 공자의 언급으로서 직전제자의 전송으로 보여지는 매우 소중한 로기온자료이다.
‘소자(小子)’는 ‘이삼자(二三子)’를 말할 때보다도 더 어린 제자그룹을 상대로 말하고 있다는 인상을 준다. 심오한 뜻에 관해서는 『시경』을 직접 읽어보면서 이 말을 음미해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인용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한글역주, 양화 제십칠 - 11. 형식화된 예악을 일갈하다 (0) | 2022.12.14 |
---|---|
논어한글역주, 양화 제십칠 - 10. 담장을 마주하고 서 있는 것 같다 (0) | 2022.12.14 |
논어한글역주, 양화 제십칠 - 8. 육언(六言)과 육폐(六蔽) (0) | 2022.12.14 |
논어한글역주, 양화 제십칠 - 7. 반역에 성공한 필힐이 공자를 초빙하다 (0) | 2022.12.14 |
논어한글역주, 양화 제십칠 - 6. 다섯 가지[恭寬信敏惠]를 실천하면 인이 된다 (0) | 2022.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