Ⅳ. 기타
한문과 선택 과목 신・구 교육과정의 비교
고등학교 한문과 선택 과목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 개정 사항의 요약 그리고 제7차와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을 비교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개정의 중점
◦학습자의 한문 능력 향상을 중시
◦학습자의 의미 있는 학습 경험을 중시
◦기초・기본 교육의 내실화
◦교육 내용의 사회적, 개인적, 학문적 적합성을 추구
2. 개정 사항 요약
◦한문 과목 성격 규정의 명료화
◦한문 과목 목표 체계의 일원화
◦교육 내용의 정선 및 내적 구조화 지향
◦교육 내용의 범위와 수준의 구체화
◦교육 내용 제시 방식의 개선(내용+행동)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의 구체화
3. 신・구 교육과정 비교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한문과 선택 과목의 중요한 차이점을 교육과정 체제,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의 순서로 요약하면 <표 4>와 같다.
구 분 | 제7차 교육과정 | 2007년 개정 교육과정 | 비 고 |
체 제 |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5영역으로 구성 | ◦현행 문서 체제 유지 | ◦‘방법’을 ‘교수・학습 방법’으로 명칭 변경 |
성 격 | ◦성격을 일반적 성격과 과목별 성격으로 나누어 제시 | ◦현행 서술 체제를 유지하되, 일부 내용을 수정 보완 | ◦한문 과목의 특성을 명료화 |
◦과목별 성격을 일반적 성격과 특수적 성격을 함께 고려하여 제시하되, 일반적 성격 중 ‘한자 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 부분을 누락 | ◦과목별 성격을 일반적 성격과 특수적 성격을 함께 고려하여 제시 | ||
목 표 | ◦목표를 전문과 하위 목표로 나누어 제시 | ◦현행 서술 체제를 유지하되, 일부 내용을 수정 보완 | ◦‘목표’를 ‘성격’, ‘내용’과 조응시켜 체계화 |
◦영역별 목표를 ‘한자’, ‘한자어’, ‘한문’으로 나누어 제시 | ◦영역별 목표를 ‘한문’, ‘한문 지식’으로 나누어 제시 | ||
| ◦‘한문’ 영역의 목표에 ‘한자 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 항목을 추가 제시 | ||
내 용 | ◦영역을 ‘한자’, ‘한자어’, ‘한문’의 3개 영역으로 제시 | ◦영역을 ‘한문’, ‘한문 지식’의 2개 영역으로 제시 | ◦한문 과목의 교과 특성을 반영한 영역 구분의 체계화, 위계화, 계열화 |
◦‘한자’ 영역의 중영역 내용을 ‘한자 익히기’, ‘한자 활용하기’로 제시 | | ||
◦‘한자어’ 영역의 중영역 내용을 ‘한자어 익히기’, ‘한자어 활용하기’로 제시 | ◦‘한문 지식’ 영역의 중영역 내용을 ‘한자’, ‘어휘’, ‘문장’으로 제시 | ||
◦‘한문’ 영역의 중영역 내용을 ‘한문 익히기’, ‘한시 익히기’, ‘한문 활용하기’, ‘가치관 형성과 전통문화 계승・발전시키기’로 제시 | ◦‘한문’ 영역의 중영역 내용을 ‘읽기’, ‘이해’, ‘문화’로 제시 | ||
◦내용 요소를 21개 항목으로 나누어 제시 | ◦내용 요소를 한문Ⅰ은 17개, 한문 Ⅱ는 16개로 나누어 제시 | ||
교수・학습 방법 | ◦‘교수・학습 계획’, ‘교수・학습 방법’, ‘교수・학습 자료’로 나누어 제시 | ◦현행 서술 체제를 유지하되, 일부 내용을 수정 보완 |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한 사항을 구체화하여 제시 |
평 가 | ◦‘평가 계획’, ‘평가 방법’, ‘평가 결과의 활용’으로 나누어 제시 | ◦‘평가 계획’, ‘평가 목표와 내용’, ‘평가 방법’, ‘평가 결과의 활용’으로 나누어 제시 | ◦평가 실천을 위한 지침을 구체화하여 제시 |
참고 문헌
문교부(1986).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1946~1981) 국어과·한문과.
문교부(1988). 중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
문교부(1989). 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1994).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 한문·컴퓨터·환경-.
교육부(1995). 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 -한문Ⅰ, 한문Ⅱ-.
교육부(1998). 중학교 재량 활동의 선택 과목 교육과정 -한문, 컴퓨터, 환경, 생활 외국어-.
