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이규보 - 오덕전극암시발미(吳德全戟巖詩跋尾) 본문

산문놀이터/삼국&고려

이규보 - 오덕전극암시발미(吳德全戟巖詩跋尾)

건방진방랑자 2019. 9. 25. 12:40
728x90
반응형

 오덕전의 극암시 끝에 지은 글

오덕전극암시발미(吳德全戟巖詩跋尾)

 

이규보(李奎報)

 

 

吳德全爲詩, 遒邁勁俊, 其詩之膾炙人口者, 不爲不多, 然未見能押強韻, 儼若天成者.

及於北山欲題戟巖, 則使人占韻, 其人故以險韻占之, 先生題曰: “北嶺巉巉石, 邦人號戟巖. 迥摏乘鶴晉, 高刺上天咸. 揉柄電爲火, 洗鋒霜是監. 何當作兵器, 敗楚亦亡凡.”

其後有北朝使, 能詩人也, 聞此詩, 再三歎美, : “是人在否? 令作何官? 儻可見之耶?” 我國人茫然無以對. 予聞之曰: “何不道今方爲制誥學士之任耶?” 其昧如此, 可歎哉云. -東國李相國全集卷第二十一

 

 

 

 

해석

吳德全爲詩, 遒邁勁俊, 其詩之膾炙人口者, 不爲不多, 然未見能押強韻, 儼若天成者.

덕전(德全, ) 오세재(吳世才)는 시를 지은 것이 굳세고 힘이 있으며 강하고 반듯해 그 시가 사람들의 입에 회자됨이 많지 않음이 없었지만 강운(强韻)한시(漢詩)를 지을 때 쓰이는 운자 중, 시를 짓기에 어려운 운자를 일컬음을 압운할 수 있는진 보이진 않고 의연하게 자연스레 짓는 것 같았다.

 

及於北山欲題戟巖, 則使人占韻, 其人故以險韻占之, 先生題曰: “北嶺巉巉石, 邦人號戟巖. 迥摏乘鶴晉, 高刺上天咸. 揉柄電爲火, 洗鋒霜是監. 何當作兵器, 敗楚亦亡凡.”

개성 북쪽 산에 이르러 극암(戟岩) 시를 지으려 해서 남에게 운을 부르게 하니 그 사람이 일부러 험운을 불렀고 오세제는 다음과 같이 지었다.

 

北嶺石巉巉 邦人號戟巖 북쪽 고개의 바위 삐죽빼죽하여 나라 사람들이 극암이라 부르네.
迥摏乘鶴晉 高刺上天咸 멀기는 학을 탄 진()주 영왕(周靈王)의 태자. 그는 피리를 잘 불었으며, 신선이 되어 갔다가 30 여 년 만에 백학(白鶴)을 타고 와 구씨산(緱氏山)에 내렸다 한다.을 찧을 듯하고 높기는 하늘에 오른 무함(巫咸)옛날 신무(神巫). 은 중종(殷中宗) 때 천상에서 내려왔다 한다.을 찌를 듯해.
楺柄電爲火 洗鋒霜是監 휘어진 자루 같은 우레는 불꽃처럼 빛나고 씻긴 칼날 같은 서리는 거울처럼 밝다네.
何當作兵器 敗楚亦亡凡 어떻게 마땅히 병기를 만들어 초나라를 멸망시키고 또 범나라를 멸망시킬까?

 

其後有北朝使, 能詩人也, 聞此詩, 再三歎美, : “是人在否? 令作何官? 儻可見之耶?” 我國人茫然無以對.

훗날 북조의 사신으로 시를 잘 짓는 이가 이 시를 듣고 두세 번 감탄하고서 이 사람은 살아 있나 죽었나? 지은 것으로 어느 관직에 있는가? 내가 그를 볼 수 있는가?”라고 물었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넋이 빠져 대답하질 못했다.

 

予聞之曰: “何不道今方爲制誥學士之任耶?” 其昧如此, 可歎哉云. -東國李相國全集卷第二十一

내가 그걸 듣고 어째서 지금 임명된[制誥] 학사의 임무를 맡았다고 말하지 않았는가?”라고 말했으니, 임기응변[權道]에 어둡기가 이와 같으니 탄식할 만하다.

 

 

인용

작가 / 목차 / 시화총림

백운소설 / 지봉유설 / 보한집 / 역옹패설

1012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