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논어 위령공 - 12. 여자 밝히듯 덕을 좋아하길 본문

고전/논어

논어 위령공 - 12. 여자 밝히듯 덕을 좋아하길

건방진방랑자 2021. 10. 13. 19:11
728x90
반응형

12. 여자 밝히듯 덕을 좋아하길

 

 

子曰: “已矣乎! 吾未見好德如好色者也.”

, 去聲.

已矣乎, 歎其終不得而見也.

 

 

 

 

 

해석

子曰: “已矣乎! 吾未見好德如好色者也.”

공자께서 끝이로구나! 나는 덕 좋아하기를 여자 좋아하는 것 같이 하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라고 말씀하셨다.

, 去聲.

已矣乎, 歎其終不得而見也.

이의호(已矣乎)는 끝내 볼 수 없었음을 탄식한 것이다.

 

논어에는 같은 말이 다른 편에 재차 기록된 예가 간혹 있다. ‘위령공(衛靈公)’에서 공자는 덕을 좋아하기를 여색 좋아하듯 하는 사람을 나는 보지 못하였다고 탄식했는데 이 말은 이미 자한(子罕)’에도 나왔다.

공자세가사기에 따르면, 공자는 57세 때 위()나라로 갔다가 영공(靈公)이 절색(絶色)의 부인 남자(南子)와 함께 수레를 타고 시가를 돌아다닐 때 그 뒷자리에 타야만 했다. 공자는 마지못해 수레를 함께 탔지만 영공(靈公)과 남자(南子)의 행태를 추하게 여겼으므로 뒤에 이 말을 하면서 한탄한 듯하다. ‘위령공(衛靈公)’의 이 장()에는 이의호(已矣乎)의 세 글자가 더 있다. 공자는 도덕을 열렬하게 실천하는 사람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음을 알고 이 말을 다시 한 듯하다.

이의호(已矣乎)는 절망의 영탄(詠歎)이되, 완전히 포기하지 않고 약간의 기대감을 남겨둔 표현이다. 이의부(已矣夫)는 완전히 절망했을 때의 영탄이다. 호덕(好德)의 덕()은 사람이 하늘로부터 받은 도덕을 말한다. 덕 있는 사람을 가리킨다는 설도 있다. 호색(好色)의 색()은 미색(美色)의 여인이다. ()과 색()은 운()이 같아, 서로 짝을 이루었다.

유학 가운데 성리학은 인간의 마음을 도심(道心)과 인심(人心)으로 나누어 도심(道心)을 기르고 인심(人心)을 억제하라고 가르친다. 정약용도 인간의 마음을 도심과 인심으로 나누어 보는 관점을 계승하여 덕()은 도심이 좋아하고 색()은 인심이 좋아한다고 했다.

그런데 정약용은 도심은 항상 나약하므로 성실하기 어렵고 인심은 항상 치열하므로 거짓이 없다고 덧붙였다. 여색을 좋아하는 일이 인심의 본성임을 직시했다. 그렇다면 덕을 좋아하는 일은 인간 본성에 따른 것이 아니기에 저절로 덕을 좋아하게 될 수가 없다. 호덕(好德)은 인간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요청되는 도덕의지이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인용

목차 / 전문 / 편해 / 역주

생애 / 공자 / 유랑도 / 제자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