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정희량 - 우서(偶書) 본문

한시놀이터/조선

정희량 - 우서(偶書)

건방진방랑자 2021. 4. 6. 18:17
728x90
반응형

우연히 쓰다

우서(偶書)

 

정희량(鄭希亮)

 

 

年來索寞鴨江濱 回首塵沙欲問津

客裏又逢寒食雨 夢中猶憶故鄕春

一生愁病添衰鬢 萬里溪山着放臣

直以疏慵成落魄 非關時命滯詩人 虛庵先生遺集卷之一

 

 

 

 

해석

年來索寞鴨江濱
년래삭막압강빈
요즘[年來] 삭막한 압록강 가에서
回首塵沙欲問津
회수진사욕문진
모래먼지에 머리 돌려 나루터 물으려 하네.
客裏又逢寒食
객리우봉한식우
객지에서 또 한식의 비를 만났지만
夢中猶憶故鄕春
몽중유억고향춘
꿈속에선 아직도 고향의 봄 기억나네.
一生愁病添衰鬢
일생수병첨쇠빈
일생에 시름가ㅗ 병으로 쇠한 귀밑머리 더해가고
萬里溪山着放臣
만리계산착방신
만리의 시냇와 산은 추방된 신하를 붙이네.
直以疏慵成落魄
직이소용성락백
다만 서툴고 게으름으로 쇠락한 넋 이루었지만
非關時命滯詩人
비관시명체시인
당시의 운명이 시인을 막히도록 관여한 건 아니라네. 虛庵先生遺集卷之一

 

 

해설

이 시는 의주 유배지에서 쓴 시이다.

 

근래 압록강 가에서 삭막하게 유배 생활을 하면서 지내다가, 봄이 왔으나 황량한 벌판에 모래바람이 일고 있는 진사(塵沙)에서 머리를 돌려 고향으로 돌아가는 나루터를 묻는다. 멀리 객지에서 한식날 비를 만나니 고향의 봄이 꿈속에서 아련하다. 만 리 먼 곳으로 유배를 와 시름과 병으로 흰머리만 늘었다. 그런데 이렇게 영락한 삶을 살게 된 것은 바로 내 자신의 일에 등한함과 게으름 때문이니, 운명 때문에 이렇게 된 것은 아니다.

 

허균(許筠)성수시화(惺叟詩話)27에서 함련을 두고 중당의 고아한 운치가 있다[有中唐雅韻].”라 했고,

국조시산에서는 “3구와 4구가 가장 좋은데, 결구는 조금 떨치지 못했다[三四極佳 結稍不揚].”라고 평하고 있다

 

시서(詩序)에 의하면 정희량의 시는 귀양 도중에 지은 것이 뛰어나다.

허암의 귀양살이 중에 쓴 작품들은 통쾌하고 뛰어난 묘미가 예전에 얻은 것들과 견주어 보면 월등할 정도가 아니다. 이는 어찌 오랜 귀양살이와 나그네 시름으로 곤궁하고 울분이 찬 데에서 격발된 것이 아니겠는가[虛庵謫中之作 其痛快英暢之妙 視前所得 不啻相越 豈非遷謫羈愁之久 困窮拂鬱 有以激之耶]?”

원주용, 조선시대 한시 읽기, 이담, 2010, 168~169

 

 

인용

목차

한시사

문학통사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