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장인이 도구를 날카롭게 다듬듯 인간관계를 다듬어라
子貢問爲仁. 子曰: “工欲善其事, 必先利其器. 居是邦也, 事其大夫之賢者, 友其士之仁者.”
賢以事言, 仁以德言. 夫子嘗謂子貢悅不若己者, 故以是告之. 欲其有所嚴憚切磋以成其德也.
○ 程子曰: “子貢問爲仁, 非問仁也, 故孔子告之以爲仁之資而已.”
해석
子貢問爲仁. 子曰: “工欲善其事, 必先利其器. 居是邦也, 事其大夫之賢者, 友其士之仁者.”
자공이 인을 실천하는 것에 대해 여쭈니, 공자께서 “장인이 일을 잘 하고자 하면 반드시 먼저 도구를 날카롭게 다듬는다. 이 나라에 살면서 대부 중 어진 사람을 섬기고 선비 중 인한 사람을 친구 삼는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賢以事言, 仁以德言.
현(賢)은 일로 말했고 인(仁)은 덕으로 말한 것이다.
夫子嘗謂子貢悅不若己者,
부자는 일찍이 ‘자공은 자기만 못한 이를 좋아한다’고 말했었다.
故以是告之.
그러므로 이 말로 고해준 것이다.
欲其有所嚴憚切磋以成其德也.
엄숙하고도 두려워하여 절차탁마(切磋琢磨)하는 것이 있어 덕을 이루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 程子曰: “子貢問爲仁, 非問仁也,
정이천(程伊川)이 말했다. “자공은 인을 실천하는 걸 물었지, 인에 대해 묻진 않았다.
故孔子告之以爲仁之資而已.”
그러므로 부자는 그에게 인을 실행하는 자질로 알려줬을 뿐이다.”
○ ‘논어’ ‘위령공(衛靈公)’에서 자공(子貢)이 인(仁)을 실천하는 방법에 대해 묻자 공자는 현명한 대부를 섬기고 어진 선비를 벗 삼아 절차(切磋)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대답했다. 문위인(問爲仁)은 인(仁)의 실천 방법을 물은 것이니, 인(仁)의 본질을 물은 것이 아니다. 단, 일본의 오규 소라이(狄生徂徠)는 인정(仁政)의 실시 방법을 물었다고 보았다. 정약용도 위인(爲仁)이란 백성을 편케 하고 백성에게 은택을 입힘이라고 보았다.
공(工)은 집이나 연장을 만드는 기술자인 공장(工匠)이다. 선기사(善其事)는 일을 훌륭히 해냄, 리기기(利其器)는 연장을 예리(銳利)하게 만듦을 뜻한다. 시방(是邦)은 지금 거처하는 나라를 가리킨다. 큰 나라를 방(邦), 작은 나라를 국(國)이라 하지만, 같은 뜻으로 보아도 좋다. 대부지현자(大夫之賢者)와 사지인자(士之仁者)에서 현(賢)은 사업을 두고 말하고 인(仁)은 덕(德)을 두고 말했다. 단, 두 구절을 호문(互文)으로 보아, 대부 가운데 현명하고 어진 이, 선비 가운데 현명하고 어진 이를 가리킨다고 풀이해도 좋다.
이 장(章)에서 공자가 가르친 말은 ‘안연(顔淵)’에서 증자(曾子)가 이우보인(以友輔仁)을 강조한 뜻과 통한다. 정약용의 풀이를 따르면, 인정(仁政)을 실시하려면 자기의 바탕을 먼저 튼튼히 하라고 말한 뜻이 된다. ‘중용’도 아랫자리의 사람이 정치를 행하려면 윗사람의 신임을 얻어야 하고 윗사람의 신임을 얻으려면 부모의 신임을 얻어야 한다고 말했다. 정말로 우리는 자신의 덕을 기르기 위해서든 이념을 실천하기 위해서든 현명하고 어진 이의 도움이 절실하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인용
'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위령공 - 11. 먼 근심과 가까운 근심 (0) | 2021.10.13 |
---|---|
논어 위령공 - 10. 안연이 나라 다스리는 방법을 묻다 (0) | 2021.10.13 |
논어 위령공 - 8. 살신성인(殺身成仁) (0) | 2021.10.13 |
논어 위령공 - 7. 사람을 잃는 경우와 헛소리로 치부되는 경우 (0) | 2021.10.13 |
논어 위령공 - 6. 올곧은 사어(史魚)와 권도를 행한 거백옥(蘧伯玉) (0) | 2021.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