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논어 위령공 - 36. 군자의 원칙주의 본문

고전/논어

논어 위령공 - 36. 군자의 원칙주의

건방진방랑자 2021. 10. 13. 22:19
728x90
반응형

36. 군자의 원칙주의

 

 

子曰: “君子貞而不.”

, 正而固也. , 則不擇是非而必於信.

 

 

 

 

 

 

해석

子曰: “君子貞而不.”

공자께서 군자는 정직하되 작은 신의에 얽매이지 않는다.”라고 말씀하셨다.

, 正而固也.

()은 바르고 견고한 것이다.

 

, 則不擇是非而必於信.

()은 시비를 선택하지 않고 신의에만 기필하는 것이다.

 

사람은 누구나 신의(信義)를 지켜야 한다고 말한다. 그렇거늘 공자는 논어’ ‘위령공(衛靈公)’의 이 장()에서 군자는 작은 신의에 얽매이지 않는 법이라고 했다. 어째서인가? 군자는 올바른 도리에 대해서는 굳게 지켜 흔들림이 없어야 하지만 시비곡직(是非曲直)을 따지지 않고 그저 처음 뜻을 관철하려고 고집해서는 안 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은 바르고도 굳다는 말로, 절조(節操)가 굳음을 가리킨다. ()은 작은 믿음, 융통성 없는 고집을 가리킨다. 다시 말해 량()은 아량이 좁고 판단을 잘못하여 일시적인 서러움이나 격렬한 감정 때문에 작은 의리를 지키는 것을 가리킨다. 미생포교(尾生抱橋) 미생지신(尾生之信)의 고사는 그 예다.

()은 정()과 달리 의()에 온전히 부합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량()의 자세를 지닌다면 선비로서 아랫길은 갈 수 있지 않을까? ‘자로(子路)’에서 공자는 선비를 세 등급으로 나누었는데, 첫째 부끄러움을 알아 자신을 단속하고 외국에 나가 사신의 중임(重任)을 수행하는 선비, 둘째 일가친척이 효성스럽다 일컫고 한 마을 사람들이 공손하다 일컫는 선비에 이어, 말에 신의 있고 행동에 과단성 있는 소인을 셋째 부류라고 인정했다. 언필신(言必信)하며 행필과(行必果)가 갱갱연소인재(硜硜然小人哉)나 억역가이위차의(抑亦可以爲次矣)니라고 했다. 말이 반드시 신의를 지키고 행동이 반드시 과단성을 지님은 돌이 서로 부딪치는 듯한 소리를 내는 소인이라 하겠는데, 그나마 선비의 맨 아래 부류일 수는 있다고 한 것이다.

군자(君子)는 흔히 황하(黃河)의 중류에 있는 지주석(砥柱石)처럼 시대의 혼탁한 흐름에도 휩쓸려 가지 않고 의연(毅然)한 인물을 가리킨다. 이에 비해 작은 신의(信義)를 지켜 융통성 없는 사람은 소인(小人)일 따름이지만 그렇더라도 여전히 인간적인 미덕을 지닌 사람이다. 신의(信義)마저 없다면 그런 사람을 우리는 무어라고 하랴.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인용

목차 / 전문 / 편해 / 역주

생애 / 공자 / 유랑도 / 제자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

출처: https://sakang.tistory.com/9 [🦘 40대 캥거루족: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