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걸
걸감호(乞鑑湖)
감호(鑑湖)는 일명 경호(鏡湖)라고도 하는 호수 이름인데, 당 현종(唐玄宗) 때에 비서감(祕書監) 하지장(賀知章)이 은퇴할 적에 주궁호(周宮湖) 수경(數頃)을 자신의 방생지(放生池)로 삼게 해 주기를 요구하여 현종의 특명에 의해 감호 한 굽이(一曲)를 하사받았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당서(唐書)』 卷一百九十六
걸걸(桀桀)
잡초가 무성한 모양이다.
걸걸(揭揭)
빨리 달리는 모양, 박힌 물건이 막 뽑힐 것 같은 모양이다.
걸견폐요(桀犬吠堯)
폭군 걸왕(桀王)의 개도 성왕(聖王) 요(堯)임금을 보면 짓는다. 자기 상관에게 충성을 다하는 것을 이른다. 개는 그 주인만을 알고 그 이외의 사람에게는 사정을 두지 않는다.
걸골(乞骨)
신하로서 죽을 때까지 국가에 봉사하여야 하는 것이 원칙인데, 나이가 많으면 뼈다귀를 고향에 돌아가 묻겠사오니 뼈 주기를 빈다는 것은 벼슬을 사양하는 것을 말함이다. / 인용: 范增論(소식)
걸교(乞巧)
칠석(七夕)에 부녀자들이 색실을 맺어 놓고 일곱 바늘에 꿰어 바느질 잘하게 되는 솜씨를 비는 것인데, 거미가 외(瓜) 위에 그물을 치면 성공한 것이라 한다.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 / 당(唐) 나라 유종원(柳宗元)이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며 지은 「걸교문(乞巧文)」이 『초사(楚辭)』 후어(後語) 5권에 실려 있다.
걸교루(乞巧樓)
칠석(七夕)에 뜰에다 세워서 채색으로 꾸민 누(樓). 걸교는 칠석날 밤에 부녀자들이 견우·직녀 두 별에게 길쌈과 바느질 솜씨가 늘기를 비는 제사이다.
걸교문(乞巧文)
시문 짓는 재주가 훌륭해지기를 비는 글을 말한다.
걸교영주(乞巧縈蛛)
칠석(七夕)에 아녀자들이 베를 잘 짜게 해 달라고 직녀에게 비는데, 아침에 거미줄이 오이 덩굴에 걸렸으면 직녀가 솜씨를 빌려 주었다고 여겨 기뻐하였다.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
걸교희주(乞巧喜蛛)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칠석(七夕)에는 부인이 채색실을 맺어 칠공침(七孔鍼)에 꿰어 놓은 다음 오이 과일을 뜨락에 차려놓고 직녀에게 걸교를 하는데 거미새끼가 오이 위에 내려와 그물을 치면 소원대로 된다고 좋아했다.”라 하였다.
걸래벽해경어수(朅來碧海鯨魚手)
시의 힘이 웅장하고 강한 것을 말한다. 두보(杜甫)의 시에 “或看翡翠蘭苕上 未掣鯨魚碧海中”이라는 구가 있다.
걸래비준(朅來飛隼)
『사기(史記)』 「공자세가(孔子世家)」에 “독수리가 진정(陳庭)에 모여 죽었는데 고시(楛矢)가 꿰었고 화살촉은 석노(石弩)였다. 중니는 이를 보고 말하기를 ‘독수리가 멀리서 왔다. 이는 숙신(肅愼)의 화살이다.’라 하였다.[有隼集于陳廷而死, 楛矢貫之, 石砮, 矢長尺有咫. 陳湣公使使問仲尼. 仲尼曰「隼來遠矣, 此肅愼之矢也]”고 하였다.
걸미서(乞米書)
쌀을 꾸어달라는 편지를 말한다. 이와 비슷한 경우로 당(唐) 나라 때 노공(魯公) 안진경(顔眞卿)에게도 걸미첩(乞米帖)이 있었는데, 그 내용에 “생계에 졸하여 온 집이 죽을 먹고 지내는데 이미 몇 달을 지내고 보니 지금은 그것마저 떨어졌다.”라고 하였다.
