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논어 위령공 - 11. 먼 근심과 가까운 근심 본문

고전/논어

논어 위령공 - 11. 먼 근심과 가까운 근심

건방진방랑자 2021. 10. 13. 19:00
728x90
반응형

11. 먼 근심과 가까운 근심

 

 

子曰: “人無遠慮, 必有近憂.”

氏曰: “人之所履者, 容足之外, 皆爲無用之地, 而不可廢也. 故慮不在千里之外, 則患在几席之下矣.”

皇疏: “人生當思漸慮遠, 防於未然, 則憂患之事不得近至.”

 

 

 

 

해석

子曰: “人無遠慮, 必有近憂.”

공자께서 사람이 먼 우려가 없으면 반드시 가까운 근심이 있다.”라고 말씀하셨다.

氏曰: “人之所履者, 容足之外,

소식(蘇軾)이 말했다. “사람이 밟는 곳은 발을 용납하는 곳 외엔

 

皆爲無用之地, 而不可廢也.

모두 쓸모없는 땅이 되더라도 없앨 순 없다.

 

故慮不在千里之外,

그러므로 우려가 천리 밖에 있지 않다면

 

則患在几席之下矣.”

근심은 앉은 자리 아래에 있는 것이다.”

 

皇疏: “人生當思漸慮遠, 防於未然,

황소가 말했다. “인생은 마땅히 점차 먼 근심을 생각하여 미연에 방지한다면

 

則憂患之事不得近至.”

근심스런 일이 가까이 이를 수가 없다.”

 

우리가 목전의 안일에 익숙해서 장래의 일을 숙고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논어’ ‘위령공(衛靈公)’에서 공자는 장래를 숙고하지 않으면 발밑에서 우환(憂患)이 일어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하지만 장래의 일만 생각하고 발밑의 작은 일을 소홀히 한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그 또한 화란(禍亂)을 초래할 것이다. 공자도 원려(遠慮)를 중시하라고 했지 가까운 근심거리인 근우(近憂)를 소홀히 하라고 말하지는 않았다.

이 장()에 대해 왕숙(王肅), 군자는 환란을 미리 생각하여 예방(豫防)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식(蘇軾)은 사람이 발로 밟아나갈 때 발 디디는 곳 이외의 땅은 모두 쓸모없는 땅이지만 그러한 땅도 결코 버릴 수가 없듯이 천리 밖의 일을 생각하지 않으면 화란(禍亂)이 지금 앉은 자리 밑에서 일어난다고 풀이했다.

그런데 정약용은 원려(遠慮)만 숭상해서는 안 되며 군자가 힘써야 할 바는 가까운 데 있다고 했다. ‘주역에 보면 군자는 거실에서 말하되 말이 선하면 천리 밖에서 부응하고 말이 선하지 못하면 천리 밖으로 떠난다[“君子居其室出其言善則千里之外應之不善則千里之外違之].”고 했다. ‘서경에서는 가까움으로 먼 곳에 미친다고 했다.

정약용보다 앞서 이익도 근우(近憂)를 중시해서 어떤 재상이 일은 추호(秋毫)라도 소홀하게 다루면 반드시 폐단이 따른다고 한 말을 높이 쳤다. 그러면서 벼슬아치가 종처럼 정치를 한다고 비판했다. 종들은 탁자를 높이 괴고 술잔에 술을 가득 따르며 그릇을 길에 방치해두고는 탁자가 쓰러지고 술잔이 넘치며 그릇이 발에 차여도 자기 것이 아니라고 아까워하지 않는데 벼슬아치가 정치하는 것이 꼭 그런 식이라는 말이다. 선불교는 조고각근(照顧脚跟)하라고 가르친다. ‘너의 발밑을 보라는 말로, 여기 지금의 삶을 중시하라는 뜻이다. 원려(遠慮)를 지니되 근우(近憂)도 소홀히 하지 않는 자세가 우리에게 필요하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고주 도올
멀리 사려 깊게 헤아리지 못하면 가까운 근심이 생겨난다. 사람이 먼 근심이 없어도 반드시 가까운 근심은 있다.

 

 

인용

목차 / 전문 / 편해 / 역주

생애 / 공자 / 유랑도 / 제자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