교육부(1998). 한문, 교련, 교양 선택 과목 교육과정,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교육부(1999).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Ⅴ) -외국어(영어), 재량 활동, 한문, 컴퓨터, 환경, 생활 외국어-.
교육부(1999).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2종 교과용 도서 집필상의 유의점(고등학교).
교육부(1999).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2종 교과용 도서 집필상의 유의점(중학교).
교육부(1999). 초・중・고등학교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기준-총론(1954-1997).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교육부(2000). 2001학년도부터 적용되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이렇게 조정하였습니다 - 21세기 한자․한문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 -.
교육부(2001).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한문-.
문영진, 장호성, 김왕규, 박영호, 송병렬, 안재철, 윤재민, 이군선(2006). 중·고등학교 한문 선택 과목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인적자원부(2007). 중학교 재량 활동의 선택 과목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교육인적자원부(2007). 한문, 교양 선택 과목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교육과학기술부(2008).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Ⅴ) -외국어(영어), 재량 활동, 한문, 정보, 환경, 생활외국어-.
管敏義 지음. 서울대 동양사학연구실 옮김(1994). 고급한문해석법. 창작과비평사.
김현철·김시연(2006). 중국어학의 이해. 學古房.
盧命完․朴泳穆․權敬顔(2002). 國語科敎育論. 甲乙出版社.
동방한문학회 편(2007). 한국한문학의 이론 - 산문. 보고사.
박정도(1999). 한문과 교수 학습 방법론. 박이정.
白光鎬(2008). 타이머와 죽비. 한국학술정보.
宋秉烈(2006). 새로운 한문교육의 지평(개정증보판). 서울: 문자향.
심경호(2003). 한학연구입문. 이회.
심경호(2007). 한학입문. 황소자리.
阿辻哲次 지음. 김언종·박재양 옮김(2001). 漢字의 역사. 학민사.
廖振佑 편저. 이종한 옮김(2001). 한문문법의 분석적 이해. 계명대학교 출판부.
이기문·김진희(2001). 교육학 주제별 용어사전. 지구문화사.
이영주(2000). 漢字字義論. 서울대학교출판부.
주송식(1989). 고대한어통론. 學古房.
陳必祥 지음. 沈慶昊 옮김(1995). 한문문체론. 이회문화사.
최영애(1995). 漢字學 講義. 통나무.
한국교육개발원(2005). 2005 교육통계연보.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개정 시안 개발을 위한 방향 탐색.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編(2000). 新漢文科敎育論. 傳統文化硏究會.
郭錫良․唐作藩․何九盈․蔣紹愚․田瑞娟 編著(1999). 古代漢語(修訂本)上․下. 商務印書館.
楊伯峻(1982). 文言文法. 中華書局香港分局.
楊伯峻․何樂士(1992). 古漢語語法及其發展. 語文出版社.
楊樹達(1971). 高等國文法. 台北 泰順書局.
黎錦熙(1992). 新著國語文法. 商務印書館.
呂叔湘(1975). 中國文法要略. 文史哲出版社.
易孟醇(1989). 先秦語法. 湖南敎育出版社.
王力 主編(1981). 古代漢語(修訂本) 제1-4책. 中華書局.
劉景農(1958). 漢語文言語法. 北京 萬葉出版社.
張雙棣․張聯榮․宋紹年․耿振生(2002) 編著. 古代漢語知識敎程. 北京大學出版社.
周法高(1972). 中國古代語法(造句編上, 稱代編, 構詞編). 臺聯國風出版社.
許世瑛(1982). 中國文法講話(修訂本). 臺灣 開明書店.
洪成玉 主編(1990). 古代漢語敎程. 中華書局.
黃六平(1978). 漢語文言語法綱要. 中華書局香港分局.
牛島德次(1967). 漢語文法論(古代編), 東京 大修館書店.
牛島德次(1971). 漢語文法論(中古編), 東京 大修館書店.
田部井文雄(2005). 漢文敎育の 諸相. 東京 大修館書店.
강민구(2007). 잠명문(箴銘文)의 특징과 전개 양상. 한국한문학의 이론 - 산문. 동방한문학회 편. 보고사.
권문봉(1992). 제6차 교육과정 개정시안의 문제점. 漢文敎育硏究 제6호. 한국한문교육연구회.
金相洪・鄭愚相・李東歡・申用浩・沈慶昊(2000). 漢文敎育用 基礎漢字 1,800자 調整에 관한 硏究. 漢文敎育硏究 제14호. 한국한문교육학회.
