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마을에 있을 때의 공자의 모습
鄕人飮酒, 杖者出, 斯出矣.
杖者, 老人也. 六十杖於鄕, 未出不敢先, 旣出不敢後.
○ 『禮記』 「王制」曰: “五十杖於家, 六十杖於鄕, 七十杖於國, 八十杖於朝, 九十者, 天子欲有問焉, 則就其室, 以珍從.”
鄕人儺, 朝服而立於阼階.
儺, 乃多反.
○ 儺, 所以逐疫, 『周禮』方相氏掌之. 阼階, 東階也. 儺雖古禮而近於戱, 亦必朝服而臨之者, 無所不用其誠敬也.
或曰: “恐其驚先祖五祀之神, 欲其依己而安也.”
○ 此一節, 記孔子居鄕之事.
해석
鄕人飮酒, 杖者出, 斯出矣.
향당에서 향음주례가 끝날 때에 지팡이 짚은 분이 나가시면 따라 나가셨다.
杖者, 老人也.
장자(杖者)란 노인을 말한다.
六十杖於鄕,
“60세엔 향당에서 지팡이를 짚는다.”고 되어 있으니
未出不敢先,
나가지 않거든 감히 먼저 하지 않았고
旣出不敢後.
이미 나갔거든 감히 뒤에 할 수 없는 것이다.
○ 『禮記』 「王制」曰: “五十杖於家, 六十杖於鄕,
『예기』 「왕제」에서 말했다. “50살에 집에서 지팡이 짚고 60살에 향당에서 지팡이 짚으며
七十杖於國, 八十杖於朝,
70살에 나라에서 지팡이를 짚고 80살에 조정에서 지팡이를 짚으며
九十者, 天子欲有問焉, 則就其室, 以珍從.”
90살에 천자가 문안하고자 하면 室에 나아오니 진수성찬이 따른다.”
鄕人儺, 朝服而立於阼階.
마을 사람이 나례의식【요즈음 점점 ‘굿’이라는 공동체행사가 사라져가고 있지만 고대사회에 있어서 굿의 의미는 공동체질서를 유지하는 불가결의 제의였다. 여기 ‘향인나(鄕人儺)’라고 한 것은 우리나라 굿 언어로 하면 ‘동제’에 해당되는 것이며 ‘나(儺)’라는 것은 귀신을 쫓는 제액(除厄)의 굿이므로 액매기 굿에 해당된다. 보통 ‘나(儺)’는 궁정에서 행하는 것이다. 고려말기 문신 이색이 지은 칠언시에 「구나행(驅儺行)」이라는 것이 있지만, 우리나라 궁중에서도 세말에 구나라는 굿을 했는데 가면을 쓴 연극에 가까운 것이다. 악귀로 분장한 사람을 방상씨(方相氏)가 쫓는데 가면 쓴 소년들이 줄을 지어 따른다. -『논어한글역주』3권, 201쪽】을 행할 때 조정의 복장을 입고 동쪽 섬돌계단에 서계시었다.
儺, 乃多反.
○ 儺, 所以逐疫, 『周禮』方相氏掌之.
나례의식은 역병을 쫓는 것이니 『주례』에 방상씨가 그걸 관장했다고 나와 있다.
阼階, 東階也.
조계(阼階)는 동쪽 계단이다.
儺雖古禮而近於戱,
나례는 비록 옛 예지만 놀이에 가까우니
亦必朝服而臨之者, 無所不用其誠敬也.
또한 반드시 조복을 입고 자리에 나가는 것은 정성과 공경함을 쓰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或曰: “恐其驚先祖五祀之神,
혹자가 말했다. “선조와 오사(五祀)【봄과 초여름과 늦여름과 가을과 겨울에 각각 지게문[戶]과 부엌[竈]과 집 중앙의 토지신[中霤]과 대문[門]과 한길[行]에 제사 지내는 것을 말한다】의 신을 놀래킬까 걱정되어
欲其依己而安也.”
신들이 자기에게 의지하게 하여 편안하게 하고자 한 것이다.”
○ 此一節, 記孔子居鄕之事.
이곳 한 구절은 공자가 마을에 거처할 때의 일을 기록한 것이다.
인용
'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향당 - 12. 사람의 생명을 중시했던 공자의 모습 (0) | 2021.10.09 |
---|---|
논어 향당 - 11. 다른 사람과 친교를 맺을 때의 공자 모습 (0) | 2021.10.09 |
논어 향당 - 9. 자리를 반듯하게 한 후에야 앉던 공자 (0) | 2021.10.09 |
논어 향당 - 8. 음식을 대하는 공자의 모습 (0) | 2021.10.09 |
논어 향당 - 7. 재계할 때의 공자 모습 (0) | 2021.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