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홍만종 - 시화총림 목차 본문

문집/시화총림

홍만종 - 시화총림 목차

건방진방랑자 2022. 6. 5. 17:46
728x90
반응형

 시화총림(詩話叢林) 목차

 

홍만종(洪萬宗)

 

1 2
이규보(李奎報) 심수경(沈守慶)
백운소설(白雲小說) 견한잡록(遣閑雜錄)
이제현(李齊賢) 권응인(權應仁)
역옹패설(櫟翁稗說) 송계만록(松溪謾錄)
성현(成俔) 어숙권(魚叔權)
용재총화(傭齋叢話) 패관잡기(稗官雜記)
남효온(南孝溫) 이제신(李濟臣)
추강냉화(秋江冷話) 청강시화(淸江詩話)
김정국(金正國) 윤근수(尹根壽)
사재척언(思齋摭言) 월정만록(月汀謾錄)
조신(曺伸) 차천로(車天輅)
소문쇄록(謏聞瑣錄) 오산설림(五山說林)
김안로(金安老) 신흠(申欽)
용천담적기(龍泉談寂記) 산중독언(山中獨言)
청창연담(晴窓軟談)
3 4
이수광(李晬光) 김득신(金得臣)
지봉유설(芝峰類說) 종남총지(終南叢志)
유몽인(柳夢寅) 남용익(南龍翼)
어우야담(於于野談) 호곡만필(壺谷漫筆)
허균(許筠) 임방(任埅)
성수시화(惺叟詩話) 수촌만록(水村謾錄)
양경우(梁慶愚) 임경(任璟)
제호시화(霽湖詩話) 현호쇄담(玄湖瑣談)
장유(張維)  
계곡만필(谿谷謾筆)  
시화총림증정(詩話叢林證正)
1. 시화집마다 뒤바뀐 작가들
2. 우리나라 시선집을 평가하다
3. 서거정이 표절한 구절의 진위를 밝히다
4. 남용익의 기아(箕雅)를 비판하다
5. 증조부 시와 백곡의 시를 왜곡한 기아(箕雅)
6. 이옥봉과 허난설헌의 당시를 베낀 시
7. 잘 표절한 시들
8. 여러 판본을 참고한 후에 편찬하라
9. 함부로 당풍과 송풍을 따지지 말고 모두 배워라
詩話叢林跋 - 시학에 경지가 있는 우해가 편집한 책
題詩話叢林後 - 현묵자의 시적 고질병
44. 필사본. 권두에 1652(효종 3)에 쓴 홍만종의 자서(自序)와 권말에 1714(숙종 40)에 쓴 임경(任璟)ㆍ임방(任埅)의 발문이 있다.
 
홍만종은 자서(自序)에서 시평의 중요함을 말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시로써 일가를 이룬 사람이 많다. 그러나 시를 평한 글은 매우 적다. 이 점을 애석히 여겨서 시평 가운데에 볼만한 것을 가려 싣는다고 하였다.
 
그가 읽어본 제가(諸家)의 책은 조야(朝野)의 사적과 떠도는 말까지 기록되어 편질(篇帙)이 방대하였다. 그래서 그 중에서 시화에 관련된 부분만을 취하여 뽑아서 시화총림(詩話叢林)에 실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그는 시인 묵객과 산승ㆍ규수의 명구(名句)가 남김없이 실렸다고 자부하였다.
 
시화총림의 권1의 첫머리에는 목차와 범례가 실려 있다. 범례에서 시화총림파한집보한집동인시화등의 시화로만 이루어진 것은 초록하지 않고, 역옹패설어우야담등의 시화가 편입 되어 있는 책에서 시화에 해당하는 것만 초록하였다고 밝혔다.
 
시화총림에는 모두 24종의 시화서가 수록되어 있다.
1에는 이규보(李奎報)백운소설(白雲小說), 이제현(李齊賢)역옹패설(櫟翁稗說), 성현(成俔)용재총화(傭齋叢話), 남효온(南孝溫)추강냉화(秋江冷話), 김정국(金正國)사재척언(思齋摭言), 조신(曺伸)소문쇄록(謏聞瑣錄), 김안로(金安老)용천담적기(龍泉談寂記),
2에는 심수경(沈守慶)견한잡록(遣閑雜錄), 권응인(權應仁)송계만록 (松溪謾錄), 어숙권(魚叔權)패관잡기(稗官雜記), 이제신(李濟臣)청강시화(淸江詩話), 윤근수(尹根壽)월정만록(月汀謾錄), 차천로(車天輅)오산설림(五山說林), 신흠(申欽)청창연담(晴窓軟談)산중독언(山中獨言),
3에는 이수광(李晬光)지봉유설(芝峰類說), 유몽인(柳夢寅)어우야담(於于野談), 허균(許筠)성수시화(惺叟詩話), 양경우(梁慶愚)제호시화(霽湖詩話), 장유(張維)계곡만필(谿谷謾筆),
4에는 김득신(金得臣)종남총지(終南叢志), 남용익(南龍翼)호곡만필(壺谷漫筆), 임방의 수촌만록(水村謾錄), 임경의 현호쇄담(玄湖瑣談)이 수록되어 있다.
 
시화총림의 권말에는 홍만종이 여러 시화를 읽고 평이 잘못된 부분이나 시구가 잘못 적힌 것을 바로잡아 시화총림증정(詩話叢林證正)이라 하여 부록으로 실었다. 여기에서는 그의 날카로운 감식안으로 시의 작자를 고증하여 바로잡기도 하고, 시의 출처를 밝혀 표절여부를 가려내었다.
 
시화총림은 중국의 역대시화(歷代詩話)에 비견되는 우리나라 시화의 집성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비평문학의 조감도라 할 수 있을 만큼 그의 시학에 대한 심오한 조예를 담고 있다.
 
시화총림1961년 문림사(文林社)에서 유인하여 배포하였다. 1973년 아세아문화사에서 영인하여 간행하였다. 1980년 태학사(太學社)에서 홍만종전서속에 수록하였다.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인용

저자 / 지도 / 소화시평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문집 > 시화총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정만록 - 12.  (0) 2022.06.07
월정만록 - 11.  (0) 2022.06.07
신위 - 동인논시 전문  (0) 2022.06.05
장유 - 계곡만필 전문  (0) 2022.06.05
양경우 - 제호시화 전문  (0) 2022.06.0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