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15개정 (10)
건빵이랑 놀자
2015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교육과정 목차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7] ① 한자와 어휘[9한01-01]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12한문Ⅰ01-01]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12한문Ⅱ01-01]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9한01-02]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한다.[12한문Ⅰ01-02]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한다. [9한01-03]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르게 쓴다.[12한문Ⅰ01-03]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르게 쓴다. [9한01-04]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12한문Ⅰ01-04]한자의 짜임을 구별한다. [9한01-05]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12한문Ⅰ01-05]문장에 사용된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12한문Ⅱ..

(라)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한문 • 문장의 구조나 문장 성분 찾기, 문장의 유형을 구별하도록 하되, 학습 과정 중심의 수행평가 형태가 되도록 하고 문법적 내용보다는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학습의 경험 이전과 이후의 변화에 집중하며 학습의 과정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지필 평가, 관찰, 면담, 점검표, 논술 등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하고, 지필 평가의 결과, 토의 및 토론의 참여도와 결과물 등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다양한 산출물 및 참여 태도를 종합하여 평가 자료로 활용한다. 한문 Ⅰ • 문장의 구조나 문장 성분 찾기, 문장의 유형을 구별하도록 하되, 학습 과정 중심의 수행평가 형태가 되도록 하고 문법적 내용보다는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 ..

(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① 교수・학습 방법 한문 • ‘문장의 구조’를 학습할 때에는 문장 구조 분석하기, 어순에 유의하여 문장 독해하기, 허사의 쓰임에 유의하여 문장 독해하기, 비교・분석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문장의 유형’을 학습할 때에는 비교・분석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소리 내어 읽기’를 학습할 때에는 낭송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끊어 읽기’를 학습할 때에는 토 달아 읽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내용과 주제’를 학습할 때에는 토의・토론하기, 역할 놀이 학습, 그림・만화 활용하기, 연극・방송 대본 만들기, 역사 신문 만들기, 가상 인터뷰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
2022 개정 교육과정 한문(고)[12한문02-04] 한시의 특징을 통해 한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가) 성취기준 해설• [12한문02-04] 이 성취기준은 한시의 특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한시의 특징이란 한시의 시체(詩體), 압운, 대우(對偶), 시상 전개 방식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한시의 형식적 특징을 이해하면 함축과 상징의 시어로 구성된 한시를 다면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한시를 감상할 때는 한시의 표면적 뜻뿐만 아니라 시어 속에 숨겨진 의미, 창작 배경, 문학적 영향 관계, 심미적 요소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아야 시를 감상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나) 성취기준 적용 시 ..

2015 개정 교육과정 한문 [9한02–06] 한문 산문은 문학적인 글은 물론 역사적・철학적인 글이나 심지어 실용적인 글조차도 각기 감상의 대상이 되는 하나의 작품이기도 하다. 여기서 감상(鑑賞)은 작품의 내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작품의 가치를 평가・감정(鑑定)하고 아름다움과 재미를 느끼는 심미적(審美的) 활동이다. 작품의 가치를 평가하고 감정할 때에는 작품의 내용이 가지는 의미를 자신의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어야 하며, 작품의 아름다움과 재미를 느낄 때에는 작품에서 자신이 느끼기에 특별히 멋있거나 재미있는 부분이 왜, 그리고 어떻게 멋있거나 재미있는지를 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문 Ⅰ[12한문Ⅰ02–07]한문 산문은 글의 종류와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른 서술 방식을 사용한다. ① 가령,..

(라)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 한문 • 한자는 그와 관련된 기초적인 지식의 성취와 활용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단순히 한자를 쓰는 순서를 묻기보다는 한자를 정확하고 바르게 쓰는 것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단순히 한자의 짜임이 무엇인지를 묻기보다는 한자의 짜임을 이해하고 한자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단순히 단어의 짜임이 무엇인지를 묻기보다는 단어의 짜임을 이해하고 한문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단순히 실사와 허사가 무엇인지를 묻기보다는 그 차이점을 구분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 텍스트만 제시하기보다는 삽화나 사진, 신문, 광고 등 실생활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평가 방식을 다양화한다. 한문 Ⅰ ..
2022 개정 교육과정 한문(고)[12한문01-04] 실사와 허사를 구별한다. (가) 성취기준 해설• [12한문01-04] 이 성취기준은 기본 품사를 이해하여 실사와 허사의 차이를 구별하고 단어, 성어, 문장의 풀이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품사에는 단독으로 어휘적 의미를 가진 ‘실사’와 문법적 의미만을 나타내는 ‘허사’가 있다. 실사에 속하는 품사로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부사가 있으며, 허사에 속하는 품사로는 개사, 접속사, 어조사, 감탄사가 있다. 개사(介詞)는 일반적으로 명사나 대명사 등 명사류(名詞類) 앞에 놓여 그 명사류를 서술어와 연결해주면서 처소, 대상, 도구, 시간, 원인, 비교 등의 뜻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접속사(接續詞)는 단어와 단어, 어구(語句)..

나. 성취기준 (1) 한자와 어휘 한문 한자는 글자 하나하나가 높은 형상성과 강력한 의미 전달력, 풍부한 조어력을 지닌 문자이다. 따라서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를 중심으로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문장 학습과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9한01-01]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9한01-02]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한다.[9한01-03]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르게 쓴다.[9한01-04]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9한01-05]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9한01-06]문장에 사용된 실사와 허사를 구별한다. 한문 Ⅰ 한자는 글자 하나하나가 높은 형상성과 강력한 의미 전달력, 풍부한 조어력을 지닌 문자이다. 따라서 한문 교육..

1. 성격 한문은 고전 문언문(文言文)으로 한자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던 국제적 표기 수단의 하나였다. 우리 조상들 역시 수천 년 동안 한자와 한문을 사용하여 사상과 감정을 표현해 왔으므로 우리 조상들의 지혜와 사상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한문으로 기록된 각종 전적(典籍)들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독해력을 길러야 한다. 또한 우리가 일상생활에 쓰는 상당 부분의 어휘가 한자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특히 다른 교과에서 주로 사용하는 학습 용어의 상당수가 한자 어휘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원활한 언어생활과 다른 교과에서 사용하는 학습 용어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 한문 학습이 필요하다. 그리고 한문 기록 속에는 우리의 정신문화가 대부분 축적되어 있어 현재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가치관의 문제 등을 치..

3.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가. 내용 체계 영역핵심 개념일반화된 지식내용 요소기능한문의 이해한자와 어휘한자는 하나의 글자가 모양・음・뜻을 지니고 있다.한자의 모양・음・뜻읽기풀이하기이해하기표현하기탐구하기조사하기분석하기활용하기한자의 부수한자의 필순한자의 짜임단어를 구성하는 의미 요소들 사이에는 일정한 결합 관계가 있다.단어의 짜임한문의 품사에는 단독으로 어휘적 의미를 가지는 실사와 문법적 의미만을 나타내는 허사가 있다.실사와 허사한문의 독해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 사이에는 일정한 결합 방식이 있다.문장의 구조읽기풀이하기이해하기표현하기비평하기감상하기탐구하기조사하기분석하기토의・토론하기활용하기화자(話者)가 자기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는 문장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문장의 유형글을 이루는 단어, 구절, 문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