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시놀이터/시화 (123)
건빵이랑 놀자
膚淺爲詩東俗陋 蘓齋簡易寡同儔 現成腳跡徒遵奉 不復深從裏許求 盧蘓齋在宣廟初 最爲傑然 其沈欝老健 莾宕悲壯 深得老杜格力 人莫能及 崔簡易風格之䧺豪 質致之深厚 亞於蘓齋 而鑱畫矯健或過之 其警絶處聲響栗然 如出金石 非後人所及也 -『警修堂全藁』 인용 전문
虛白訥齋角奇健 駱峯淸鬯杭芝川 中宣後進開天是 徐四佳如四傑前 我朝詩 至中廟朝大成 又至宣廟朝大備 李容齋倡始 而朴訥齋,申駱峯,鄭湖陰,朴挹翠幷生一時 足稱千古 盧蘓齋,黃芝川迭相代興 崔白法唐 而李蓀谷闡其流 崔簡易險勁矯健 自門戶 權石洲晩出 而可與容齋肩隨 至如初葉大家 當推徐四佳爲第一 而金佔𠌫,成虛白次之 比之於唐 則四佳諸公 其初唐之四傑 而中宣諸名家 其猶盛唐開天諸家 -『警修堂全藁』 인용 전문
萬竅風生鐵鳳翔 孤撑宇宙格沈蒼 佛天花雨羅時盖 又見駸駸入盛唐 惺叟詩話 佔𠌫齋神勒寺詩 上方鍾動驪龍舞 萬竅風生鐵鳳翔之句 沉欝嚴重 此眞撑宇宙句 五山說林 佔𠌫詩稱冠冕 宲非夸翊 每誦其風飄羅代盖 雨蹴佛天花 則未嘗不服其放遠 -『警修堂全藁』 인용 전문
第五橋頭楊柳斜 瑤琴一曲玉人家 緗簾棐几和風日 靑瑣詞臣落墨華 魚叔權稗官雜記 樂籍上林春 以琴擅一時 申三魁贈以詩曰 第五橋頭楊柳斜 晩來風日轉淸和 緗簾十二人如玉 靑瑣詞臣信馬過 春旣老 倩畫師李上佐 寫此詩爲圖 遍乞縉紳題咏 鄭林塘,金慕齋皆有此詩 -『警修堂全藁』 인용 전문
新詩嚼徵復含商 宮女琵琶殿角凉 何物書生孫舜孝 一身渾卧御袍香 車天輅五山說林 孫勿齋舜孝有才學 成廟甚重之 甞引接賜酒 醉甚 上問曰 卿能作詩乎 對曰惟命 上以張良命題呼韻 舜孝應口對曰 奇謀不遂浪沙中 杖釰歸來相沛公 借箸已能成漢業 分茅却自讓齊封 平生智畧傳黃石 末路心期付赤松 堪恨韓彭竟葅醯 功成勇退是英䧺 上大說 命一宮人彈琵琶而歌之 舜孝醉倒不能起 上解監錦帖裏覆之 君臣眷遇之隆 曠絶千古 -『警修堂全藁』 인용 전문
四佳繁富孰窺藩 閑鴨遊蜂寫景渾 一種淸華廊廟氣 白雲如海滿前村 惺叟詩話 英廟人才輩出 一時文章鉅公甚多 惟徐四佳詩 舂容富麗 如遊蜂飛不定 閑鴨睡相依 大有佳處 金春澤北軒雜志 古語云詩能窮人 然宰相口氣 與寒士絶異 鄭林塘身作太平宰相 時國家於北路戰亡處賜祭 林塘詩曰 聖朝枯骨亦沾恩 香火年年降塞門 祭罷上壇雷雨定 白雲如海滿前村 題甚悽楚而語却富麗 -『警修堂全藁』 인용 전문
夢牽白鶴靑松棲 詩好丹山碧水題 摹寫江光橫匹練 空中明月近堪梯 退溪先生求靑松不諧 得除丹山郡 有詩曰 靑松白鶴元無分 碧水丹山儘有緣 練光亭詩 有空中明月近堪梯 -『警修堂全藁』 인용 전문
晦齋不屑學操觚 長對靑山一句無 好向先生觀所養 一身還有一唐虞 晦齋有長對靑山不賦詩之句 又曰待得神淸眞氣養 一身還是一唐虞 非操觚家可及 -『警修堂全藁』 인용 전문
