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최립 - 삼일포(三日浦)② 본문

한시놀이터/조선

최립 - 삼일포(三日浦)②

건방진방랑자 2019. 11. 16. 09:04
728x90
반응형

강원도 간성군의 삼일포에서

삼일포(三日浦)

 

최립(崔岦)

 

 

浦南厓, 有丹書述郞徒南石行六字, 鄭西川認南石爲四仙之一, 恐謬.

 

三入岳陽人不識 世暄巖客坐詩成

四仙豈覺留丹字 應恨當時南石行 簡易文集卷之八

 

 

 

 

해석

浦南厓, 有丹書述郞徒南石行六字,

포구의 남쪽 벼랑에 述郞徒南石行’ 6글자가 붉게 쓰여 있는데

 

鄭西川認南石爲四仙之一, 恐謬.

서천 정곤수(鄭崑壽)는 남석(南石)이 네 명의 신선 중 한 명이라 인식했는데 아마도 잘못된 것이리라.

 

 

三入岳陽人不識
삼입악양인불식
악양에 세 번 들어간 건 사람들이 모르지만
世暄巖客坐詩成
세훤암객좌시성
바위의 나그네가 앉아 시를 쓴 것만이 세상 시끄럽네악양은 진주목(晉州牧)에 속한 하나의 현()으로, 관곡(官穀)을 출납하는 창()이 설치되어 있었는데, 간이가 진주 목사로 부임한 이래 이곳을 왕래하며 국가를 위해 공헌한 일은 알려지지도 않은 채, 그저 사선(四仙)이 삼 일 동안 삼일포에 머물면서 노닐었던 고사만 회자(膾炙)되고 있다는 뜻의 해학적인 표현이다. 사람들이 중국의 악양루(岳陽樓)가 유명하다는 것만 알 뿐, 진주에 악양현이 있다는 것은 모를 것이라는 뜻을 담은 이 표현 역시 간이의 골계적(滑稽的)인 수법이 생생하다고 할 것이다..
四仙豈覺留丹字
사선기각류단자
네 명의 신선이 어찌 붉은 글자 남길 걸 의식했으리오?
應恨當時南石行
응한당시남석
응당 당시에 남석으로 가는 걸 한스러워했겠지. 簡易文集卷之八

 

 

해설

이 시는 위의 시에 이어서 쓴 시이다.

 

사람들이 중국의 악양루(岳陽樓)가 유명하다는 것만 알 뿐, 진주에 악양현이 있다는 것은 모를 것이라는 뜻을 담은 이 표현은 간이의 골계적(滑稽的)인 수법이 담겨 있는 것이다.

 

이 외에도 홍만종(洪萬宗)소화시평(小華詩評)권상 83에서, “우리나라 시는 위로 고려시대부터 아래로 근대시에 이르기까지 볼만한 경련이 적지 않다. …… 동고 최립의 명나라에 가며종남산과 위수는 옛날 본 듯한 모습이요, 무적과 개원의 시대(무적은 당 고조의 연호이고, 개원은 현종의 연호로, 태평시대를 일컬음)를 다시 만났구나.’라 하였는데, 고아하고 전중하여 마치 은나라 이와 주나라 정이 동쪽에 차례대로 의젓하게 나열되어 있는 것과 같다[我東之詩, 上自麗朝, 下至近代, 警聯之可觀者, 不爲不多. …… 崔東皐朝天: ‘終南渭水如相見, 武德開元得再攀.’ 高雅典重, 如啇彛周鼎, 儼列東序].”라 하였으며,

 

홍만종(洪萬宗)소화시평(小華詩評)에선 허균(許筠)의 말을 인용해 간이의 시작은 본래 스승으로부터 배우지 않고 스스로의 풍격을 창조하였으니, 뜻은 깊고 시어는 옹골차다. 성률을 갈고닦으며, 풀과 꽃을 주워 엮은 자들이 따라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나는 간이의 시가 문장보다 낫다고 생각한다[許筠以爲簡易詩, “本無師承, 自創爲格, 意淵語傑, 非切磨聲律. 採掇花卉者, 所可企及. 吾以簡易詩爲勝於文].”라 하였다.

원주용, 조선시대 한시 읽기, 이담, 2010, 68~69

 

 

인용

작가 이력 및 작품

전문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