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논어 헌문 - 2. 이기려 하지 않고 자랑하지 않으면 원망하지 않고 탐욕스럽지 않다 본문

고전/논어

논어 헌문 - 2. 이기려 하지 않고 자랑하지 않으면 원망하지 않고 탐욕스럽지 않다

건방진방랑자 2021. 10. 13. 08:19
728x90
반응형

2. 이기려 하지 않고 자랑하지 않으면 원망하지 않고 탐욕스럽지 않다

 

 

, , , 欲不行焉, 可以爲仁矣?”

此亦原憲以其所能而問也. , 好勝. , 自矜. , 忿恨. , 貪欲.

 

子曰: “可以爲難矣, 仁則吾不知也.”

有是四者而能制之, 使不得行, 可謂難矣. 仁則天理渾然, 自無四者之累, 不行不足以言之也.

程子: “人而無克, , , , 惟仁者能之. 有之而能制其情使不行, 斯亦難能也. 謂之仁則未也. 此聖人開示之深, 惜乎之不能再問也.”

或曰: “四者不行, 固不得爲仁矣. 然亦豈非所謂克己之事, 求仁之方乎?” : “克去己私以復乎禮, 則私欲不留, 而天理之本然者得矣. 若但制而不行, 則是未有拔去病根之意, 而容其潛藏隱伏於胸中也. 豈克己求仁之謂哉? 學者察於二者之間, 則其所以求仁之功, 益親切而無滲漏矣.”

 

 

 

 

해석

, , , 欲不行焉, 可以爲仁矣?”

원헌이 이기려하고 자랑하며 원망하고 탐욕을 행하지 않으면 인이라 할 수 있습니까?”라고 여쭈었다.

此亦原憲以其所能而問也.

이것은 또한 원헌이 할 수 있는 것으로 물은 것이다.

 

, 好勝. , 自矜.

()은 이기길 좋아하는 것이다. ()은 자랑하는 것이다.

 

, 忿恨. , 貪欲.

()은 분노하고 한스러워하는 것이다. ()은 탐욕이다.

 

子曰: “可以爲難矣, 仁則吾不知也.”

공자께서 어렵다고 할 수는 있지만 인한 지는 내가 알지 못한다.”라고 말씀하셨다.

有是四者而能制之, 使不得行,

이 네 가지가 있는데도 그것을 제어하여 실행하지 않게 한다면

 

可謂難矣.

어렵다고 할 만하다.

 

仁則天理渾然, 自無四者之累,

()은 천리에 혼연하여 저절로 네 가지의 얽매임이 없으니,

 

不行不足以言之也.

행하지 않는 것으로는 말하기에 부족하다.

 

程子: “人而無克, , , ,

정이천이 말했다. “사람이 극()과 벌()과 원()과 욕()이 없는 것은

 

惟仁者能之.

오직 인자만이 할 수 있고 그것이 있으나

 

有之而能制其情使不行, 斯亦難能也.

()을 제어하여 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또한 하기 어렵다.

 

謂之仁則未也.

그러나 인()이라 말하는 것은 어렵다.

 

此聖人開示之深,

이것은 성인이 열어 보여주는 심오한 것인데

 

惜乎之不能再問也.”

애석하구나 원헌은 다시 묻질 않았다.”

 

或曰: “四者不行, 固不得爲仁矣.

혹자가 말했다. “네 가지의 행동하지 않는 것은 진실로 인이 될 수 없다.

 

然亦豈非所謂克己之事, 求仁之方乎?”

그러나 또한 어찌 극기(克己)의 일과 인을 구하는 방법이 아니겠는가?”

 

: “克去己私以復乎禮,

내가 말했다. “자기의 사사로움을 제거하여 예로 회복하면

 

則私欲不留, 而天理之本然者得矣.

사욕은 남아있지 않아 천리의 본연을 얻을 수 있다.

 

若但制而不行,

만약 다만 제어하여 행하지 못하게 하면

 

則是未有拔去病根之意,

이것은 병을 뿌리째 뽑으려는 뜻이 있지 않아

 

而容其潛藏隱伏於胸中也.

가슴 속에 은밀히 감추고 은밀히 숨기는 것을 용납한 것이다.

 

豈克己求仁之謂哉?

그러니 어찌 극기(克己)와 구인(求仁)이라 할 수 있겠는가?

 

學者察於二者之間,

학자는 두 가지 사이에서 살핀다면

 

則其所以求仁之功, 益親切而無滲漏矣.”

인을 구하는 공효가 더욱 가깝고 절실해져 세어나가는 게 없으리라.”

 

논어’ ‘헌문(憲問)’의 둘째 장()이다. 앞 장()에 이어 원헌(原憲)이 질문하자 공자가 대답한 부분이다. 주자(주희)에 따르면 극벌원욕(克伐怨欲)의 극()은 남 이기기 좋아하는 호승(好勝), ()은 자기 자랑을 하는 자긍(自矜), ()은 남을 원망하는 분한(忿恨), ()은 욕심을 부리는 탐욕(貪欲)이다. 인자(仁者)라면 이런 편벽된 감정을 억제할 수 있겠지만 이를 억제한 사람이 곧 인자(仁者)는 아니다. 공자는 인자(仁者)라면 극기복례(克己復禮)와 충서(忠恕)를 실천해야 한다고 보았다. , 정약용은 극벌(克伐)을 타동사 극공(剋攻)으로 보고 원()은 자기에게 없음을 한스럽게 여기는 일, ()은 남의 것을 탐하는 일이라고 풀이했다. 조선 학자들은 주자의 설을 따랐다. 가이위(可以爲)라 할 수 있다이다.

정조대왕은 규장각 문신들에게 극벌원욕(克伐怨欲)을 행하지 않음이 극기복례(克己復禮)만 못한 것이 아닌데, 공자가 인()으로 인정하지 않은 것은 어째서인가?”라고 물었다. 모범답안은 이러했다. “극기복례는 극벌원욕이라 할 만한 것 자체를 아예 없게 만드는 것입니다.” 양명학자 나홍선(羅洪先)도 극()과 원()을 행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은 제2의의 공부이며, 마음의 본체에 대해 공부하는 것이 제1의의 공부라고 주장한 바 있다.

조선후기의 여성 학자인 사주당(師朱堂) 이씨(李氏)는 극심한 당쟁의 원인이 지식층의 극()과 원()에 있다고 보았다. 도덕군자라는 이들이 참된 공부를 하지 못해서 그런 편벽한 감정을 지녀 세상에 해악을 끼치고 있다고 개탄한 것이다. 이 비판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여전히 유효하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인용

목차 / 전문 / 편해 / 역주

생애 / 공자 / 유랑도 / 제자들

19A13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