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3. 성취기준, 2. 한문의 독해(학습요소: 한시형식) 본문

한문놀이터/한문과 교육과정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3. 성취기준, 2. 한문의 독해(학습요소: 한시형식)

건방진방랑자 2021. 9. 6. 17:03
728x90
반응형

 한시의 형식

 

한문

 

[90207] 한시(漢詩)의 시상(詩想) 전개 방식은 기승전결(起承轉結)의 네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 네 구()로 된 한시인 절구(絶句)의 경우, 기구(起句)에서 시상을 불러일으키고, 승구(承句)에서 시상을 이어받아 확대발전시키며, 전구(轉句)에서 시상에 변화를 주어 장면이나 분위기를 비약전환시켰다가, 결구(結句)에서 전체의 시상을 마무리하는 것이다. 한시를 바르게 이해하고 감상하려면 시상 전개 과정을 잘 살펴서 시 전체의 분위기를 읽어내고 제목, 작가와 작품에 대한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한시에 사용된 시어나 시구의 의미와 이미지, 비유 대상 등을 통해 시의 내용과 연결하여 시가 지닌 참다운 맛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문

 

[12한문0208] 한시를 바르게 이해하고 감상하기 위해서는 한시의 시체(詩體), 압운(押韻), 대우(對偶), 한시의 시상 전개 방식 등 한시의 형식적 특징에 대한 지식을 어느 정도 알고 있어야 한다. 한시의 시체(詩體)는 크게 고체시(古體詩)와 근체시(近體詩)로 나뉘며, 한 구()의 자수(字數)에 따라 오언시, 칠언시 등으로 나뉜다. 압운법(押韻法)은 한시에서 특정한 구()의 끝자리를 운모(韻母)가 같은 글자로 맞추는 것을 말한다. 이때 압운된 글자를 운자(韻字)라고 한다. 운자는 대체로 짝수 구의 끝자리에 다는데, 첫째 구의 끝자리에도 달 수 있다. 대우법(對偶法)은 한시에서 나란히 이어지는 두 구가 내용상으로나 어법상으로 서로 짝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대우를 이루는 두 구는 앞의 구를 출구(出句), 뒤의 구를 대구(對句)라고 부른다. 한시(漢詩)의 시상(詩想) 전개 방식은 기승전결(起承轉結)의 네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 네 구()로 된 한시인 절구(絶句)의 경우, 기구(起句)에서 시상을 불러일으키고, 승구(承句)에서 시상을 이어받아 확대발전시키며, 전구(轉句)에서 시상에 변화를 주어 장면이나 분위기를 비약전환시켰다가, 결구(結句)에서 전체의 시상을 마무리하는 것이다. 한시를 바르게 이해하고 감상하려면 시상 전개 과정을 잘 살펴서 시 전체의 분위기를 읽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문

 

[12한문0207] 한시의 시체(詩體)는 크게 고체시(古體詩)와 근체시(近體詩)로 나눌 수 있다. 고체시는 고시(古詩)라고도 하는 데, ()나라 때 근체시가 성립되기 이전부터 지어진 시체로서, 구수(句數), 자수(字數), 운율(韻律) 등에 대한 규칙이 비교적 자유롭다. 한 구()의 자수가 5자로 이루어진 오언 고시(五言古詩)7자로 이루어진 칠언 고시(七言古詩)가 있다. 이외에도 한 구의 자수가 4자로 된 사언시(四言詩), 각 구의 자수가 일정하지 않은 잡언시(雜言詩) 등이 있다. 또한 한()나라 때 민간의 가요(歌謠)를 채집하는 기관인 악부(樂府)에서 수집정리한 민간의 가요 및 이를 모방하여 지은 후대 시인들의 작품을 아울러 이르는 악부시(樂府詩)도 고체시에 속하는 것으로 본다. 근체시는 당나라 때 성립된 시체로서, 구수(句數), 자수(字數), 운율(韻律) 등에 대한 규칙이 엄격하다. 근체시는 작품 한 수()의 구수가 4구로 된 절구(絶句)8구로 된 율시(律詩), 그리고 10구 이상으로 된 배율(排律)이 있다. 평측법(平仄法)은 한시를 지을 때 구()를 이루는 각 글자가 있어야 할 자리에 평성에 해당하는 한자와 측성에 해당하는 한자를 일정하게 배치하는 규칙을 말한다. 한자는 글자마다 성조(聲調)를 가지고 있다. 한자의 성조는 평성(平聲), 상성(上聲), 거성(去聲), 입성(入聲)의 네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이를 사성(四聲)이라고 한다. 또한 사성 중에서 낮고 평평한 소리인 평성을 제외한 나머지, 곧 올라가거나 낮아지거나 하는 소리인 상성, 거성, 입성을 포괄하여 측성(仄聲)이라고 한다.

