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논어 안연 - 2. 중궁에게 경(敬)과 서(恕)를 가르치다 본문

고전/논어

논어 안연 - 2. 중궁에게 경(敬)과 서(恕)를 가르치다

건방진방랑자 2021. 10. 10. 14:05
728x90
반응형

2. 중궁에게 경()과 서()를 가르치다

 

 

仲弓問仁. 子曰: “出門如見大賓, 使民如承大祭. 己所不欲, 勿施於人. 在邦無怨, 在家無怨.”

仲弓: “雖不敏, 請事斯語矣.”

敬以持己, 恕以及物, 則私意無所容而心德全矣. 內外無怨, 亦以其效言之, 使以自考也.

程子: “孔子言仁, 只說出門如見大賓, 使民如承大祭. 看其氣象, 便須心廣體胖, 動容周旋中禮. 謹獨, 便是守之之法.”

或問: “出門使民之時, 如此可也; 未出門使民之時, 如之何?”

: “此儼若思時也, 有諸中而後見於外. 觀其出門使民之時, 其敬如此, 則前乎此者敬可知矣. 非因出門使民, 然後有此敬也.”

愚按: 克己復禮, 乾道也; 主敬行恕, 坤道也. 之學, 其高下淺深, 於此可見. 然學者誠能從事於敬恕之間而有得焉, 亦將無己之可克矣.

 

 

 

 

 

 

해석

仲弓問仁.

중궁이 인에 대해 여쭈었다.

 

子曰: “出門如見大賓, 使民如承大祭. 己所不欲, 勿施於人. 在邦無怨, 在家無怨.”

공자께서 문을 나서서는 큰 손님을 본 듯이 하고, 백성을 부릴 때는 큰 제사를 받들 듯이 하라. 자기가 하고 싶지 않은 것을 남에게 베풀지 않아야 한다. 그러면 나라에선 원망이 없고 집에서도 원망이 없다.”라고 말씀하셨다.

 

仲弓: “雖不敏, 請事斯語矣.”

중궁이 제가 비록 민첩하진 못하지만 이 말씀에 종사하고자 합니다.”라고 말씀드렸다.

敬以持己, 恕以及物,

()으로 자기를 보지(保持)하고 서()로 사물에 미치면

 

則私意無所容而心德全矣.

사적인 뜻은 용납되지 않고 마음의 덕이 온전하여진다.

 

內外無怨, 亦以其效言之,

내외에 원망이 없다는 것은 또한 공효로 말한 것으로

 

使以自考也.

스스로 고찰하게 한 것이다.

 

程子: “孔子言仁, 只說出門如見大賓,

정이천이 말했다. “공자께서 인을 문을 나서서는 큰 손님을 본 듯이 하고,

 

使民如承大祭.

백성을 부릴 때는 큰 제사를 받들 듯이 하라라고 말씀하셨으니,

 

看其氣象, 便須心廣體胖,

그 기상을 보면 모름지기 보면 모름지기 마음이 넓고 몸이 확 펼쳐져

 

動容周旋中禮.

태도와 일을 주선하는 것이 예에 맞으니

 

謹獨, 便是守之之法.”

오직 신독(愼獨)함이 곧 그것을 지키는 방법이다.

 

或問: “出門使民之時, 如此可也;

어떤 이가 물었다. “문을 나가거나 백성을 부릴 때에 이처럼 한다면 괜찮지만

 

未出門使民之時, 如之何?”

문을 나가거나 백성을 부릴 때가 아니라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 “此儼若思時也,

정자가 말했다. “이때엔 엄연히 생각한 듯이 하는 때다.

 

有諸中而後見於外.

내면에 갖춰진 후에 외면으로 드러나니,

 

觀其出門使民之時, 其敬如此,

문에 나가고 백성을 부릴 때에 보아 경()이 이와 같다면

 

則前乎此者敬可知矣.

그 이전의 경()은 알 수 있다.

 

非因出門使民, 然後有此敬也.”

그러니 문을 나가고 백성을 부린 후에만 이러한 경()이 있는 건 아니다.”

 

愚按: 克己復禮, 乾道也;

내가 생각하기로 극기복례는 하늘의 도고

 

主敬行恕, 坤道也.

()을 위주로 하여 서()를 행하는 건 땅의 도다.

 

之學, 其高下淺深, 於此可見.

안연과 염구의 학문의 높고 낮고 얕고 깊음을 이에 볼 수 있다.

 

然學者誠能從事於敬恕之間而有得焉,

그러나 학자가 진실로 경()과 서() 사이에 종사하여 얻을 수 있다면

 

亦將無己之可克矣.

또한 장차 이겨야 할 사욕이 없어지리라.

 

중궁(仲弓)이 인()에 대해 묻자 공자는 이렇게 대답했다. ‘논어’ ‘안연(顔淵)’편의 대화다.

출문(出門)은 문밖을 나가 조정에서 벼슬을 살거나 남과 교제하는 일을 말한다. 여견대빈(如見大賓)은 공후(公侯)의 신분을 지닌 손님을 뵙듯이 공손(恭遜)한 태도를 지니라는 뜻이다. ()처럼 하라. ‘명심보감에서는 출문여견대빈 입실여유인(出門如見大賓, 入室如有人)’의 예절을 가르쳤다. 사민(使民)은 인민에게 역역(力役)을 부과하는 일을 말한다. 여승대제(如承大祭)는 천신이나 조상신을 제사 지내는 일을 받들어 행하듯이 경건(敬虔)한 태도를 지니라는 뜻이다.

기소불욕 물시어인(己所不欲, 勿施於人)’자기가 바라지 않는 것을 남에게 강요하지 말라는 뜻으로, ()와 인()이 상대된다. ‘논어’ ‘위령공(衛靈公)’편에서 공자는 인()의 심리인 ()’를 설명하면서 이 말을 사용했다. 재방(在邦)은 제후의 조정에서 벼슬을 사는 일을 말한다. 재가(在家)는 벼슬 살지 않고 집에 있는 것을 말한다. 무원(無怨)은 남으로부터 원망 받는 일이 없다는 뜻이다.

공자는 안연(顔淵)에게 극기복례(克己復禮)가 인()이라고 했다. 중궁(仲弓)에게는 경()을 주로 하고 서()를 행하는 것이 인()이라 했다. 둘 사이에 차이가 있다고도 하지만, 정약용은 극기(克己)가 곧 서()이므로 공자의 가르침은 일관(一貫)되어 있다고 했다. 자기를 가다듬어 공손한 사람은 남을 공경하는 태도를 지니고 또 남을 배려하는 서()의 마음을 지닐 것이다. 공자는 일상생활에서 이 공()과 경()과 서()의 태도를 유지하라고 했다. 우리는 대개 이 평이한 가르침을 제대로 체득(體得)하지 못한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인용

목차 / 전문 / 편해 / 역주

생애 / 공자 / 유랑도 / 제자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