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논어 자장 - 11. 자잘한 것에 얽매지 말라 본문

고전/논어

논어 자장 - 11. 자잘한 것에 얽매지 말라

건방진방랑자 2021. 10. 14. 18:08
728x90
반응형

11. 자잘한 것에 얽매지 말라

 

 

子夏: “大德不踰閑, 小德出入可也.”

大德小德, 猶言大節小節. , 闌也, 所以止物之出入. 言人能先立乎其大者, 則小節雖或未盡合理, 亦無害也.

氏曰: “此章之言, 不能無弊. 學者詳之.”

邢昺, 論語註疏: “此章論人之德有小大, 而行亦不同也. 閑猶法也. 大德之人謂上賢也, 所行皆不越法則也. 小有德者謂次賢之人, 不能不踰法, 有時踰法而出. 旋能入守其法, 不責其備, 故曰可也.”

丁若鏞, 論語古今注: “大德小德之謂大節小節, 古無可據. 孟子: ‘大德役小德,中庸: ‘大德敦化, 小德川流,’ 皆以德之大小, 分爲等級, 豈大節小節之謂乎? 君子之積累工夫, 全在小節, 一視一聽, 一言一動, 皆有禮防. 苟以大體無惡, 許其惟意出入, 則豈有成德之日乎? 曲禮三千, 惟意出入, 經禮三百, 無所立矣.”

 

 

 

 

 

 

해석

子夏: “大德不踰閑, 小德出入可也.”

자하가 큰 덕이 한계를 넘지 않는다면 작은 덕은 들락날락해도 괜찮다.”라고 말했다.

大德小德, 猶言大節小節.

대덕과 소덕을 큰 일과 작은 일과 같다.

 

, 闌也, 所以止物之出入.

()은 울타리란 말이니 물건의 출입을 그치게 하는 것이다.

 

言人能先立乎其大者,

사람이 먼저 큰 것을 수립할 수 있다면

 

則小節雖或未盡合理, 亦無害也.

작은 일이 비록 이치에 합당하지 않더라도 또한 해롭지 않다는 말이다.

 

氏曰: “此章之言, 不能無弊.

오역(吳棫)이 말했다. “이 장의 말은 폐단이 없지 않으니,

 

學者詳之.”

배우는 사람이라면 자세히 보아야 한다.”

 

邢昺, 論語註疏:

형병이 논어주소에서 말했다.

 

此章論人之德有小大,

이 장은 사람의 덕에 작은 것과 큰 것이 있음을 논했지만

 

而行亦不同也.

행동하는 것은 또한 같지 않다.

 

閑猶法也. 大德之人謂上賢也,

()이란 법이다. 대덕(大德)한 사람은 최상의 어진 사람으로

 

所行皆不越法則也.

행동하는 것이 다 법칙을 넘지 않는다.

 

小有德者謂次賢之人,

소덕(小德)의 사람은 다음으로 어진 사람이니

 

不能不踰法, 有時踰法而出.

법을 넘지 않을 수 없어 때때로 법을 넘어 나간다.

 

旋能入守其法,

그러다 선회하여 들어올 수 있고 그 법을 지켜,

 

不責其備, 故曰可也.”

그 완비됨을 비판하지 않기 때문에 괜찮다고 한 것이다.”

 

丁若鏞, 論語古今注:

정약용의 논어고금주에서 말했다.

 

大德小德之謂大節小節, 古無可據.

대덕(大德)과 소덕(小德)을 대절(大節)과 소절(小節)이라 하나, 고전의 근거가 없다.

 

孟子: ‘大德役小德,

맹자』 「이루7에선 대덕(大德)은 소덕(小德)을 부린다.’라고 했고,

 

中庸: ‘大德敦化, 小德川流,’

중용30장에선 대덕(大德)은 두텁게 변화시키며 소덕(小德)은 자연히 흐른다.’라고 했으니,

 

皆以德之大小, 分爲等級,

다 덕()의 대소로 나누어 등급을 삼은 것으로,

 

豈大節小節之謂乎?

어찌 대절(大節)과 소절(小節)을 말한 것이겠는가?

 

君子之積累工夫, 全在小節,

군자가 공부를 쌓아 누적함은 온전히 소절(小節)에 달려 있으니,

 

一視一聽, 一言一動, 皆有禮防.

한 번 보고 듣고 말하고 행동함이 다 예법(禮法)으로 그릇된 행동을 막는 것이다.

 

苟以大體無惡, 許其惟意出入,

진실로 대체(大體)엔 악이 없으니, 오직 임의대로 출입을 허락하면

 

則豈有成德之日乎?

어찌 덕을 이루는 날이 있겠는가?

 

曲禮三千, 惟意出入,

자잘한 예의 삼천 가지가 오직 임의대로 출입한다면

 

經禮三百, 無所立矣.”

항상스러운 예의 삼백 가지가 설 곳이 없다.”

 

논어’ ‘자장(子張)’의 제11장에서 자하(子夏)는 대덕(大德)과 소덕(小德)을 구별하여 사람이 먼저 큰 것을 확립하면 작은 일이 간혹 이치에 맞지 않더라도 무방하다고 말했다. 대덕(大德)은 삼강오상(三綱五常)의 인륜을 말하니 대절(大節)이라고도 한다. 소덕(小德)은 일상에서의 응대(應待)와 진퇴(進退) 등 작은 예절이니 소절(小節)이라고도 한다. ()는 넘어섬이고, ()은 출입을 막는 란()이나 함()과 같다.

유학은 대절(大節)이든 소절(小節)이든 모두 예법과 준칙에 맞아야 한다고 여기므로 자하(子夏)의 말은 유학의 가르침과 부합하지 않는 면이 있다. 그래서 옛사람은 말에 폐단이 없지 못하다고 했다. 자기 자신의 규율(規律)을 위주로 해서 말한다면 자하의 말은 소루(疎漏)할지 모른다. 하지만 사람을 관찰하고 사람을 쓸 때 큰 장점만 취하고 작은 결점은 무시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보면, 자하의 말도 옳을 듯하다. ‘위령공(衛靈公)’편에서 공자는 궁자후이박책어인(躬自厚而薄責於人)’하라고 가르쳤다. 자책은 후하게 해도 남에 대한 책망은 적게 해야 할 것이다.

게다가 공자는 위령공(衛靈公)’에서 군자(君子)는 불가소지이가대수(不可小知而可大受)요 소인(小人)은 불가대수이가소지야(不可大受而可小知也)니라라고 했다. 군자는 작은 일을 맡게 할 수는 없어도 중대한 일은 받게 할 수 있고 소인은 중대한 일은 받게 할 수 없어도 자잘한 일은 맡게 할 수 있다. 군자는 중대한 일을 전담해야 하기에 작은 일에는 맞지 않을 수 있다.

박세당(朴世堂)이 말했듯이 대덕(大德)과 소덕(小德)을 모두 갖추기 어렵다면 세세한 것을 살피느라 큰 것에서 잘못을 저지르느니, 차라리 큰 덕목을 세우고 작은 것은 버려도 무방하지 않겠는가. 완인(完人)을 자처(自處)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고 보면, 자하의 말은 소루하다기보다 매우 친절하다고 생각된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인용

목차 / 전문 / 편해 / 역주

생애 / 공자 / 유랑도 / 제자들

068 / 15A14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

출처: https://sakang.tistory.com/9 [🦘 40대 캥거루족: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