金相洪(1995). 제6차 敎育課程이 再改正되어야 하는 理由. 漢文敎育硏究 제9호. 한국한문교육학회.
金相洪(2000). 漢文敎育用 基礎漢字 1,800자 調整의 基本方向. 漢文敎育硏究 제15호. 한국한문교육학회.
金相洪(2001). 2001學年度부터 適用되는 調整된 漢文敎育用 基礎漢字의 考察. 漢文敎育硏究 제16호. 한국한문교육학회.
金相洪(2003).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高等學校 漢文 敎科書의 문제점 - 漢詩 單元을 중심으로. 漢文敎育硏究 제20호. 한국한문교육학회.
金相洪(2003). 韓國의 漢文敎育用 基礎漢字 變遷 攷. 漢文敎育硏究 제21호. 한국한문교육학회.
金聲振(1995). 제6차 敎育課程의 問題點과 改善方向. 漢文敎育硏究 제9호. 한국한문교육학회.
김영주(2007). 서발문(序跋文)의 특징과 전개 양상. 한국한문학의 이론 - 산문. 동방한문학회 편. 보고사.
金王奎(2004). 한문교육과정 개정・변천의 양상과 한문과의 위상 - 편제와 시간(단위) 배당 기준을 중심으로. 漢文敎育硏究 제22호. 한국한문교육학회.
金王奎(2005). 언어 교과의 ‘내용체계(內容體系)’의 몇 가지 쟁점. 한문교육연구 제24호. 한국한문교육학회.
金王奎(2005). 언어 교과의 ‘內容體系’의 몇 가지 쟁점. 漢文敎育硏究 제24호. 한국한문교육학회.
金王奎(2007).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그 위상(位相). 청람어문교육 36. 한국청람어문교육학회.
김윤조(2007). 서독문(書牘文)의 특징과 조선 후기의 양상. 한국한문학의 이론 - 산문. 동방한문학회 편. 보고사.
김종철(2007). 한문문체 연구의 회고와 전망. 한국한문학의 이론 - 산문. 동방한문학회 편. 보고사.
김철범(2007). 잡기문(雜記文)의 특성과 양상. 한국한문학의 이론 - 산문. 동방한문학회 편. 보고사.
김풍기(2007). 조선 중기 고문의 소품문적 성향과 허균의 척독(尺牘). 한국한문학의 이론 - 산문. 동방한문학회 편. 보고사.
김혈조(1992). 제6차 교육과정 개정시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漢文敎育硏究 제6호. 한국한문교육연구회.
김혈조(2001). 7차 교육과정의 제 문제 - 7차 교육과정에서 한문과의 위상 -. 漢文敎育硏究 제17호. 한국한문교육학회.
김혈조(2003). 漢文敎育의 向後 課題. 漢文敎育硏究 제21호. 한국한문교육학회.
朴英鎬(1999). 제7차 중・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의 의의와 과제. 漢文敎育硏究 제13호. 한국한문교육학회.
朴英鎬(2000). 敎育用 漢字數의 檢討. 漢文敎育硏究 제15호. 한국한문교육학회.
朴英鎬(2000). 韓國에서의 漢文敎育의 現況과 課題 - 漢文科 敎育課程의 變遷過程과 運營課題를 中心으로 -. 漢文敎育硏究 제14호. 한국한문교육학회.
朴英鎬(2007). 농암 김창협의 문장론과 문체론 연구. 한국한문학의 이론 - 산문. 동방한문학회 편. 보고사.
白光鎬(2007). 漢文科 敎育課程의 ‘읽기’ 領域에 관한 高等學校 敎室 授業 分析. 한자한문교육 제19호.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白光鎬(2007). 漢文科 授業의 讀解 樣相에 관한 觀察 硏究.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宋秉烈(2000). 漢文科 敎科敎育에 있어서 敎科書 問題. 漢文敎育硏究 제14호. 한국한문교육학회.
宋秉烈(2003). 韓國의 漢文科 敎育課程 問題와 解決의 方向. 漢文敎育硏究 제21호. 한국한문교육학회.
宋秉烈(2003). 漢文 敎育의 位階性과 連繫性 문제 - 中學校 漢文 敎科書의 位階性과 連繫性. 漢文學報 제9집. 우리한문학회.
宋秉烈(2005). 새로운 漢文科 敎育課程을 위한 漢文科 敎育課程의 爭點 考察. 한문교육연구 제25호. 한국한문교육학회.
