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논어 자로 - 13. 몸을 바로잡아라 본문

고전/논어

논어 자로 - 13. 몸을 바로잡아라

건방진방랑자 2021. 10. 12. 10:00
728x90
반응형

13. 몸을 바로잡아라

 

 

子曰: “苟正其身矣, 於從政乎何有? 不能正其身, 如正人何?”

 

 

 

 

해석

子曰: “苟正其身矣, 於從政乎何有?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진실로 자신의 몸이 바르면 정치에 종사함에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

 

不能正其身, 如正人何?”

자신의 몸이 바르지 못하면 남을 바로잡기를 어찌하겠는가?”

유학은 최고 권력자인 군주(君主)의 정신(正身)과 정치에 참여하여 실제 권력을 행사하는 대부(大夫)의 정신(正身)을 함께 강조한다. ‘논어’ ‘자로(子路)’의 이 장()에서 공자가 정신종정(正身從政)을 말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정신(正身)대학팔조목(八條目) 가운데 평천하(平天下), 치국(治國), 제가(齊家)의 기본요건인 수신(修身)과 같다. , 정약용은 대부(大夫)의 아래에서 정무를 담당하는 사() 계층의 역할을 기대했으므로 사()의 정신(正身)도 함께 강조했다.

()진실로 이라면이다. 정기신의(正其身矣)는 자기 몸가짐을 바로잡았다는 뜻으로, 는 확정의 어조를 지닌다. ()()에 있어서라는 뜻의 구문이다. 종정(從政)은 군주의 정치를 협찬(協贊)하여 권력을 행사하는 것을 말한다. 하유(何有)는 하난지유(何難之有)의 준말로,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라고 반문해서 아무 어려움이 없음을 강조했다. 한편 여()()을 어찌하랴라고 반문하여 을 어찌할 수 없다는 뜻을 나타낸다. 정인(正人)은 정신(正身)과 대비되는데, 여기서는 백성들을 바로잡는 일을 뜻한다.

정신종정(正身從政)자로편의 다른 장()에서 공자가 몸가짐이 바르면 시키지 않더라도 행한다고 말한 것과 유사하되 조금 의미가 다르다. ‘시키지 않더라도 행한다고 한 것은 위정(爲政)하는 군주에게 덕()이 있어서 교화(敎化)가 절로 이뤄짐을 뜻한다. ‘정치를 함에 무슨 어려움이 있으랴라 한 것은 종정(從政)하는 대부(大夫)와 사()가 정령(政令)을 실시하는 일을 두고 말한 것이다. 둘 다 정신(正身)을 강조했다. 정치 참여자가 부정(不正)이나 독직(瀆職)을 저지르면서 백성에게 정도(正道)를 따르라고 강요한다면 효과를 볼 수 있겠는가. 지금이라고 다르겠는가.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인용

목차 / 전문 / 편해 / 역주

생애 / 공자 / 유랑도 / 제자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