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이언적 - 정유동 상낙증향우(丁酉冬 上洛贈鄕友) 본문

한시놀이터/조선

이언적 - 정유동 상낙증향우(丁酉冬 上洛贈鄕友)

건방진방랑자 2021. 4. 9. 17:06
728x90
반응형

정유년(1537) 겨울에 서울에 상경하며 고향 벗에게 주며

정유동 상낙증향우(丁酉冬 上洛贈鄕友)

11월에 김안로가 져서 죽었고 12월에 부르는 명을 계승해 궁궐로 달려갔다[十一月, 金安老敗死, 十二月, 承召命赴闕]김안로(1481~1537)는 중종 때의 유명한 권신(權臣)으로,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이숙(頤叔), 호는 희락당(希樂堂)ㆍ용천(龍泉)ㆍ퇴재(退齋)이다. 1506(중종1) 별시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청환직(淸宦職)을 역임하고, 1511년에는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다. 1519년 기묘사화로 조광조(趙光祖) 일파가 몰락한 뒤에 발탁되어 이조 판서에 올랐고, 아들이 중종의 부마(駙馬)가 된 것을 계기로 권력을 남용하다가 1524년 탄핵을 받아 경기도 풍덕(豐德)에 유배되었다. 1531년 유배에서 풀려나 서용된 후 이조 판서를 거쳐 1534년 우의정, 이듬해 좌의정에 올랐다. 다시 서용된 이후로 동궁(東宮)인 인종(仁宗)의 보호를 구실로 실권을 장악하여 정적(政敵)이나 뜻에 맞지 않는 사람들을 축출하는 옥사를 여러 차례 일으켰으며, 1537년 중종의 제2계비인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기도하였다가 발각되어 복주(伏誅)되었다. 이언적은 1531년 김안로의 서용을 반대하다가 퇴출되었으며, 7년간 조정에 나아가지 못하고 고향 경주에서 칩거하였다. 그러다가 김안로 일파가 실각하자 153711월 장악원 첨정 및 종부시 첨정에 제수되고, 다시 종5품인 홍문관 부교리와 정5품 교리가 되었으며, 이어 12월에 정4품 홍문관 응교에 제수되었다. 다만 연보에는 이 시의 원주(原註)와는 달리 11월에 이 시를 지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언적(李彦迪)

 

 

陰盡陽廻萬物春 強將衰朽入紅塵

莫言輔主無才調 一片丹心老更新

 

行路遲遲更小留 依依煙景舊林丘

寄言猿鶴休驚怨 投紱還山未白頭 晦齋先生集卷之三

 

 

 

 

해석

陰盡陽廻萬物春
음진양회만물춘
음지가 다하고 양지가 되돌아와 만물이 봄인데
強將衰朽入紅塵
강장쇠후입홍진
노쇠한 이 몸을 억지로 데리고 붉은 먼지 속으로 들어가네.
莫言輔主無才調
막언보주무재조
임금 보좌하는데 재주 없다고 말하지 마라.
一片丹心老更新
일편단심로갱신
한 조각 붉은 마음은 늙어갈수록 더욱 새로운 걸.

 

行路遲遲更小留
행로지지갱소류
가는 길 더디고 더뎌 조금 머무니
依依煙景舊林丘
의의연경구림구
끊어질 듯 이어지는 밥불 연기 낀 경치는 고향의 숲과 언덕이라네.
寄言猿鶴休驚怨
기언원학휴경원
말을 붙이니 원숭이와 학은 놀라거나 원망치 마라산속의 원숭이와 학에게 자신이 떠난다고 원망하거나 놀라지 말라고 당부하는 말로, 머지않아 다시 고향으로 돌아오겠다는 뜻을 피력한 것이다. 남북조(南北朝) 때의 인물인 공치규(孔稚珪)북산이문(北山移文)혜초 장막 비었으니 밤에 학은 원망하고, 산인 떠나 새벽에 원숭이가 놀란다[蕙帳空兮夜鶴怨, 山人去兮曉猿驚]”라는 구절이 나온다..
投紱還山未白頭
투불환산미백두
흰 머리 되지 않았을 때 관복 던지고 산으로 돌아오리니. 晦齋先生集卷之三

 

 

해설

이 시는 1537년 겨울 김안로(金安老) 일파가 제거되고 다시 등용되어 서울로 올라가면서 친구에게 준 시이며, 제주(題注)十一月 金安老敗死 十二月 承召命赴闕이라 되어 있다.

 

()의 기운이 다하고 양()의 기운이 돌아와 만물이 봄인데(김안로 일파가 제거됨을 의미하기도 함), 늙고 쇠한 몸을 이끌고 임금의 부름을 받아 서울로 올라가는 중이다. 늙어서 임금을 보좌하는데, 재주 없다고 말하지 말라. 늙어 가면서 임금을 향한 충성심은 더욱 새로워지고 있다

원주용, 조선시대 한시 읽기, 이담, 2010, 272

 

 

인용

목차

한시사

문학통사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