宋秉烈(2005). 漢文科 敎育課程의 內容 領域 設定 및 內容 組織의 原理 摸索. 漢文敎育硏究 제24호. 한국한문교육학회.
宋秉烈(2006). 漢文과 漢字語의 造語 原理와 그 問題. 한문교육연구 제27호. 한국한문교육학회.
宋秉烈(2006). 현토 교육의 유용성과 토의 문법적 성격. 새로운 한문교육의 지평(개정증보판). 서울: 문자향.
宋秉烈(2007). 漢文科 敎授-學習의 協同學習 模型 適用. 東方漢文學 32집. 東方漢文學會.
송혁기(2007). 논설문(論說文)의 특성과 작품 양상. 한국한문학의 이론 - 산문. 동방한문학회 편. 보고사.
신상필(2007). 전(傳)의 특성과 전개 양상. 한국한문학의 이론 - 산문. 동방한문학회 편. 보고사.
신용호(1992). 중등학교 ‘한문’의 변천 과정과 문제점. 漢文敎育硏究 제6호. 한국한문교육연구회.
심경호(2007). 한문산문 연구에 관한 몇 가지 제안. 한국한문학의 이론 - 산문. 동방한문학회 편. 보고사.
양광석(1992). 제6차 한문과 교육과정 개정안에 대한 의견. 漢文敎育硏究 제6호. 한국한문교육연구회.
元容錫(2004). 漢文科 敎育課程 內容體系 考察. 漢文敎育硏究 제22호. 한국한문교육학회.
元容錫(2007). 改定 第7次 漢文科 敎育課程의 ‘內容 體系’ 考察. 漢字漢文敎育 제19호.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元容錫(2007). 한문과 교육과정 변천과 내용 체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원주용(2007). 조령문(詔令文)의 특징과 발전. 한국한문학의 이론 - 산문. 동방한문학회 편. 보고사.
尹在敏(2007). 2007년 개정 漢文科 敎育課程의 구체적 내용 분석. 漢文敎育硏究 제29호. 한국한문교육학회.
윤채근(2007). 누정기(樓亭記)를 통해 본 조선 전기 산문의 양상. 한국한문학의 이론 - 산문. 동방한문학회 편. 보고사.
이관규(2002), 학교 문법론(개정판). 도서출판 월인.
이군선(2007). 증서문(贈序文)의 특징과 발전 양상. 한국한문학의 이론 - 산문. 동방한문학회 편. 보고사.
李明學(2004). 漢文 敎育의 向後 課題. 漢文敎育硏究 제22호. 한국한문교육학회.
李明學(2005). 漢文科 敎育課程의 反省과 展望. 漢文敎育硏究 제24호. 한국한문교육학회.
李炳赫(2000). 第6節 漢文科 敎授․學習과 懸吐 指導. 新漢文科敎育論.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編. 傳統文化硏究會.
이상하(2006). 한문학습 및 번역에 있어서 현토의 문제. 민족문화 29. 민족문화추진회.
이은영(2007). 애제문(哀祭文)의 특징과 변천 양상. 한국한문학의 이론 - 산문. 동방한문학회 편. 보고사.
이인제・김용걸 외(1997). 제7차 중・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林鍾大(1995). 漢文科 敎育課程의 變遷過程 小考. 漢文敎育硏究 제9호. 한국한문교육학회.
林熒澤(2004). 한국 20세기의 한문교육과 그 당면과제 - 표기법 문제와 관련하여. 漢文敎育硏究 제23호. 한국한문교육학회.
張豪晟(2004).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中學校 漢文 敎科書의 問題. 漢文學報 제10집. 우리한문학회.
張豪晟(2004). 漢文科 敎材의 問題 - 제7차 교육과정 高等學校 漢文 敎科書를 중심으로」. 漢文敎育硏究 제22호. 한국한문교육학회.
張豪晟(2005). 漢文敎育用 基礎漢字의 문제- 漢文 敎育課程 改定 試案의 연구 개발에 즈음하여. 東方漢文學 제29집. 동방한문학회.
張豪晟(2006). 漢文 學校文法 制定 方案의 摸索 - 爭點 事項을 中心으로 -. 漢字漢文敎育 제16집.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鄭愚相(1994). 漢文科 敎育政策과 漢文敎育用 基礎漢字의 選定. 漢字漢文敎育 창간호.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鄭載喆(1997). ‘신 교육과정 총론(안)’과 한문교육. 漢文敎育硏究 제11호. 한국한문교육학회.
