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8. 봉황도 오지 않고 하도(河圖)도 나오지 않네
子曰: “鳳鳥不至, 河不出圖, 吾已矣夫!”
夫, 音扶.
○ 鳳, 靈鳥, 舜時來儀, 文王時鳴於岐山. 河圖, 河中龍馬負圖, 伏羲時出, 皆聖王之瑞也. 已, 止也.
○ 張子曰: “鳳至圖出, 文明之祥. 伏羲ㆍ舜ㆍ文之瑞不至, 則夫子之文章, 知其已矣.”
해석
子曰: “鳳鳥不至, 河不出圖, 吾已矣夫!”
공자께서 “봉황이 이르지 않고 황하에서 하도가 나오지 않으니 나는 끝이로구나.”
夫, 音扶.
○ 鳳, 靈鳥, 舜時來儀,
봉(鳳)은 영령한 새로 임금 때에 와서 춤을 췄고
文王時鳴於岐山.
문왕 때에 기산에서 울었었다.
河圖, 河中龍馬負圖,
하도(河圖)는 황하 속 용마의 등에 그려진 것으로
伏羲時出, 皆聖王之瑞也.
복희 때에 나왔으니 모두 성왕의 상서로움이다.
已, 止也.
이(已)는 그만둔다는 것이다.
○ 張子曰: “鳳至圖出, 文明之祥.
장자가 말했다. “봉황이 오고 하도가 나오는 것은 문명의 상서로움이지만
伏羲ㆍ舜ㆍ文之瑞不至,
복희와 순임금, 문왕의 상서가 나타나지 않았으니
則夫子之文章, 知其已矣.”
부자의 문장이 그칠 것을 알 수 있다.”
인용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자한 - 10. 안연이 밝힌 공자 도의 위대함 (0) | 2021.10.08 |
---|---|
논어 자한 - 9. 공자가 예의를 갖춘 사람들 (0) | 2021.10.08 |
논어 자한 - 7. 어리석은 질문이라도 양단의 논리로 세밀히 설명해주다 (0) | 2021.10.08 |
논어 자한 - 6. 등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러 재주를 익혀야 했던 공자 (0) | 2021.10.08 |
논어 자한 - 5. 공자, 광땅에서 위협을 당하다 (0) | 2021.10.08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