紅杏花殘雨一犂 蒼茫獨立詠新詩 歸來又得佳公子 卧看秋窓蟲吐絲 朱溪君深源 燕山時爲任士洪搆誣 與二子並見害 中廟時特贈一品㫌閭 公子非但解理學 亦能綴詩 雨後晩望曰 一犂春雨杏花殘 處處人耕白水間 獨立蒼茫江海上 不勝惆悵望三山 鳴陽正賢孫 以禮律身 而瀟洒出塵 其秋日詩曰 白露園林淨 高風草木衰 覆杯踈竹葉 汲井煑桑枝 落日雁塞塞 秋窓虫吐絲 誰憐貧病客 長咏楚人詞 -『警修堂全藁』 인용 전문
執手賢王子亟稱 逃荊泰伯讓寧能 天家富貴禪家語 蘿月孤菴塔一層 讓寧大君 初立爲世子 永樂五年 朝京師 文皇帝執手慰諭之 稱曰賢王子 親製七言詩以賜 世宗生有聖德 百姓歸心焉 讓寧心知之 佯狂逃去以讓之 一時擬之泰伯,虞仲 自少能文章 陽若不知書者 雖太宗亦不知 題僧卷 有曰山霞朝作飯 蘿月夜爲燈 獨有孤菴下 惟存塔一層 雖自命風騷者 未必過之 -『警修堂全藁』 인용 전문
桃花關外望天涯 大別山靑春日斜 下筆烟雲金惕若 能敎牧老嘆才華 許筠惺叟詩話 金惕若九容詩甚淸贍 牧老素稱下筆如雲烟者是已 嘗奉使入京 其咨文 馬五十匹 誤塡以五千 高皇帝命流大理 公詩曰 死生由命奈何天 東望扶桑路渺然 良馬五千何日到 桃花關外草芊芊 過武昌 又有大別山靑日已斜之句 -『警修堂全藁』 인용 전문
眞傳理學冠東邦 節義堂堂百世降 不謂詞章兼卓犖 雨聲板屋早梅窓 鄭圃隱先生 非徒理學節義冠絶一世 文章亦豪放奇雋 梅窓春色早 板屋雨聲多 卽先生一臠也 -『警修堂全藁』 인용 전문
虞趙諸公共漸摩 蜀吳萬里壯經過 文章爾雅陶鎔化 功到于今儘覺多 李益齋爲忠宣王器重 從王居上國最久 故得與元四學士遊處 視易聽新 摩厲變化 固已極其正大高明之學 而又奉使川蜀 從王吳會 往返萬餘里 閎博絶特之觀 包括無餘 踈蕩其奇氣 斂而東歸 問學之士 仰之如泰山 去其靡陋 稍返爾雅 皆先生之化也 -『警修堂全藁』 인용 전문
放眼威儀覩漢官 功高初祖始開山 顧雲一部方輿誌 爭及僧棊白日閑 李奎報白雲小說 崔致遠入唐登第 有破荒之功 故東方學者 皆以爲宗 其詩有昆侖東走五山碧 星宿北流一水黃之句 同年顧雲曰 此句卽一輿地誌 學士朴仁範,參政朴寅亮 亦以詩鳴海內 東方文獻之通中國 自三子始焉 朴參政詩曰 門前客棹洪波急 竹下僧棊白日閑 頗佳 -『警修堂全藁』 인용 전문

삼당시인의 비평하다 崔ㆍ白ㆍ李三人詩, 皆法正音. 崔之淸勁, 白之枯淡, 皆可貴重. 然氣力不逮, 稍失事厚. 李則富豔, 比二氏家數頗大, 皆不出郊ㆍ島之藩籬. 崔・白早世, 李晩年文章大進, 自成一家, 斂其綺麗, 歸於平實. 해석 崔ㆍ白ㆍ李三人詩, 皆法正音. 최경창ㆍ백광훈ㆍ이달(삼당시인)의 시는 모두 바른 소리를 본받았다. 崔之淸勁, 白之枯淡, 皆可貴重. 최경창은 맑고도 굳세며, 백광훈은 마르고 담백하니 모두 귀중하다 할 만하다. 然氣力不逮, 稍失事厚. 그러나 기력이 미치지 못해 조금 일의 두터움에서 잃었다. 李則富豔, 比二氏家數頗大, 이달은 풍부하고 요염하니 두 작가에 비교하면 자주 매우 뛰어났으니 皆不出郊ㆍ島之藩籬. 모두 중당시인인 맹교(孟郊)와 가도(賈島)의 울타리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崔・白早世, 李晩年文章大進..
