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논어한글역주, 안연 제십이 - 2. 중궁에게 경(敬)과 서(恕)를 가르치다 본문

고전/논어

논어한글역주, 안연 제십이 - 2. 중궁에게 경(敬)과 서(恕)를 가르치다

건방진방랑자 2022. 12. 6. 05:18
728x90
반응형

 2. 중궁에게 경()과 서()를 가르치다

 

 

12-2. 중궁(仲弓)이 인()을 여쭈었다. 이에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집 문을 나가면 큰 손님을 뵈온 듯이 하고, 백성을 부릴 때는 큰 제사를 받들 듯이 하라. 내가 원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도 베풀지 말라. 그리하면 나라에서도 원망 받는 일이 없을 것이며 집에서도 원망 받는 일이 없을 것이다.”
12-2. 仲弓問仁. 子曰: “出門如見大賓, 使民如承大祭. 己所不欲, 勿施於人. 在邦無怨, 在家無怨.”
 
중궁이 대답하였다: “() 제가 불민하오나 이 말씀을 공경되이 따르겠나이다.”
仲弓曰: “雍雖不敏, 請事斯語矣.”

 

우선 전 장과의 양식적 일치가 눈에 띈다. 시작과 끝이 사람만 바뀌었을 뿐 동일한 주제에 대한 사제문답의 동일한 양식이다.

 

  시작
1 안연문인(顔淵問仁) 안연왈(顔淵曰)
회수불민(回雖不敏) 청사사어의(請事斯語矣)
2 중궁문인(仲弓問仁) 중궁왈(仲弓曰)
옹수불민(雍雖不敏) 청사사어의(請事斯語矣)

 

동일한 사람에 의하여 동일한 주제에 대하여 동일한 양식으로 편집된 하나의 컬렉션이다. 나중에 안연이나 중궁이 대답하는 태도는 꼭 서당에서 회초리 맞는 학동이 외우는 소리 같다. 벌써 경직된 분위기가 감돈다. ‘기소불욕(己所不欲), 물시어인(勿施於人)’은 동일계열의 파편이 5-11, 15-23에 보이고있다. ‘재방(在邦)’은 공적 영역(public space)을 가리키고, ‘재가(在家)’는 사적 영역(private space)을 가리킨다. ‘무원(無怨)’원망함이 없다가 아니라, ‘원망되어짐이 없다이다. 능동이 아닌 피동이다.

 

 

 

 

인용

목차

전문 / 본문

공자 철학 / 제자들

맹자한글역주

효경한글역주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