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논어한글역주, 양화 제십칠 - 11. 형식화된 예악을 일갈하다 본문

고전/논어

논어한글역주, 양화 제십칠 - 11. 형식화된 예악을 일갈하다

건방진방랑자 2022. 12. 14. 01:35
728x90
반응형

 11. 형식화된 예악을 일갈하다

 

 

17-11.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다 예()다라고 말하지만, 어찌 그것이 옥백(玉帛)을 말하는 것이겠느뇨? ()이다, ()이다라고 말하지만, 어찌 그것이 종고(鐘鼓)를 말하는 것이겠느뇨?”
17-11. 子曰: “禮云禮云, 玉帛云乎哉? 樂云樂云, 鐘鼓云乎哉?”

 

에른스트 카시러(Ernst Cassirer, 1874~1945)의 말대로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는 기실 상징(symbols)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것은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 인간은 그 이름을 파악하는 내면의 개념이 없이는 사물을 인식하지 못한다. 인간이 인간다울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바로 인간이 상징을 창조해낸다는 데 있다. 인간은 언어를 만들었고, 언어에 기초한 문명을 만들었는데 그 문명은 알고 보면 하나의 상징체계일 뿐이다.

 

여기 옥()이다 백()이다 하는 것도 일차적으로 외교전례상에서 반드시 문제되는 상징이었다. 군주들이 만날 때는 옥을 교환하는데, 그것은 반드시 아름 다운 비단[]으로 포장되어 있었다.

 

여기 ()’은 우리나라 국악원에서 연주되고 있는 편종(編鐘)을 가리킨다. 124청성을 내는 16개의 종이 두 단으로 된 나무틀에 매달려 있다. 아랫단은 바른손으로 치고 윗단은 왼손으로 친다. ‘()’는 북이며 혁부(革部)에 속하는 피명악기(皮鳴樂器)로서 고대제례악에 빼놓을 수 없는 것이었다.

 

공자는 이러한 심볼리즘 그 자체에 삶의 궁극적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 인간이 만든 세계는 하나의 거대한 상징체계의 화엄이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상징이 나타내고자 하는 어떤 삶의 의미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 의미가 상징적 논리 속에 구조 지워지는 의미가 아니라, 그 상징성을 초월하는 근원적인 어떤 직()한 정감의 세계를 항상 지향하고 있다고 공자는 말하고 있다. 상징성과 고정성을 뛰어넘는 예악(禮樂)의 궁극적 의미를 말한 유명한 장이지만, 그 문장의 수사법도 참으로 아름답다고 할 것이다.

 

 

 

 

인용

목차

전문 / 본문

공자 철학 / 제자들

맹자한글역주

효경한글역주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