걸불병행(乞不竝行)
구걸하는 사람은 같이 다니지 않는다. 무엇을 요구하거나 청을 할 때는 혼자서 가는 것이 이롭다.
걸신(乞身)
벼슬하는 사람이 몸을 나라에 바치므로 치사(致仕)를 “몸을 빌어 빠져간다.”고 말한다.
걸아긍향화(乞兒矜向火)
권세가에 빌붙어 부귀를 탐하는 조정의 관원들을 비유한 말이다.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 문무 백관들이 양국충(楊國忠)에게 다투어 빌붙자, 장구령(張九齡)이 “이들은 모두 불가로 모여드는 거지 새끼들이다.”라고 하였다.:『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 「향화걸아(向火乞兒)」
걸아득금(乞兒得錦)
거지 아이가 비단을 얻음. 곧, 분수 밖에 생긴 일을 지나치게 자랑한다는 뜻이다.
걸위승(乞爲僧)
당 덕종(唐德宗) 때의 명장 이성(李晟)이 일찍이 장연상(張延賞)과 사이가 좋지 않아 그로부터 훼방을 듣게 되자, 중이 되어 해진 우차(牛車)를 타고 고향으로 돌아가겠다고 임금에게 청했던 데서 온 말이다. 『당서(唐書)』 卷一百五十四
걸익(桀溺)
춘추(春秋)시대 초(楚)나라 사람이다. 난세를 피하여 숨어살며 장저(長沮)와 함께 나란히 밭을 갈았다. 공자(孔子)가 섭(葉) 땅을 지나 채나라로 가다가 밭을 갈고 있던 은자 장저와 걸익을 만나 자로(子路)를 시켜 강을 건너는 나루터를 물어보게 했다. 두 사람은 자로(子路)에게 혼란한 세상을 바꾸고자 헛된 노력을 하고 있는 공자를 떠나 자기들과 같이 세상에 숨어 농사나 짓고 살자고 권유했다. 『논어(論語)』 「미자(微子)」
걸인연천(乞人憐天)
집 없는 거지가 하늘을 불쌍히 여긴다. 곧, 부당한 걱정을 한다는 뜻이다. 불행한 처지에 있는 사람이 행복한 사람을 동정한다는 뜻이다. 거지가 도승지를 불쌍하다고 한다.
걸해(乞骸)
늙은 재상(宰相)이 나이가 많아 조정에 나오지 못하게 될 때 임금에게 그만두기를 주청(奏請)함을 이른다.
걸해골(乞骸骨)
자기 일신은 주군(主君)에게 바쳤으나 그 해골은 내려 주시면 좋겠다는 뜻이다. 노신(老臣)들이 사직을 바라는 일, 벼슬아치들이 사직원을 내는 것을 말한다. 한 패공(漢沛公)이 진평(陳平)의 계책을 써서 항왕과 범증(范增)의 사이를 교묘하게 이간질함으로써, 마침내 항왕이 범증을 의심하여 권한을 약간 박탈시키자, 범증이 크게 노하여 말하기를 “천하의 일은 이미 정해졌으니, 군왕(君王)께서 스스로 알아서 하시오. 신의 해골(骸骨)이나 졸오(卒伍) 사이로 돌아가게 해주기 바라오.”라 하니, 항왕이 들어주었는데, 범증은 마침내 항왕의 곁을 떠나 미처 팽성(彭城)도 다 못 가서 등창으로 죽었던 데서 온 말이다. 『사기(史記)』 「항우본기(項羽本紀)」 / 인용: 范增論(소식)
인용
'어휘놀이터 > 어휘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휘사전 - 15. 겁 (0) | 2019.08.31 |
---|---|
어휘사전 - 14. 검 (0) | 2019.08.31 |
어휘사전 - 12. 건 (0) | 2019.08.26 |
어휘사전 - 11. 거 (0) | 2019.08.26 |
어휘사전 - 10. 갱 (0) | 2019.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