시화(詩話) 및 한시 담론(談論) 목차 ㄱ 권필의 전별시(서포만필)고경명과 이달의 시를 비교김시습의 시(지봉유설)김종직 시(청창연담)양촌과 호음의 금강산시과장이란 시적허용궁류시와 권필감정과 시의 관계그대 맘 싣고 가네강서시파 휩쓸다(최항)고유어가 필요해고유어만 아니야瓊雷聯璧集序(김윤식) ㄷ 도은을 질투한 삼봉뛰어난 정지상과 이색의 시동악~삼연의 시 평가당풍에 힘쓰라당풍ㆍ송풍 가리지마당시ㆍ송시 모두 배워라大東風謠序(홍대용)당나라 시풍 ㅁ 목은이 속담으로 지은 시毛詩序(모장)말과 이치를 너머의 시 ㅂ 빗소리=낙엽소리박인량, 송에서 인정받다박은ㆍ박상 시를 평가하다(정조)賦ㆍ比ㆍ興으로 시를 짓는 법(신경준)복고에 반기 든 공안파(원굉도)복고론의 일본 영향(오규 소라이)복고파를 배워라(정두경)복고주의 시(이반룡)..
궁류시(宮柳詩)로 광해군과 외척 유희사를 비판한 권필 光海妃兄柳希奢, 專擅用事. 權石洲嘗往人家, 飮酒昏到, 希奢適來. 主人蹴石洲起, 曰: “文昌公來矣.” 文昌者, 希奢封號也. 國亡, 則公家, 豈得不亡乎?” 柳無言慘沮而去. 時進士任叔英, 對策諷論朝政, 言甚切直. 光海命削其科. 石洲又作「宮柳詩」曰: “宮柳靑靑鶯亂飛, 滿城冠盖媚春輝. 朝廷共賀昇平樂, 誰遺危言出布衣.” 『石洲集』 해석 光海妃兄柳希奢, 專擅用事. 광해의 처형인 유희사가 멋대로 국정을 했다. 權石洲嘗往人家, 飮酒昏到, 希奢適來. 권석주가 일찍이 다른 사람 집에 가서 술을 마시니 어두워졌고 희사가 마침 왔다. 主人蹴石洲起, 曰: “文昌公來矣.” 주인이 차기에 석주가 일어나며 말했다. “문창공 오신다.” 文昌者, 希奢封號也. 문창이라는 건 희사의 봉호..

정두경의 웅장하기만 한 시를 비판하다 김창흡(金昌翕) 洪萬選來自其大人北評事餞席, 歷誦滿朝公卿詩章幾數十篇, 先生極稱其強記. 聽至東溟‘胡地群山北極來, 結爲長白勢崔巍.’ 先生哂之曰: “每作此雄大語.” 『三淵集拾遺』 / 『靜觀齋先生續集』 해석 洪萬選來自其大人北評事餞席, 홍만선이 아버지 홍주국(洪柱國)의 북평사 전별연(餞別宴)에서 돌아와 歷誦滿朝公卿詩章幾數十篇, 온 조정의 공경(公卿)들의 몇 수십 편의 시를 일일이 외우자 先生極稱其強記. 선생께서 기억력이 좋다고 매우 칭찬하셨다. 聽至東溟‘胡地群山北極來, 結爲長白勢崔巍.’ 동명 정도경이 지은 아래의 시구(「북평사 홍주국 전송하면서 겸하여 절도사 춘장 영공께 보내며[送北評事 洪柱國 兼寄節度使春長令公]」를 듣고선, 胡地群山北極來 오랑캐 땅의 모든 산이 북극에서 내려와..
유우석의 금릉회고시, 최고의 작품으로 뽑히다 元微之ㆍ夢得ㆍ韋楚客同㑹樂天舍, 論南朝興廢, 各賦「金陵懷古」詩. 劉滿引一盃, 飲已即成曰: “王濬樓船下益州, 金陵王氣黯然收. 千尋鐵鏁沈江底, 一片䧏幡出石頭. 人世㡬囘傷往事, 山形依舊枕江流. 而今四海爲家日, 故壘蕭蕭蘆荻秋.” 白公覽詩曰: “四人探驪龍, 子先獲珠, 所餘鱗爪, 何用耶?” 於是罷唱. 『唐詩紀事』 권39 해석元微之ㆍ夢得ㆍ韋楚客同㑹樂天舍, 미지 원진과 몽득 유우석과 위초객이 함께 백낙천의 집에 모여 論南朝興廢, 各賦「金陵懷古」詩. 남조의 흥망성쇠를 논하며, 각각 「금릉회고」 시를 짓기로 했다. 劉滿引一盃, 飲已即成曰: 유우석이 한 잔 가득 채우고 마시며 이윽고 완성하며 말했다. “王濬樓船下益州, 金陵王氣黯然收. 千尋鐵鏁沈江底, 一片䧏幡出石頭. 人世㡬囘傷往事,..