 

 

정리

 

한시의 시체(詩體)는 크게 고체시(古體詩)와 근체시(近體詩)로 나눌 수 있다. 07 개정

 

고체시는 고시(古詩)라고도 하는 데, ()나라 때 근체시가 성립되기 이전부터 지어진 시체로서, 구수(句數), 자수(字數), 운율(韻律) 등에 대한 규칙이 비교적 자유롭다. 한 구()의 자수가 5자로 이루어진 오언 고시(五言古詩)7자로 이루어진 칠언 고시(七言古詩)가 있다. 이외에도 한 구의 자수가 4자로 된 사언시(四言詩), 각 구의 자수가 일정하지 않은 잡언시(雜言詩) 등이 있다.

 

또한 한()나라 때 민간의 가요(歌謠)를 채집하는 기관인 악부(樂府)에서 수집정리한 민간의 가요 및 이를 모방하여 지은 후대 시인들의 작품을 아울러 이르는 악부시(樂府詩)도 고체시에 속하는 것으로 본다.

 

근체시는 당나라 때 성립된 시체로서, 구수(句數), 자수(字數), 운율(韻律) 등에 대한 규칙이 엄격하다. 근체시는 작품 한 수()의 구수가 4구로 된 절구(絶句)8구로 된 율시(律詩), 그리고 10구 이상으로 된 배율(排律)이 있다.

 

압운법(押韻法)은 한시에서 특정한 구()의 끝자리를 운모(韻母)가 같은 글자로 맞추는 것을 말한다. 이때 압운된 글자를 운자(韻字)라고 한다. 운자는 대체로 짝수 구의 끝자리에 다는데, 첫째 구의 끝자리에도 달 수 있다.

 

대우법(對偶法)은 한시에서 나란히 이어지는 두 구가 내용상으로나 어법상으로 서로 짝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대우를 이루는 두 구는 앞의 구를 출구(出句), 뒤의 구를 대구(對句)라고 부른다.

 

평측법(平仄法)은 한시를 지을 때 구()를 이루는 각 글자가 있어야 할 자리에 평성에 해당하는 한자와 측성에 해당하는 한자를 일정하게 배치하는 규칙을 말한다. 한자는 글자마다 성조(聲調)를 가지고 있다. 한자의 성조는 평성(平聲), 상성(上聲), 거성(去聲), 입성(入聲)의 네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이를 사성(四聲)이라고 한다. 또한 사성 중에서 낮고 평평한 소리인 평성을 제외한 나머지, 곧 올라가거나 낮아지거나 하는 소리인 상성, 거성, 입성을 포괄하여 측성(仄聲)이라고 한다.

 

한시(漢詩)의 시상(詩想) 전개 방식은 기승전결(起承轉結)의 네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 네 구()로 된 한시인 절구(絶句)의 경우,

 

기구(起句)에서 시상을 불러일으키고,

승구(承句)에서 시상을 이어받아 확대발전시키며,

전구(轉句)에서 시상에 변화를 주어 장면이나 분위기를 비약전환시켰다가,

결구(結句)에서 전체의 시상을 마무리하는 것이다.

 

한시를 바르게 이해하고 감상하려면 시상 전개 과정을 잘 살펴서 시 전체의 분위기를 읽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1. 고체시: 당나라 이전의 시나 악부시(樂府詩)를 일컬음.

1) 종류: 57언 고시(古詩), 4언시, 악부시

 

2. 근체시: 당 때 성립된 시체, 구수(句數), 자수(字數), 운율(韻律)에 엄격한 한시

1) 종류

절구(絶句) - 57

율시(律詩) - 57

배율(排律) - 한 수의 구수가 10구 이상으로 된 시로 57언이 있음.

2) 규칙

압운법(押韻法): 짝수 구에 압운

평측법(平仄法): 1 () 둘째자에 따라, 5언은 측(), 7언은 평()

대우법(對偶法): 앞 구는 출구(出句)이며 뒷 구는 대구(對句)라 함.

 

 

 

인용

목차 / 지도

1. 성격

2. 목표

3.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 내용 체계

. 성취기준

1. 한자와 어휘

학습요소 / 해설(한자의 짜임, 단어의 짜임, 품사) / 교수학습 / 평가

2. 한문의 독해

학습요소 / 해설(문장의 구조, 문장의 유형, 주제 이해, 한문산문, 한시형식) / 교수학습 / 평가

3. 한자어휘와 언어생활

학습요소 & 해설 / 교수학습 & 평가

4. 한문과 인성

학습요소 & 해설 / 교수학습 & 평가

5. 한문과 문화

학습요소 & 해설 / 교수학습 & 평가

4. 교수·학습 방향

5. 평가의 방향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