鄭載喆(1998). 제7차 한문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 漢文敎育硏究 제12호. 한국한문교육학회.
鄭載喆(1999). 제6・7차 한문과 교육과정의 비교 연구. 漢文敎育硏究 제13호. 한국한문교육학회.
鄭載喆(2002). 제7차 한문과 교육과정 실천상의 쟁점과 해결 방안. 漢文敎育硏究 제18호. 한국한문교육학회.
조창록(2007). 기사문(紀事文)의 특징과 전개. 한국한문학의 이론 - 산문. 동방한문학회 편. 보고사.
陳在敎(2000).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학교급별 구분’에 대하여. 漢文敎育硏究 제15호. 한국한문교육학회.
陳在敎(2004). 제7차 교육과정 한문과의 성격. 목표에 대한 단상. 漢文敎育硏究 제22호. 한국한문교육학회.
최식(2007). 주의문(奏議文)의 특징과 전개 양상. 한국한문학의 이론 - 산문. 동방한문학회 편. 보고사.
한예원(2004). 제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교과서 집필지침의 특징과 문제점. 漢文敎育硏究 제22호. 한국한문교육학회.
허천행(1994). 제6차 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의 개정과 교수・학습의 방향. 漢文敎育硏究 제9호. 한국한문교육학회.
홍성욱(2007). 고려 후기 논변류 산문 연구. 한국한문학의 이론 - 산문. 동방한문학회 편. 보고사.
황의열(2007). 박연암(朴燕巖)의 비지류문(碑誌類文)에 대하여. 한국한문학의 이론 - 산문. 동방한문학회 편. 보고사.
황의열(2007). 비지문(碑誌文)의 특징과 변천 양상. 한국한문학의 이론 - 산문. 동방한문학회 편. 보고사.
한문과 선택 과목 교육과정의 변천
한문 과목이 국어 교육의 일부로 존속되다가 독립된 것은 1972년도이다. 1972년 교육법 시행령이 개정되면서부터 한문 교육이 중・고등학교 교육에서 교과 교육으로 처음 실시된 것이다. 따라서 이때부터 본격적인 학교 교육에서의 한문 교육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제1~7차의 한문과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은 한문 교육이 변화해 온 과정이며, 이는 앞으로의 한문 교육의 방향을 정할 수 있는 지표가 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한문과 교육과정의 체제, 목표, 내용 체계 및 내용, 방법, 평가 등의 변화를 살펴보면 한문 교육의 체계화 과정이 어떠했는가를 알 수 있고, 미래의 한문 교육을 구상할 수 있다. 제1~7차의 한문과 교육과정의 체제, 목표, 내용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 체 제
제1~5차 한문과 교육과정의 체제는 용어상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목표’, ‘내용’, ‘지도상의 유의점’이라는 기본 틀로 되어 있다. 그러다가 제6차 교육과정에 와서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체제를 갖추면서 보다 완전한 문서로서의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2. 목 표
제1차 교육과정에서는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교과 목표에 따른 ‘한자 및 한문 학습의 의의’를 5개항으로 제시하였다. 제2~5차 한문과 교육과정에 제시한 목표는 학교급별 목표와 학년별 목표의 체계를 갖추고 있었다. 이후 제6차 교육과정에 이르러 학교급별 목표만 제시하는 체제로 바뀌었다. 제2차 교육과정에서는 제1차와 유사하나 학년 목표를 한 문장으로 제시하였다. 제3차 교육과정에서는 교과 목표에 따르는 ‘일반 목표’를 3개항으로 제시하였고, 학년 목표는 학년별로 3개항씩 제시하였다. 제4차 교육과정에서는 전문(前文)과 한자, 한문 문장, 한문 기록을 통한 전통문화의 이해, 계승, 발전에 관한 5개항을 제시하였다. 제5차 교육과정에서는 전문과 한자, 한자어, 독해력 신장, 한문 기록을 통한 전통문화의 이해, 계승, 발전에 관한 5개항을 제시하였다. 제6차 교육과정에서는 제5차 교육과정의 ‘목표’ 5개항을 4개항으로 조정하여 제시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제6차 교육과정의 ‘목표’ 4개항을 다시 5개항으로 조정하여 제시하였다.
3. 내용 및 내용 체계
제1~7차 한문과 교육과정의 내용(내용 체계와 학년별 내용, 영역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차
‘교재 내용’과 ‘지도 요령’을 학년별로 제시하였다.