시가 사람을 감동시키다 白沙李公之竄北靑, 行過鐵嶺作鐵嶺宿雲詞, 有詞得 “孤臣寃淚作行雨, 往灑九重宮闕”之語. 一日光海主遊宴後庭, 宮娥有唱是詞者. 主曰: “大是新聲, 何處得來?” 對曰: “都下傳唱云, 是李某所作.” 主使之復歌, 悽然泣下, 詩之能感人如此. 然若光海者, 亦豈不可與爲善哉? 『西浦漫筆』 해석 白沙李公之竄北靑, 백사 이항복이 북청으로 귀양 가다가 行過鐵嶺作鐵嶺宿雲詞, 철령을 지나며 철령에 머문 구름을 노래로 지었다. 有詞得 “孤臣寃淚作行雨, 往灑九重宮闕”之語. 노래 한편이 생각났으니 다음과 같다. 孤臣寃淚作行雨 외로운 신하의 원한 가득한 눈물로 비 내리게 하여 往灑九重宮闕 가며 구중궁궐에 뿌리리다. 一日光海主遊宴後庭, 하루는 광해군이 뒤뜰에서 잔치를 벌였는데 宮娥有唱是詞者. 궁녀가 갑자기 위의 노래를..
석주의 약하디 약한 마음이 담긴 전별시 其餞詔使詩曰: “別語在心徒脈脈, 離盃到手故遲遲. 死前只是相思日, 送後那堪獨去時” 亦非不工矣. 而頗似關西營妓與蕩子惜別語, 紵衣縞帶之贈, 安有此等氣象? 古人謂, “詩可以觀人窮達.” 信矣. 『西浦漫筆』 해석其餞詔使詩曰: “別語在心徒脈脈, 離盃到手故遲遲. 死前只是相思日, 送後那堪獨去時” 석주의 사신을 전별하는 「고 천사(천준)에게 증별하다. 원접사를 대신하여 짓다[別顧天使(天峻), 代遠接使作]」라는 시는 다음과 같다. 別語在心徒脈脈이별의 말은 맘에 둔 채 한갓 그저 바라만 보며,離盃到手故遲遲이별의 술잔 손에 이르자 일부러 머뭇머뭇. 死前只是相思日죽기 전엔 다만 그대를 그리워할 날 뿐이리니,送後那堪獨去時보낸 후에 어찌 홀로 떠나는 걸 감당하려나. 亦非不工矣. 또한 기교 있지..
퇴계 선생의 자득한 뜻이 담긴 한시 余嘗喜退溪先生詩: “性癖常耽靜, 形骸實怕寒. 松風關院聽, 梅雪擁爐看. 世味衰年別, 人情末路難. 悟來成一笑, 爲是夢槐安.” 非但句律精工, 其居閒自得之趣, 可以想見. 今於窮陋中, 偶一諷誦, 益覺有味, 不揆蕪拙, 謹次其韻, 時九月十二日也. 해석 余嘗喜退溪先生詩: 나는 일찍이 퇴계 선생의 시를 좋아했었다. “性癖常耽靜, 形骸實怕寒. 松風關院聽, 梅雪擁爐看. 世味衰年別, 人情末路難. 悟來成一笑, 爲是夢槐安.” 「친구의 시를 차운하다次友人」라는 시는 다음과 같다. 性癖常貪靜 形羸實怕寒 천성은 항상 고요함을 탐하나 형체는 삐쩍 말라 실제론 추위를 두려워하네. 松風關院聽 梅雪擁爐看 솔바람 빗장 건채 듣고 눈 속 매화는 화로 낀 채 보다보니, 世味衰年別 人生末路難 세상의 맛은 늘그막에..
어무적의 「신력탄(新曆歎)」과 이규보의 「위심(違心)」이 알려준 세상의 실상 魚無迹字潛夫, 『新曆歎』曰: “我願三萬六千日, 判作人間兩朝夕. 春花一吐一年紅, 秋月一照一年白. 堯舜至今顔尙韶, 周孔至今頭尙黑. 朝聞吁咈土階上, 暮見絃誦杏壇側.” 余甞聞白露國, 比屋皆聖賢, 掘地則金銀, 多晴少雨, 有豊無凶, 未甞不翹首相望, 以爲樂土. 及讀潛夫詩, 始疑白露國, 亦寓言, 若華胥ㆍ槐安之類也. 李奎報『違心』詩曰: “人間萬事苦參差, 動輒違心莫適宜. 少歲家貧妻尙侮, 殘年祿厚妓將隨. 雨陰多是出遊日, 天霽皆吾閒坐時. 腹飽輟飡逢美肉, 喉瘡忌飮遇深巵. 儲珍賤售市高價, 宿疾方痊隣有醫. 瑣小由來猶類此, 揚州駕鶴况堪期.” 世事乖張大盖如斯. 宋人詩云: “九十日春晴景少, 三千年事亂時多.” 令人恨恨不能自已. 『靑莊館全書』 해석魚無迹字潛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