◦제2차
‘지도 내용’을 학년별로 제시하였다(1학년 7개항, 2학년 6개항, 3학년 6개항).
◦제3차
‘내용’ 항에서 학년별 ① 지도 사항과 ② 주요 형식으로 ‘지도 사항 및 형식’을 두고, 이어서 ‘제재 선정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제4차
‘내용’을 학년별로 제시하였다(1학년 7개항, 2학년 9개항, 3학년 9개항).
◦제5차
‘내용’을 학년별로 제시하고 가) 한자, 나) 한자어, 다) 한문으로 구별하였다(1학년: 한자 6개항, 한자어 5개항, 한문 6개항, 2학년: 한자 4개항, 한자어 5개항, 한문 9개항, 3학년: 한자 3개항, 한자어 5개항, 한문 11개항).
◦제6차
‘내용’을 ‘내용 체계’와 ‘학년별 내용’으로 구분하였다.
‘내용 체계’는 ‘영역’과 ‘학년별 내용요소’(1학년 : 한자 5개항, 한자어 4개항, 한문 4개항, 2학년 : 한자 5개항, 한자어 4개항, 한문 6개항, 3학년 : 한자 4개항, 한자어 4개항, 한문 7개항)로 제시하고,
‘학년별 내용’은 학년별 내용요소를 보다 구체화하여 제시하였다(1학년: 한자 5개항, 한자어 4개항, 한문 5개항, 2학년: 한자 5개항, 한자어 5개항, 한문 6개항, 3학년: 한자 4개항, 한자어 5개항, 한문 6개항).
◦제7차
‘내용’을 ‘내용 체계’와 ‘영역별 내용’으로 구분하였다.
‘내용 체계’는 ‘영역’과 ‘내용’으로 구성하되, ‘내용’을 학년별 구분 없이 영역별로 ‘하위 항목’(한자 : ‘한자 익히기’, ‘한자 활용하기’, 한자어 : ‘한자어 익히기’, ‘한자어 활용하기’, ‘가치관 형성하기’, 한문 : ‘한문 익히기’, ‘한시 익히기’, ‘한문 활용하기’, ‘가치관 형성과 전통문화 계승・발전시키기’)과 ‘내용 요소’(‘한자 익히기’ 4개항, ‘한자 활용하기’ 2개항, ‘한자어 익히기’ 4개항, ‘한자어 활용하기’ 2개항, ‘가치관 형성하기’ 1개항, ‘한문 익히기’ 4개항, ‘한시 익히기’ 1개항, ‘한문 활용하기’ 1개항, ‘가치관 형성과 전통문화 계승・발전시키기’ 2개항)로 한 단계 더 상세화하여 제시하였다.
‘영역별 내용’은 하위 항목의 내용 요소를 영역별로 ‘내용+행동’의 형식으로 기술하되, 학년별로 학습할 내용을 차별화하여 제시하였다(1학년: 한자 6개항, 한자어 7개항, 한문 5개항, 2학년: 한자 5개항, 한자어 7개항, 한문 6개항, 3학년: 한자 5개항, 한자어 7개항, 한문 8개항).
4. 제재 선정의 기준
제재 선정의 기준은 제3차 교육과정에서 별도로 설정・제시한 4개항이 유일하다. 제1차는 ‘교재내용’에서, 제2차는 ‘지도상의 유의점’에서, 제4, 5차에서는 ‘지도 및 평가상의 유의점’의 ‘지도’ 항에서, 제6, 7차는 ‘방법’ 항에서 다루었다.
5. 지도 및 평가상의 유의점
제1~3차 교육과정에서는 지도에 관한 유의 사항만 다루었고, 제4차 교육과정에서는 평가에 관한 유의 사항을 별도로 제시하였다. 특히, 제6차 교육과정에서는 지도 및 평가상의 유의점뿐만 아니라 지도와 평가에 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였고,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지도와 평가 계획 수립 및 실제에 관한 사항을 구체화하여 제시하였다.
인용
Ⅰ. 개정의 배경
Ⅱ. 개정의 중점
Ⅲ. 한문과 선택 과목 교육과정 해설
1. 성격
2. 목표
3. 내용
4. 교수・학습 방법
5. 평가
'한문놀이터 > 한문과 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3. 내용체계 (0) | 2021.09.06 |
---|---|
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목차 (0) | 2020.01.16 |
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3. 내용, 전통문화 (0) | 2020.01.16 |
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2. 목표 (0) | 2020.01.15 |
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Ⅱ. 개정의 중점 (0) | 2020.01.15 |